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산업기사

(2007-05-13 기출문제 - 전체보기)
총 80문제 답안 완료: 0문제
1. 항공기의 활공각을 ⍬라고 할 때 tan⍬의 특성을 가장 올바른 것은?
1. 양항비와 비례한다.
2. 양항비와 반비례 한다.
3. 고도와 반비례한다.
4. 활공속도와 반비례한다.

2. 항공기가 45˚ 의 경사각(bank angle)으로 정상수평 선회비행을 하고 있다 이때 이 항공기에 작용하는 하중배수(load factor)는 얼마인가?
1. √2
2. √3
3. √2/2
4. √3/2

3. 유체의 운동상태에 관계없이 하상 모든 방향으로 작용하는 유체의 압력을 정압 이라고 하고 유체가 가진 속도에 의해 생기는 압력을 동압이라고 한다. 이때 동압의 관계식으로 옳은 것은?
1. 동압 = 정압 + 1/2 ⍴· v2
2. 동압 = 1/2 ⍴· v2
3. 동압 = √⍴· v2/g
4. 동압 = ⍴· v2

4. 스팬의 길이가 15m시위의 길이가 2m인 날개에 속도가 360km/h의 바람이 지나가면 이때의 레이놀즈수는 얼마인가?(단 동점성 계수는 0.2 × 10-4m2/s이다.)
1. 1×107
2. 7.5×107
3. 1×108
4. 7.5×108

5. 헬리콥터의 동시피치제어간을 올리면 나타나는 현상에 대하여 가장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피치가 커져 전진비행을 가능하게 한다.
2. 피치가 커져 수직으로 상승할 수 있다.
3. 피치가 작아져 추진비행을 바르게 한다.
4. 피치가 작아져 수직으로 상승할 수 있다.

6. 날개의 양력분포가 타원 모양이고 cl=1.2 가로세로비가 6일때 유도항력계수는 약 얼마인가?
1. 1.076
2. 1.012
3. 0.076
4. 0.012

7. 이륙과 착륙에 대한 비행성능의 설명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이륙할 때 장애물 고도란 위험한 비행상태의 고도를 말한다.
2. 이륙할 때 항력은 속도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따라서 속도를 증가시키면 항력은 감소하게 되어 이륙한다.
3. 착륙 활주시에 항력은 아주 작으므로 이를 보통 무시한다.
4. 착륙거리란 지상활주거리에 착륙진입거리를 더한 것이다.

8. 헬리콥터가 비행기와 같이 빠르게 날수 없는 이유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후퇴하는 깃의 날개 끝 실속 때문에
2. 후퇴하는 깃 뿌리의 역풍범위 때문에
3. 전진하는 깃 끝의 항력이 감소하기 때문에
4. 전진하는 깃 끝의 마하수의 영향 때문에

9. 비행기가 230km/h 로 수평비행하고 있다. 이 비행기의 상승률이 8m/s라고 하면 이비행기 상승각은 약 얼마로 볼 수 있는가?
1. 4.8˚
2. 5.2˚
3. 7.2˚
4. 9.4˚

10. 에어포일의 호칭 중 “NACA 23015"에서 15가 나타내는 것은?
1. 최대두께가 CHORD의 15%
2. 최대 캠버 위치가 CHORD의 15%
3. 최대 캠버가 CHORD의 15%
4. 최대 두께 위치가 CHORD의 15%

11. 수평 꼬리날개에 의한 모멘트의 크기를 가장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단, 양(+)음(-)의 부호는 고려하지 않는다.)
1. 수평 꼬리날개의 면적이 클수록그리고 수평 꼬리 날개주위의 동압이 작을수록 커진다
2. 수평꼬리날개의 면적이 클수록 그리고 수평 꼬리날개 주위의 동압이 클수록 커진다.
3. 수평 꼬리 날개의 면적이 작을수록그리고 수평 꼬리날개 주위의 동압이 클수록커진다.
4. 수평 꼬리날개의 면적이 작을수록그리고 수평꼬리날개 주위의 동압이 작을수록커진다.

12. 항력발산 마하수를 높게 하기 위한 날개의 설계방법으로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날개에 뒤젖힘 각을 준다.
2. 얇은 날개를 사용하여 표면에서의 속도 증가를 줄인다.
3. 가로세로비가 큰 날개를 사용한다.
4. 경계층을 제어한다.

13. 왼쪽과 오른쪽이 서로 반대로 움직이는 도움날개에서 발생되는 힌지 모멘트가 서로 상쇄되도록하여 조종력을 경감시키는 장치는?
1. horn balance
2. leading edge balance
3. frise balance
4. internal balance

14. 쳐든각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선회 성능을 좋게 한다.
2. 옆 미끄럼에 의한 옆놀이에 정적인 안정을 준다.
3. 항력을 감소시킨다.
4. 익단 실속을 방지한다.

15. 프로펠러의 고형비를 가장 옳게 표현 한 것은?
1. 모든 깃의 부피 / 프로펠러 원판 부피
2. 프로펠러 원판 부피 / 모든 깃의 부피
3. 모든 깃의 면적 / 프로펠러 원판 면적
4. 프로펠러 원판 면적 / 모든 깃의 면적

16. 프로펠러의 진행비를 가장 올바르게 나타낸 것은?
1. 비행속도/(회전수 × 깃 끝의 선속도)
2. 비행속도/(회전수 × 프로펠러 직경)
3. (회전수×깃 끝의 선속도)/비행속도
4. (회전수×프로펠러 직경)/비행속도

17. 프로펠러의 추력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프로펠러의 추력은 공기밀도에 비례하고 회전면의 넓이에 반비례한다
2. 프로펠러의 추력은 회전면의 넓이에 비례하고 깃의 선속도의 자승에 반비례한다.
3. 프로펠러의 추력은 공기밀도에 반비례하고 회전면의 넓이에 비례한다.
4. 프로펠러의 추력은회전면의 넓이에 비례하고 깃의 선속도의 자승에 비례한다.

18. 비행기에 있어서 정적안정을 가장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수평 비행시에 가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려는 경향
2. 평형상태에서 이탈된 후시간에 따라 운동의 진폭이 감소하려는 경향
3. 항력의 크기에 비하여 양력의 크기가 큰 상태
4. 평형상태에서 벗어난 뒤에 다시 평형상태로 되돌아 가려는 초기의 경향

19. 대기권에서 태양이 방출하는 자외선에 의하여 대기가 전리되어 자유 전자의 밀도가 커지는 대기권 층은?
1. 중간권
2. 성층권
3. 열권
4. 극외권

20. 마하 트리머 의 기능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자동적으로 턱 언더 현상을 수정한다.
2. 자동적으로 더치롤 현상을 수정한다.
3. 자동적으로 방향 불안정현상을 수정한다.
4. 자동적으로 나선 불안정 현상을 수정한다.

21. 제트 엔진에서 배기노즐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단, 노즐에서의 유속은 초음속이다.)
1. 배기가스의 속도와 압력을 증가시킨다.
2. 배기가스의 속도를 증가시키고 압력을 감소시킨다.
3. 배기가스의 속도와 압력을 감소시킨다.
4. 배기가스의 속도를 감소시키고 압력을 증가시킴

22. 3PS 는 약 몇 와트인가?
1. 2239.5
2. 2206.5
3. 1650
4. 225

23. 다음 중 평균유효압력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행정체적을 사이클당 기관의유효일로 나눈값
2. 행정길이를 사이클당 기관의유효일로 나눈값
3. 사이클당 유효일을 행정 체적으로 나눈값
4. 사이클당 유효일을 행정 거리로 나눈값

24. 항공기 왕복기관의 부자식 기화기에서 가속 펌프의 주 목적은?
1. 고출력 고정시 부가적인 연료를 공급하기 위하여
2. 이륙시 엔진 구동 펌프를 가속시키기 위해서
3. 높은 온도에서 혼합가스를 농후하게 하기위해서
4. 스로틀이 갑자기 열릴 때 부가적인 연료를 공급시키기 위해서

25. 항공기용 연료의 퍼포어먼스수 100/130의 의미를 가장 올바르게 표현한 것은?
1. 100은 농후 혼합비의 퍼포어먼스수이고 130은 희박 혼합비의 퍼포어먼스수이다.
2. 100은 희박 혼합비의 퍼퍼어먼스수이고 130은 농후 혼합비의 퍼포어먼스수이다.
3. 100/130은 옥탄가에 대한 퍼포어먼스수의 비율
4. 100은 옥탄가이고 130은 퍼포어먼스수이다.

26. 다음 중 다이나믹 댐퍼의 주 목적으로 옳은 것은?
1. 크랭크 축의 자이로 작용을 방지하기 위하여
2. 항공기가 교란되었을 때 원위치로 복원시키기 위하여
3. 크랭크축의 비틀림 진동을 감쇠하기 위하여
4. 컨넥팅로드의 왕복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27. SOAP 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오일 중의 카본 발생량을 측정하여 연소실 부분품의 이상 상태를 점검한다.
2. 오일의 색깔과 산성도를 측정하여 오일의 품질저하상태를 점검한다.
3. 오일 중의 포함된 기포의 발생량을 측정하여 오일계통의 이상상태를 점검한다.
4. 오일 중에 포함되는 미량의 금속원소에 의해 베어링 부분품의 이상 상태를 점검한다.

28. 다음 그림은 정적사이클에 대한 P-V선도이다. 단, 열팽창은 어느 곳인가?
1. 1-2
2. 2-3
3. 3-4
4. 4-1

29. 항공기 왕복기관에서 윤활유의 점도지수가 높다는 것을 가장 올바르게 표현한 것은?
1. 유막의 형성이 잘되어 점도가 높다.
2. 기하학적 피치와 유효 피치의 차이이다.
3. 온도의 변화에 따라 점도의 변화가 크다.
4. 온도의 변화에 따라 점도의 변화가 작다.

30. 다음중 프로펠러에서 슬립을 가장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프로펠러 깃 의 뿌리 부분이다.
2. 기가학적 피치와 유효 피치의 차이이다.
3. 허브 중심으로부터 블레이드를 따라 인치로 측정 되는 거리이다.
4. 블레이드의 정면과 회전면사이의 각도이다.

31. 프로펠러가 항공기에 장착되어 있을 때 블레이드각을 측정할 수 있는 측정기구는?
1. 다이얼 게이지
2. 버어니어 캘리퍼스
3. 유니버셜 플로펠러 프로트랙터
4. 블레이드 앵글 섹터

32. 피스톤의 링의 끝은 링 홈에 링을 끼운 상태에서 끝 간격을 가지도록 해야 한다. 피스톤 링의 끝 간격 모양 중 제작이 쉽고사용하기 편리한 형으로 일반적으로 가장 널리 이용되는 것은?
1. 계단형
2. 경사형
3. 맞대기형
4. 쐐기형

33. 가스터빈엔진 연료조절장치의 기본 요소를 3개로 나눌 때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센싱부
2. 컴퓨팅부
3. 미터링부
4. 드레이부

34. 왕복기관의 마그네토 브레이커 포인트가 과도하게 소실되었다. 다음 중 어떤 것을 교환해 주어야 하는가?
1. 1차 코일
2. 2차 코일
3. 배전반 접점
4. 콘덴서

35. 터빈 블레이드 끝 과 터빈 케이스 안쪽의 에어시 일 과의 간격을 줄여주기 위해서 터빈 케이스 외부를 냉각 시켜준다. 여기에 사용되는 냉각 공기는?
1. 압축기 배출공기
2. 연소실 냉각공기
3. 팬 압축공기
4. 외부공기

36. 가스터빈 엔진의 블리드 밸브는 언제 완전히 열리는가?
1. 완속출력
2. 이륙출력
3. 최대출력
4. 최대순항출력

37. 다음 중 원심력식 압축기의 주용 구성품이 아닌 것은?
1. 임펠러
2. 디퓨져
3. 고정자
4. 매니폴드

38. 가스터빈 기관의 점호계통에 대한 설명중 틀린 것은?
1. 높은 에너지의 전기 스파크를 이용한다.
2. 왕복 기관에 비해 점화가 용이하다.
3. 유도형과 용량형이 있다.
4. 점화시기조절 장치가 없다.

39. 폐쇄계에 대한 열역학 제 1법칙을 가장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열과 에너지일은 상호 변환 가능하며 보존된다.
2. 열효율 100% 인 동력장치는 불가능하다.
3. 2개의 열원사이에서 동력 사이클을 구성할 수 있다.
4. 질량은 보존된다.

40. 다음 중 터보팬기관의 추력에 비례하며 트리밍 작업의 기준이 되는 것은?
1. 엔진압력비
2. 터빈입구온도
3. 대기온도
4. 연료유량

41. 세미모노코크 구조형식인 비행기 날개의 구성 부재가 아닌 것은?
1. 리브
2. 표피
3.
4. 스트링어

42. 항공기의 날개 착륙장치의 트럭형식에서 트럭위치 작동기 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관계가 먼 내용은?
1. 항공기가 지상에서 수평로 활주할 때에는 완충 스트럿과 트럭 빔이 수직이 되도록 댐퍼의 역할도 한다.
2. 착륙장치가 접혀 들어갈 때 공간을 줄이기 위해서도 사용된다.
3. 착륙장치를 접어 들이거나 펼칠 때 사용되는 유압작동기이다.
4. 바퀴가 지면으로부터 떨어지는 순간에 완충스트럿과 트럭 빔을 특정한 각도로 유지시켜 주는 유압 작동기이다.

43. 다음의 알루미늄 합금 중 알루미늄-아연 5.6%의 합금으로 ESD라고 부르는 것은?
1. 7075
2. 3003
3. 2014
4. 1100

44. 다음과 같은 도면의 단면 2차 모멘트의 식으로 옳은 것은?

45. 그림은 응력 - 변형률 곡선을 나타낸 것이다. 기호별 내용의 표시가 틀린 것은?
1. CD : 비례탄성범위
2. OA : 후크의 법칙 성립
3. B : 항복점
4. G : 인장강도

46. 조종케이블이 작동중에 최소의 마찰력으로 케이블과 접촉하여 직선운동을 하게 하며케이블을 3˚ 이내의 범위에서 방향을 유도하는 것은?
1. 케이블드럼
2. 페어리드
3. 폴리
4. 벨크랭크

47. 길이 5m인 받침보에 있어서 A단에서 2m인 곳에 800kg의 집중하중이 작용할 때 A단에서의 반력은 얼마인가?
1. 300KG
2. 320KG
3. 400KG
4. 480KG

48. 제트기관을 장착하는 엔진 마운트는 어떤 형을 주로 사용하는가?
1. 포드 마운트
2. 링 마운트
3. 베드 마운트
4. 트루니언 마운트

49. 와셔의 부품번호가 다음과 같이 표기되어 있을때 “L”이 뜻하는 내용은?
1. 재질
2. 두께
3. 표면처리
4. 형식

50. 다음 중 항공기체에 도장된 얇은 금속재료를 비파괴검사하려면어느 방법이 가장 적당한가?
1. 방사선투과검사
2. 초음파탐상검사
3. 자기탐상검사
4. 와전류탐상검사

51. 가스용접에 사용하는 용접 토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분사식 토치는 산소압력에 비하여 매우 낮은 아세틸렌 압력으로 사용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2. 토치에 사용하는 팁은 특수 내열합금으로 만들어져 있으며 그 크기는 문자로 표시한다.
3. 밸런스형 압력식 토치는 산소와 아세틸렌이 똑같은 압력으로 토치에 공급된다.
4. 토치에 사용하는 팁은 항상 팁 세제로 깨끗하게 청소해야 한다.

52. 다음은 딤플링 작업시의 주의사항이다. 틀린 것은?
1. 판을 2개이상 겹쳐서 동시에 딤플링하는 방법은 되도록 이면 삼간다.
2. 티타늄합금은 홀 딤플링을 적용하지 않으면 균열을 일으킨다.
3. 마무리 작업시에는 반대방향으로 다시 딤플링한다.
4. 얇은 판 때문에 카운터 싱킹 한계(0.040.in 이하)를 넘을 때는 딤플링으로 한다.

53. SAE규격으로 표시한 합금강의 종류가 올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1. 13XX : 니켈- 몰리브덴강
2. 23XX : 망간-크롬강
3. 51XX : 니켈-크롬-몰리브덴강
4. 61XX : 크롬-바나듐강

54. 복합재료의 강화재 중 무색 투명하며 전기부도체인 섬유로서 우수한 내열성 때문에 고온 부위의 재료로 상용되는 것은?
1. 유리섬유
2. 아라미드섬유
3. 보론섬유
4. 알루미나섬유

55. 항공기 설계하중과 관련된 안전여유의 식으로 옳은 것은?
1. M.S. = 1 + 실제하중/허용하중
2. M.S. = 1 + 허용하중/실제하중
3. M.S. = 허용하중/실제하중 - 1
4. M.S. = 실제하중/허용하중 - 1

56. 항공기의 무게측정을 하는 일반적인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밀폐된 건물안에서 무게를 측정한다.
2. 자기무게에 포함된 모든 장비품을 항공기에서 장탈하여 놓는다.
3. 저울을 교정하고 0점 조정을 한다.
4. 무게측정에는 제동장치를 걸지 않도록 한다.

57. 알루미늄 합금으로 만들어진 2117T RIVET의 직경이 1/8inch이면Rivet의 길이는1/4inch인 Universal head Rivet의 Code를 MS로 가장 올바르게 표시한 것은?
1. MS 20470 AD - 4 - 4
2. MS 20470 DD - 4 - 4
3. MS 20436 AD - 3 - 2
4. MS 20426 DD - 3 - 2

58. 밀착된 구성품 사이에 작은 진폭의 상대운동이 일어날 때 에 발생하는 제한된 형태의 부식은 무엇인가?
1. 점 부식
2. 찰과 부식
3. 피로 부식
4. 동전기 부식

59. 샌드위치 구조에 대한 설명중 가장 관계가 먼 내용은?
1. 날개나 꼬리 날개와 같은 일부 구조 요소의 스킨에 사용된다.
2. 2장의 판 상태의 스킨사이에 코어를 끼어서 제작된 구조이다.
3. 샌드위치 구조는 부재를 결합하여 1개의 부재와 같거나 또는 그 이상의 강도를 갖게 하는 구조이다.
4. 부분적인 벅클링이나 부분적인 피로 강도에 강하다.

60. 티타늄 합금볼트를 사용하는 데 있어서 주의해야 할 사항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200˚F 를 넘는 곳에 장착시에는 카드뮴 도금된 너트를 사용하여서는 안된다.
2. 200˚F 를 넘는 곳에 장착시에는 은 도금된 셀프 락킹너트를 사용하여서는 안된다.
3. 100˚F 를 넘는 곳에 장착시에는 카드뮴 도금된 너트를 사용하여서는 안된다.
4. 100˚F 를 넘는 곳에 장착시에는 은 도금된 셀프 락킹너트를 사용하여서는 안된다

61. 정전 용량식 액량계에서 사용되는 콘덴서의 용량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극판의 넓이
2. 극판간의 거리
3. 중간 매개체의 유전율
4. 중간 매개체의 전연율

62. 여압장치가 되어 있는 항공기는 제작 순항고도에서의 객실고도를 미 연방 항공청에서는 얼마로 취하도록 규정되어 있는가?
1. 해면
2. 3000ft
3. 8000ft
4. 20000ft

63. 유압 계통에 있는 필터에서 필터 내에 바이패스 릴리프밸브의 주 목적은?
1. 필터 엘리먼트 내에 유압유 압력이 높아지면 귀환 라인으로 유압유를 보내기 위하여
2. 필터 엘리먼트가 막힐 경우 유압유를 계통에 공급하기 위하여
3. 유압유 공급 라인에 압력이 과도하여지는 것으로부터 계통을 보호하기 위하여
4. 회로 압력을 설정 값 이하로 제한하여 계통을 보호하기 위하여

64. 공기압식 제빙 계통에서 부츠의 팽창 순서를 조절하는 것은?
1. 분배 밸브
2. 부츠 구조
3. 진공 펌프
4. 흡입 밸브

65. 항공기 공압계통에서 수위치의 위치와 밸브위치가 일치했을 때 점등하는 LIGHT는?
1. Agreement Light
2. Disagreement Light
3. Intransit Light
4. Condition Light

66. ACM의 작동 중 압력과 온도가 떨어지도록 역할을 하는 곳은?
1. 팽창밸브
2. 팽창 터빈
3. 열교환기
4. 압축기

67. 듀얼 스풀형 APU에서 전력을 공급하는 발전기는 무엇에 의해서 구동되는가?
1. 시동기
2. 압축기에서 만들어진 압축공기
3. 저압터빈/저압 압축기축
4. 고압터빈/고압 압축기축

68. 스테인리스 강이나 인코넬 튜브로 만들어져 있으며 인코넬 튜브안은 절연체 세라믹으로 채워져 있고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기 위하여 2개의 니켈 전선이 들어 있는 항공기 화재 탐지기는?
1. 열전쌍식
2. 광전지식
3. 열스위치식
4. 저항루프식

69. NI-Cd 축전지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올바른 것은?
1. 전해액의 부식성이 적어 안전하다.
2. 단위 Cell 당 전압은 연 축전지보다 높다.
3. 방전할 때는 음극판이 3수산화니켈이 된다.
4. 연 축전지에 비해 수명이 길다.

70. 다음 중에서 교류를 더하거나 빼는데 편리한 교류의 표시방법으로 옳은 것은?
1. 삼각함수 표시법
2. 극좌표 표시법
3. 지수함수 표시법
4. 복소수 표시법

71. 항공기에 장착되어 있는 플라이트 인터폰을 가장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비행 중에는 승무원 상호간의 통화를 하며, 지상에서는 Flight를 위해 항공기가 택싱하는 동안 지상조업요원과 조종실 내 운항 승무원간에 통화를 한다.
2. 정비사가 항공기 정비를 위하여 정비사들 상호간에 통화를 한다.
3. 비행 중에 운항 승무원과 객실 승무원의 상호통화와 객실승무원과 승객 상호간에 통화를 한다.
4. 비행중에 조종실과 지상 무선시설의 상호통화 및 오디오 신호를 청취한다.

72. 극수가 4인 교류발전기로 400Hz의 주파수를 얻으려면 발전기의 계자 회전속도는 분당 얼마가 되어야 하는가?
1. 6000rpm
2. 8000rpm
3. 10000rpm
4. 12000rpm

73. 항법의 중요한 3가지 요소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항공기 위치의 확인
2. 침로의 결정
3. 도착 예정시간의 산출
4. 비행 항로의 기상

74. 다음 중 DC Power를 AC Power로 바꾸어주는 것은?
1. Battery Charger
2. Static Inverter
3. TRU(Transformer Rectifier Unit)
4. Load Controller

75. 항공기 계기판의 설명으로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계기판은 비자성재료인 알루미늄 합금으로 되어 있다.
2. 기체 및 기관의 진동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완충 마운트 를 설치한다.
3. 계기판은 지시를 쉽게 읽을 수 있도록 무광택의 검은색을 칠한다.
4. 야간비행시 조종석은 밝게 하여 계기의 누금과 바늘이 잘 보이도록 한다.

76. 항공기에서 사용되는 압력계에 대한 설명 중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오일 압력계는 버든 튜브식 압력계로 게이지 압력을 지시
2. 흡기 압력계는 다이아프램형 압력계로 절대 압력을 지시
3. 흡인 합력계는 공함식 압력계로 2곳의 압력의 차를 지시
4. EPR계는 벨로우관식 압력계로 2개의 압력 비를 지시

77. 다음중 지상파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E층 반시파
2. 건물 반사파
3. 대지 반사파
4. 지표파

78. 절대고도란 고도계의 어떤 세팅 방법인가?
1. QNH setting
2. QNE setting
3. QNT setting
4. QFE setting

79. 활주로에 접근하는 비행기에 활주로 중심선을 제공해주는 지상시설은?
1. LOCALIZER
2. GLIDE SLOP
3. MAKER BEACON 라VOR
4. VOR

80. 피토-정압계통에서 피토 튜브에 걸리는 공기압은?
1. 정압
2. 동압
3. 대기압
4. 전압
진행 상황
답안 완료율
0%
미답안 답안완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