교통산업기사
(2002-09-08 기출문제 - 전체보기)
총 50문제
답안 완료: 0문제
1. 대도시 지역에서 높은 조사비용과 조사기간의 장기화 때문에 가구방문조사를 실시할 수 없는 여건에서 가구방문의 대안으로 실시하는 조사방법은?
2. 다음 3대의 시간평균속도 자료로부터 공간평균속도를 계산하면?
3. 속도조사에 관한 다음 설명중 틀린 것은?
4. 시간당 교통량이 2200대/시 일 때 평균차두시간은?
5. 다음 중 통행수단을 선택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소중에서 가장 관계가 적은 것은?
6. 교통량 중 신호등, 표지, 노면표시, 일방통행 등 교통규제시설 설치에 이용되는 교통량은?
7. 보행자 교통의 실태조사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8. 다음 중 첨두시간교통량의 응용분야가 아닌 것은?
9. 다음 중 기종점조사를 검증하기 위한 조사는?
10. 차량의 안전한 주행과 도로의 구조 등을 감안하여 설정한 속도는?
11. 다음 중 대중교통 서비스를 개선하기 위한 대중교통의 조사항목과 거리가 먼 것은?
12. 다음 중 주차수요추정 기법과 거리가 먼 것은?
13. 4단계 수요추정법을 이용하여 교통수요를 예측하는 과정에서 죤간 거리의 조사는 어떤 단계에 해당되는가?
14. 다음 중 한 주차 시설의 주차 회전율을 구하기 위해 행하는 조사는?
15. 어느 도로 교통류의 속도조사를 위한 총 예산으로 100만원이 책정되어 있다. 만약 차량 당 속도측정, 분석 등을 위한 비용이 2,500원이고 예산을 모두 사용하여 신뢰구간 95% (K=2), 그리고 표준오차가 3km/h인 조사를 한다면 허용오차는 얼마가 될까?
16. 다음 중 교통밀도 조사방법이 아닌 것은?
17. 다음 중 도시 지역 가구 구성원의 통행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가구면접조사의 내용에 포함되지 되지 않는 것은?
18. 다음 중 표본 조사의 특징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19. 일정 지역의 현재 교통 여건을 파악 분석하기 위해 필요한 자료가 아닌 것은?
20. 다음 중 노상주차에 대한 조사방법이 아닌 것은?
21. 대기행렬 분석에 필요한 입력 자료가 아닌 것은?
22. 서비스 수준별 교통류 상태에서 운전속도가 떨어지고 약간의 지체가 발생하는 서비스 수준은?
23. 교차로에서 다음과 같은 조건이 주어 졌을 때 황색시간을 결정하면? (지각반응시간: 1초, 접근속도: 60km/h, 차량의 임계감속도: 5 m/sec2, 차량의 길이: 5 m, 교차로 횡단길이: 20m)
24. 양방향 2차로 도로의 교통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25. 연평균 일교통량을 표시하고 있는 것은?
26. 종단 경사가 7%인 산악지대의 편도 1차로 도로에서 정상까지 올라가는 데 화물차의 운행 때문에 혼잡이 야기되고 있다. 이 때 효과적인 운영방안은?
27. 다음 중 일방통행의 장점이 아닌 것은?
28. 다음중 교통통제설비의 기본조건에 속하지 않는 것은?
29. 다음 중 불균형 통행도로(가변차로제)의 장점이 아닌 것은?
30. 교통량이 9,000대/시이고 공간 평균속도가 60㎞/h인 도로의 교통밀도는?
31. V1 = 9P1-0.6 × P20.3 과 같은 모형의 지하철 통행비용에 대한 택시의 승객 수요의 교차 탄력성은? (단, V1 : 택시의 승객수요, P1 : 택시의 통행비용, P2 : 지하철의 통행비용)
32. 신호교차로에서의 지체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은?
33. 공간, 시간 평균속도의 설명중 틀린 것은?
34. 자동차 도착분포 중 완전히 무작위로 드물게 발생하는 이산형 사상을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이론적 확률분포는?
35. 용량분석을 할 때 신호교차로 접근로의 이상적 조건이 아닌 것은?
36. 충격파(shock wave) 이론의 경계선이 아닌 것은?
37. 교통류의 특성을 나타내는 기본적인 요소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38. 실제의 도로 및 교통조건하에서 교통수요에 대한 적절한 서비스수준을 제공하며 단위시간당 최대한으로 처리할 수 있는 교통량은 무엇이라 하는가?
39. 다음 그림은 인접한 차량들의 괘적을 그린 시공도(Time-distance Diagram)이다. 1과 2를 잇는 점선은 무엇을 가리키는가?
40. 간선도로시스템의 연동신호시간을 구하기 위한 기법으로 틀린 것은?
41. 도시공간에 대한 사회적 수요와 토지이용 형태에 대한 최근의 변화추세에 부합되지 않는 것은 ?
42. 도시토지이용예측을 위한 가장 일반적인 모형으로 평가되고 있는 PLUM(Projective Land Use Model)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43. 공공투자의 경제성 평가지표의 하나로서, 편익과 비용의 순현재가치의 합계가 같아지는 할인율을 무엇이라 하는가?
44. 교통이 편리하고 토지가 평탄하며 통근 및 소비동선으로 외부지역과 연결성이 좋아야하는 지역은?
45. 다음은 현재 죤간 통행량을 균일성장율법으로 분포시킨 장래 죤간 통행분포량을 나타낸 것이다. 평균성장율은?
46. 교통체증, 도로망의 교통처리능력 제고 등 당면하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교통체계관리기법의 개선전략으로 맞지 않는 것은?
47. 교통수요예측의 결과물로서, 도로의 폭(차로수)의 결정에 가장 중요한 요소는?
48. 개별행태모형의 특징이 아닌 것은?
49. 철도교통의 통행배정에 주로 사용되는 모형은?
50. 다음의 도로 가운데 이동성이 가장 좋은 도로는?
진행 상황
답안 완료율
0%
미답안
답안완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