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산업기사
(2002-09-08 기출문제 - 하나씩 풀이)
총 50문제
답안 완료: 0문제
1. 대도시 지역에서 높은 조사비용과 조사기간의 장기화 때문에 가구방문조사를 실시할 수 없는 여건에서 가구방문의 대안으로 실시하는 조사방법은?
1.
학생이용설문조사
2.
직장방문조사
3.
우편에 의한 회수법
4.
대중교통수단 이용객조사
정답: 1번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2. 다음 3대의 시간평균속도 자료로부터 공간평균속도를 계산하면?
1.
48.6kph
2.
50.0kph
3.
51.3kph
4.
52.4kph
정답: 1번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3. 속도조사에 관한 다음 설명중 틀린 것은?
1.
속도자료의 분산값이 크다는 것은 교통류가 안정적이라는 의미이다.
2.
속도자료를 분석할 때에는 몇 개의 계급구간으로 나누어 통계처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3.
85퍼센타일(Percentile)속도는 속도가 낮은 차량부터 순서대로 늘어 놓아 85%에 해당되는 속도이다.
4.
속도의 산술평균값과 중앙값은 일치하지 않을수도 있다.
정답: 1번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4. 시간당 교통량이 2200대/시 일 때 평균차두시간은?
1.
약1.4초
2.
약1.6초
3.
약1.8초
4.
약2.0초
정답: 2번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5. 다음 중 통행수단을 선택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소중에서 가장 관계가 적은 것은?
1.
통행비용
2.
통행시간
3.
소득
4.
통행목적
정답: 4번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6. 교통량 중 신호등, 표지, 노면표시, 일방통행 등 교통규제시설 설치에 이용되는 교통량은?
1.
일평균교통량
2.
시간교통량
3.
연교통량
4.
첨두시간 교통량
정답: 4번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7. 보행자 교통의 실태조사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도심부에서는 점심식사시간에 보행량이 적고 주거지는 많다.
2.
측정방법은 대상구역을 Zoning하여 각 존별 가로구간에서 측정한다.
3.
조사시간대는 각 조사지역을 답사한 후 오전, 오후, 정오의 각 첨두 및 비첨두시간을 선택하여 조사한다.
4.
이면도로의 교통사정에 적합한 안전시설의 선택적 배치, 안전시설과의 효과적인 결합방안에 관한 조사의 일부로서 행해진다.
정답: 1번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8. 다음 중 첨두시간교통량의 응용분야가 아닌 것은?
1.
차로수 및 교차로 등의 도로기하구조설계
2.
도로망의 개선 타당성 및 투자우선순위의 결정
3.
신호등, 노면표시 등 교통관제시설의 계획
4.
교통용량의 산출 및 개선안 제시
정답: 2번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9. 다음 중 기종점조사를 검증하기 위한 조사는?
1.
영업용차량 조사
2.
스크린라인 조사
3.
가구방문 조사
4.
주행차량 조사
정답: 2번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10. 차량의 안전한 주행과 도로의 구조 등을 감안하여 설정한 속도는?
1.
설계속도
2.
주행속도
3.
통행속도
4.
자유속도
정답: 1번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11. 다음 중 대중교통 서비스를 개선하기 위한 대중교통의 조사항목과 거리가 먼 것은?
1.
통행시간 및 지체시간 조사
2.
승하차인원 조사
3.
운행준수여부
4.
교차로별 버스교통량 조사
정답: 4번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12. 다음 중 주차수요추정 기법과 거리가 먼 것은?
1.
노측면접 조사
2.
주차발생원단위 조사
3.
자동차기종점 조사
4.
누적주차수요추정법
정답: 1번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13. 4단계 수요추정법을 이용하여 교통수요를 예측하는 과정에서 죤간 거리의 조사는 어떤 단계에 해당되는가?
1.
발생교통량예측
2.
분포교통량예측
3.
교통수단분담예측
4.
배분교통량예측
정답: 2번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14. 다음 중 한 주차 시설의 주차 회전율을 구하기 위해 행하는 조사는?
1.
누적주차대수조사
2.
차량번호판조사
3.
주차시설조사
4.
앙케이트조사
정답: 2번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15. 어느 도로 교통류의 속도조사를 위한 총 예산으로 100만원이 책정되어 있다. 만약 차량 당 속도측정, 분석 등을 위한 비용이 2,500원이고 예산을 모두 사용하여 신뢰구간 95% (K=2), 그리고 표준오차가 3km/h인 조사를 한다면 허용오차는 얼마가 될까?
1.
0.25 km/h
2.
0.3 km/h
3.
0.35 km/h
4.
0.4 km/h
정답: 2번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16. 다음 중 교통밀도 조사방법이 아닌 것은?
1.
항공사진 관측법
2.
지상사진 관측법
3.
입출량법
4.
차량번호판 조사법
정답: 4번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17. 다음 중 도시 지역 가구 구성원의 통행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가구면접조사의 내용에 포함되지 되지 않는 것은?
1.
통행기종점
2.
교통사고 유무
3.
이용교통수단
4.
통행목적
정답: 2번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18. 다음 중 표본 조사의 특징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표본 오차가 없다.
2.
전수조사에 비해 비용이 적게 든다.
3.
전수조사에 비해 조사원의 수가 많이 필요하다.
4.
표본의 수는 적을수록 좋다.
정답: 2번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19. 일정 지역의 현재 교통 여건을 파악 분석하기 위해 필요한 자료가 아닌 것은?
1.
터미널승객조사 자료
2.
토지이용형태 자료
3.
인구조사 자료
4.
O-D조사 자료
정답: 1번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20. 다음 중 노상주차에 대한 조사방법이 아닌 것은?
1.
공중사진판독에 의한 관측조사
2.
플레이트식 단속조사
3.
설문조사
4.
유출입차량대수 조사
정답: 4번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21. 대기행렬 분석에 필요한 입력 자료가 아닌 것은?
1.
평균도착률
2.
통과 차량수
3.
도착분포의 형태
4.
평균서비스율
정답: 2번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22. 서비스 수준별 교통류 상태에서 운전속도가 떨어지고 약간의 지체가 발생하는 서비스 수준은?
1.
C
2.
D
3.
E
4.
F
정답: 1번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23. 교차로에서 다음과 같은 조건이 주어 졌을 때 황색시간을 결정하면? (지각반응시간: 1초, 접근속도: 60km/h, 차량의 임계감속도: 5 m/sec2, 차량의 길이: 5 m, 교차로 횡단길이: 20m)
1.
3.5 초
2.
4.2 초
3.
5.5 초
4.
6.3 초
정답: 2번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24. 양방향 2차로 도로의 교통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용량상의 문제보다는 안전문제가 더욱 강조된다.
2.
교통류의 상태는 교통량과 함께 추월시거가 얼마만큼 확보되었는가에 따라 결정된다.
3.
용량분석과정은 한방향 교통량을 기준으로 한다.
4.
저속차량이 교통량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
정답: 3번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25. 연평균 일교통량을 표시하고 있는 것은?
1.
AADT
2.
ADT
3.
PHV
4.
DHV
정답: 1번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26. 종단 경사가 7%인 산악지대의 편도 1차로 도로에서 정상까지 올라가는 데 화물차의 운행 때문에 혼잡이 야기되고 있다. 이 때 효과적인 운영방안은?
1.
오르막차로 설치
2.
화물차 운행 금지
3.
신설 노선 건설로 구배를 5% 미만으로 인하
4.
왕복 4차로로 확장
정답: 1번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27. 다음 중 일방통행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용량증대
2.
상충수 감소
3.
신호시간 조절 용이
4.
통행거리의 감소
정답: 4번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28. 다음중 교통통제설비의 기본조건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도로 이용자에게 존중될 수 있어야 한다.
2.
간단명료한 의미를 전달할 수 있어야 한다.
3.
반응을 위한 시간적인 여유를 가질수 있는 곳에 설치되어야 한다.
4.
저렴한 가격의 자재로 만들어져야 한다.
정답: 4번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29. 다음 중 불균형 통행도로(가변차로제)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필요한 방향에 추가 용량 제공
2.
교통사고 감소
3.
적절한 평행도로가 없어도 시행가능
4.
대중교통 노선 조정 불필요
정답: 2번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30. 교통량이 9,000대/시이고 공간 평균속도가 60㎞/h인 도로의 교통밀도는?
1.
90대/㎞
2.
100대/㎞
3.
150대/㎞
4.
180대/㎞
정답: 3번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31. V1 = 9P1-0.6 × P20.3 과 같은 모형의 지하철 통행비용에 대한 택시의 승객 수요의 교차 탄력성은? (단, V1 : 택시의 승객수요, P1 : 택시의 통행비용, P2 : 지하철의 통행비용)
1.
2
2.
9
3.
0.3
4.
0.6
정답: 3번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32. 신호교차로에서의 지체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은?
1.
교통량/용량
2.
유효녹색시간
3.
주기
4.
현시순서
정답: 4번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33. 공간, 시간 평균속도의 설명중 틀린 것은?
1.
공간평균속도는 속도의 조화평균이다.
2.
공간평균속도는 교통류분석에 이용한다.
3.
시간평균속도는 교통사고 분석에 이용한다.
4.
시간평균속도는 공간평균속도보다 항상 낮은 값을 갖는다.
정답: 4번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34. 자동차 도착분포 중 완전히 무작위로 드물게 발생하는 이산형 사상을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이론적 확률분포는?
1.
Binomial 분포
2.
Negative Binomial 분포
3.
Poisson 분포
4.
Geometric 분포
정답: 3번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35. 용량분석을 할 때 신호교차로 접근로의 이상적 조건이 아닌 것은?
1.
3.0m 이상의 차로폭
2.
종단구배 0%
3.
교차로 정지선에서 90m이내에 주, 정차가 없는 상태
4.
교통류가 승용차로만 구성
정답: 3번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36. 충격파(shock wave) 이론의 경계선이 아닌 것은?
1.
전면정지
2.
후면정지
3.
후방형성
4.
교차상충
정답: 4번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37. 교통류의 특성을 나타내는 기본적인 요소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교통량(Volume)
2.
속도(Speed)
3.
밀도(Density)
4.
서비스수준(Level of service)
정답: 4번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38. 실제의 도로 및 교통조건하에서 교통수요에 대한 적절한 서비스수준을 제공하며 단위시간당 최대한으로 처리할 수 있는 교통량은 무엇이라 하는가?
1.
기본교통용량
2.
가능교통용량
3.
실용교통용량
4.
설계교통용량
정답: 3번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39. 다음 그림은 인접한 차량들의 괘적을 그린 시공도(Time-distance Diagram)이다. 1과 2를 잇는 점선은 무엇을 가리키는가?
1.
headway
2.
차간거리
3.
속도
4.
두 차량의 속도차
정답: 2번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40. 간선도로시스템의 연동신호시간을 구하기 위한 기법으로 틀린 것은?
1.
시공도기법(Time-space diagram technique)
2.
Webster 방식(Webster Methods)
3.
옵라인컴퓨터기법(Off-line computer technique)
4.
온라인컴퓨터기법(On-line computer technique)
정답: 2번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41. 도시공간에 대한 사회적 수요와 토지이용 형태에 대한 최근의 변화추세에 부합되지 않는 것은 ?
1.
도시공간의 이용이 광역화되고 있다.
2.
용도간의 격리를 전제로 한 지역지구제를 더욱 강화시킨다.
3.
직장과 거주지와의 공간분리개념이 변화하고 있다.
4.
생활의 질에 대한 비중이 커지고 있다.
정답: 2번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42. 도시토지이용예측을 위한 가장 일반적인 모형으로 평가되고 있는 PLUM(Projective Land Use Model)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가로망의 최단경로망을 자유통행과 피크통행의 상황에 대해 각각 결정한다.
2.
Lowry 모형이나 TOMM과는 달리 각 존별로 토지이용회계(land use accounting)를 적용한다.
3.
비교정태(comparative statics)에 입각한 배분개념을 적용한다.
4.
택지개발에 따른 제약은 토지수용한계와 관련하여 이용밀도의 고도화를 위한 수요로 작용한다.
정답: 3번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43. 공공투자의 경제성 평가지표의 하나로서, 편익과 비용의 순현재가치의 합계가 같아지는 할인율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편익/비용비(benefit/cost ratio)
2.
순현재가치(net present value)
3.
내부수익율(internal rate of return)
4.
초기년도 편익비(first-year benefit/cost ratio)
정답: 3번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44. 교통이 편리하고 토지가 평탄하며 통근 및 소비동선으로 외부지역과 연결성이 좋아야하는 지역은?
1.
녹지지역
2.
상업지역
3.
공업지역
4.
주거지역
정답: 2번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45. 다음은 현재 죤간 통행량을 균일성장율법으로 분포시킨 장래 죤간 통행분포량을 나타낸 것이다. 평균성장율은?
1.
1.9
2.
2.3
3.
2.7
4.
3.4
정답: 2번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46. 교통체증, 도로망의 교통처리능력 제고 등 당면하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교통체계관리기법의 개선전략으로 맞지 않는 것은?
1.
도시특성에 적합한 교통체계 관리기법의 유형을 결정
2.
교통담당부서를 다원화하고 개선시점을 장기적으로 추진
3.
대규모가 아닌 적절한 재원을 투입하여 효율을 극대화
4.
저투자 단기 개선사업임으로 각 기법의 효과에 대해 집행 후 모니터링하고 평가시행
정답: 4번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47. 교통수요예측의 결과물로서, 도로의 폭(차로수)의 결정에 가장 중요한 요소는?
1.
노선배정교통량
2.
교통발생량
3.
교통수단선택
4.
지구교통량
정답: 1번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48. 개별행태모형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공간적, 시간적인 제약으로 이전적용이 어렵다.
2.
어떠한 지역 단위에도 이용될수 있는 장점이 있다.
3.
비용의 절감과 짧은시간에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4.
교통계획의 개략적 평가에 쉽게 적용할 수 있다.
정답: 1번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49. 철도교통의 통행배정에 주로 사용되는 모형은?
1.
All or Nothing Model
2.
Incremental Algorithm
3.
Equilibrium Algorithm
4.
Trip End Modal Split Model
정답: 1번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50. 다음의 도로 가운데 이동성이 가장 좋은 도로는?
1.
주간선도로
2.
보조간선도로
3.
집산도로
4.
국지도로
정답: 1번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문제 목록
문제 정보
강의: 교통산업기사
연도: 2002-09-08
총 문제: 50문제
현재 문제: 1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