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산업기사

(2010-05-09 기출문제 - 전체보기)
총 80문제 답안 완료: 0문제
1. 에어포일(Airfoil) “NACA 23012”에서 첫 번째 자리 숫자가 의미하는 것은?
1. 최대캠버의 크기가 시위(chord)의 2% 이다.
2. 최대캠버의 크기가 시위(chord)의 20% 이다.
3. 최대캠버의 위치가 시위(chord)의 15% 이다.
4. 최대캠버의 위치가 시위(chord)의 20% 이다.

2. 지름이 6.7ft 인 프로펠러가 2800rpm 으로 회전하면서 80mph 로 비행하고 있다면 이 프로펠러의 진행율은 약 얼마인가?
1. 0.23
2. 0.37
3. 0.62
4. 0.76

3. 고속 항공기에서 방향키 조작으로 빗놀이와 동시에 옆놀이 운동이 함께 일어나는 것처럼 비행기 좌표축에서 어떤한 축 주위에 교란을 줄 때 다른 축 주위에도 교란이 생기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실속(stall)
2. 스핀(spin) 운동
3. 커플링(coupling) 효과
4. 자동 회전(Autorotation)

4. 다음과 같은 조건에서 헬리곱터의 원판하중은 약 몇 kgf/m2인가?
1. 28.5
2. 30.5
3. 32.5
4. 35.5

5. 비행기가 정상비행 시 110Km/h로 실속한다면 하중배수가 1.3인 경우 실속속도는 약 몇 Km/h 인가?
1. 34
2. 68
3. 125
4. 250

6. 비행기가 최소 속도를 나타낸 식으로 옳은 것은? (단, W : 비행기무게, ρ : 밀도, S : 기준면적,CLmax : 최대양력계수 이다.)

7. 항력계수가 0.02 이며, 날개 면적이 20m2인 항공기가 150m/s 로 등속도 비행을 하기 위해 필요한 추력은 약 몇 kgf 인가? (단, 공기의 밀도는 0.125kgf-s2/m4이다.)
1. 433
2. 563
3. 643
4. 723

8. 비행기의 조종력을 경감시키는 공력평형장치가 아닌 것은?
1. 혼 밸런스(horn balance)
2. 조종 밸런스(control balance)
3. 내부 밸런스(internal balance)
4. 앞전 밸런스(leading edge balance)

9. 운항중인 항공기에서 조종면의 조종효과를 발생시키기 위해서 주로 변화시키는 것은?
1. 날개골의 면적
2. 날개골의 두께
3. 날개골의 캠버
4. 날개골의 깊이

10. 항공기에는 층류가 난류로 바뀌는 것을 지연시키기 위해 층류 에어포일(laminar airfoil)을 사용하는데 이는 무엇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인가?
1. 간섭항력
2. 마찰항력
3. 조파항력
4. 형상항력

11. 항공기의 비행성능을 좋게 하기 위하여 날개 끝부분에 장착하는 윙렛(winglet)의 직접적인 역학적 효과는?
1. 양력증가
2. 마찰항력감소
3. 실속방지
4. 유도항력감소

12. 선회각 Φ로 정상 수평 선회비행하는 비행기의 하중배수를 나타낸 식은? (단, W는 항공기의 무게이다.)

13. 공기력 중심(Aerodynamic center)을 옳게 설명한 것은?
1. 날개에 발생하는 합성력이 작용하는 점
2. 받음각이 변해도 피칭 모멘트 값이 일정한 점
3. 받음각이 변하면 피칭 모멘트 값이 변화하지만 양력계수가 일정한 점
4. 받음각이 변화함에 따라 피칭 모멘트 값이 0(zero) 이 되는 점

14. 비행기가 230km/h 로 수평비행 할 때 비행기의 상승률이 8m/s 라고 하면, 이 비행기 상승각은 약 몇°인가?
1. 4.8
2. 5.2
3. 7.2
4. 9.4

15. 프로펠러의 효율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비행속도가 증가하면 깃각이 작아져야 한다.
2. 비행기가 이륙하거나 상승 시에는 깃각을 크게 해야 한다.
3. 프로펠러의 효율을 좋게 하기 위해서 진행율이 작을 때는 깃각을 크게 해야 한다.
4. 비행중 프로펠러 깃각이 변하는 가변피치 프로펠러를 사용하면 프로펠러 효율이 좋다.

16. 비행기에 옆놀이 모멘트(Rolling moment)를 주는 조종면은?
1. 승강키
2. 도움날개
3. 방향키
4. 고양력장치

17. 면적이 20m2인 도관을 공기가 15m/s 의 속도로 흐른다면 도관을 지나는 공기의 질량 유량은 몇 kg/s인가? (단, 공기의 밀도가 2kg/m3이다.)
1. 30
2. 40
3. 300
4. 600

18. 헬리곱터의 정지비행 상승한도(hovering ceiling)를 마력을 이용하여 옳게 표현한 것은?
1. 이용마력 > 필요마력
2. 이용마력 = 필요마력
3. 이용마력 < 필요마력
4. 유도항력마력 = 이용마력 + 필요마력

19. 다음 중 날개 상면에 공중 스포일러(flight spoiler)를 설치하는 이유로 옳은 것은?
1. 양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2. 활공각을 감소시키기 위해
3. 최대 항속거리를 얻기 위하여
4. 고속에서 도움날개의 역할을 보조하기 위하여

20. 지구의 중력가속도가 일정한 것으로 가정하여 정한 고도는?
1. 압력 고도
2. 기하학적 고도
3. 밀도 고도
4. 지구 포텐셜 고도

21. 6기통, 4행정 왕복기관의 제동마력이 300ps, 회전속도가 2400rpm 일 때 토크는 약 몇 kgf·m 인가? (단, 1ps 는 75kgf·m/s 이다.)
1. 67.8
2. 75.2
3. 89.5
4. 119.3

22. 왕복기관에 발생하는 노크현상과 관계가 가장 먼 것은?
1. 압축비
2. 연료의 기화성
3. 실린더 온도
4. 연료의 옥탄가

23. 다음 중 일반적으로 라인정비(line maintenance)에서 할 수 없는 작업은?
1. 배기노즐 장탈
2. 기관 압축기 분해
3. 보기장치의 교환
4. 연료제어장치 교환

24. 왕복기관 윤활계통에서 윤활유의 역할이 아닌 것은?
1. 금속가루 및 미분을 제거한다.
2. 금속 부품의 부식을 방지한다.
3. 연료에 수분의 침입을 방지한다.
4. 금속면 사이의 충격 하중을 완충시킨다.

25. 가스터빈관의 열효율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 가장 거리 가 먼 내용은?
1. 터빈 냉각 방법을 개선한다.
2. 배기가스온도를 증가시킨다.
3. 기관의 내부 손실을 방지한다.
4. 고온에서 견디는 터빈 재질을 사용한다.

26. 가스터빈기관의 이론 사이클에서 흡열반응은 어떤 시기에 이루어지는가?
1. 정압 상태
2. 정적 상태
3. 단열 팽창
4. 단열 압축

27. 왕복기관의 마그네토 브레이커 포인트(breaker point)가 고착되었다면 어떤 현상을 초래하는가?
1. 기관 시동시 역화가 발생한다.
2. 마그네토의 작동이 불가능하다.
3. 고속 회전 점화시 과열현상이 발생한다.
4. 스위치를 off해도 기관이 정지하지 않는다.

28. 화씨온도에서 물이 어는 온도와 끓는 온도는 각각 몇˚F 인가?
1. 어는 온도 : 0 , 끓는 온도 : 100
2. 어는 온도 : 12 , 끓는 온도 : 192
3. 어는 온도 : 22 , 끓는 온도 : 202
4. 어는 온도 : 32 , 끓는 온도 : 212

29. 그림과 같은 브레이튼 사이클(brayton cycle)에서 2-3과정은?
1. 압축과정
2. 연소과정
3. 팽창과정
4. 방출과정

30. 가스터빈기관의 역추력 장치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정상 착륙시 제동 능력 및 방향 전환 능력을 도우며, 제동 장치의 수명을 연장시켜 준다.
2. 공기 역학적 차단 장치인 cancade reverser와 기계적차단 장치인 clamshell reverser가 있다.
3. 항공기의 속도가 느린 시기에 효과가 있으며 속도가 빠른 경우에는 배기가스가 기관에 재흡입되어 실속을 일으킬 수 있다.
4. 터빈 리버서는 전체 역추력의 20~30% 정도에 지나지 않고, 고장의 발생률이 높아 팬 리서버만을 사용하기도 한다.

31. 축류형 압축기에서 1단(stage)의 의미를 옳게 설명한 것은?
1. 저압압축기(low compressor)을 말한다.
2. 고압압축기(high compressor)을 말한다.
3. 1열의 로터(rotor)와 1열의 스테이터(stator)를 말한다.
4. 저압압축기(low compressor)와 고압압축기(highcompressor)를 합하여 일컫는 말이다.

32. 아음속 항공기에 사용되는 기관의 공기흡입 덕트는 일반적으로 어떤 형태인가?
1. 확산형 덕트(divergent duct)
2. 수축형 덕트(convergent duct)
3. 수축-확산형 덕트(convergent-divergent duct)
4. 가변공기 흡입 덕트(variable ceometry air inlet duct)

33. 다음 중 프로펠러 블레이드(propeller blade)에 작용하는 응력이 아닌 것은?
1. 인장응력
2. 구심응력
3. 굽힘응력
4. 비틀림 응력

34. 다음 중 후기 연소기가 없는 터보제트기관에서 전압력이 가장 높은 곳은?
1. 공기 흡입구
2. 압축기 입구
3. 압축기 출구
4. 터빈 출구

35. 왕복기관의 저속(idle)에서 혼합기가 아주 희박할 때 발생하는 가장 중요한 현상은?
1. 기관 rpm이 상승한다.
2. 출력이 급격히 증가한다.
3. 시동시 역화가 발생할 수 있다.
4. 점화플러그에 탄소를 침착히킨다.

36. 비행속도가 V, 회전속도가 n(rpm)인 프로펠러의 1회전 소요시간이 60/n초 일 때 유효피치를 나타내는 식은?
1. 60V/n
2. 60n/V
3. nV/60
4. V/60

37. 터보팬 제트기관의 1차 공기량이 50kgf/s, 2차 공기량 60kgf/s, 1차 공기 배기속도 170m/s, 2차 공기 배기속도 100m/s 이라면 이 기관의 바이패스 비(bypass ratio)는 얼마인가?
1. 0.59
2. 0.83
3. 1.2
4. 1.7

38. 왕복기관의 지상 시운전시 최대 마력이 되지 않는다면 예상되는 원인이 아닌 것은?
1. 기화기에 결빙이 형성되어 있다.
2. 이그나이터의 간극이 규정값 이상이다.
3. 기화기 히트(heat)가 ‘ON’위치에 있다.
4. 스로틀(throttle)이 완전히 전개되지 않는다.

39. 항공기 왕복기관에서 다이나믹 댐퍼의 주된 역할로 옳은 것은?
1. 정적평형 유지
2. 축에 가해지는 압축하중 방지
3. 크랭크축의 원심력 하중 증가
4. 크랭크축의 비틀림(torsion)진동을 흡수

40. 기관의 공기 흡입구에 얼음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관 방빙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더운 물을 기관 인렛(inlet) 속으로 분사 한다.
2. 배기가스를 인렉 스트러트(inlet strut)에 보낸다.
3. 압축기 통과 전의 청정한 공기를 입구(inlet) 쪽으로 순환시킨다.
4. 압축기의 고온 브리드 공기를 흡입구(intake), 인렛 가이드 베인(inlet guide vane)으로 보낸다.

41. 그림과 같이 길이 2m인 외팔보에 2개의 집중하중 300kg, 100kg 이 작용할 때 고정단에 생기는 최대굽힙모멘트의 크기는 약 몇 kg·m 인가?
1. 400
2. 650
3. 750
4. 800

42. 리벳작업을 위한 구멍뚫기 작업 시 주의하여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드릴작업 후 리밍작업을 한다.
2. 구멍은 리벳 직경보다 약간 크게 한다.
3. 리밍작업시 리머를 뺄 때 회전방향을 반대로 한다.
4. 드릴작업 후 구멍의 버(burr)는 되도록 보존하도록 한다.

43. 일정온도에서 시간에 따라 재료의 변형율이 변화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creep
2. fatigue
3. strain
4. buckling

44. 리벳의 재질에 따른 기호와 리벳머리의 표시를 짝지은 것으로 틀린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A(1100) - 표시없음
2. D(2017) - 머리에 오목한 점이 있다.
3. B(5056) - 머리에 + 표로 표시되어 있다.
4. DD(2024)- 머리에 두 개의 튀어나온 점이 있다.

45. 약 1500˚F까지 온도가 올라갈 수 있는 기관부위에 사용 할 수 있는 안전결선재료는?
1. Cu 합금
2. 5056 AL 합금
3. Ni-Cd 합금 (모넬)
4. Ni-Cr-Fe 합금 (인코넬)

46. 항공기의 여러 곳에 가장 많이 사용되며 그립이 없고 보통 납작머리, 둥근머리, 와셔머리 등으로 되어 있는 스크류는?
1. 구조용 스크류
2. 테이퍼핀 스크류
3. 기계용 스크류
4. 셀프테핑 스크류

47. 2차 조종면 중 평행탭(balance tab)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조종특성을 위해 케이블에 의해 수시로 조절가능한 탭이다.
2. 소형 항공기에 적당하며 저항이 크고 진동이 심한 장소에 장착된다.
3. 1차 조종면과 2차 조종면이 스프링을 통해 연결되어 있어 1차 조종면과 2차 조종면이 서로 반대 작동한다.
4. 1차 조종면과 2차 조종면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작동하며, 1차 조종면과 2차 조종면에 작용하는 중압이 평행되는 위치에서 1차 조종면의 위치가 정해지는 방식이다.

48. 그림과 같은 응력-변형률곡선에서 극한응력을 나타내는 곳은? (단, σ는 응력, ε은 변형률을 나타낸다.)
1. A
2. B
3. C
4. D

49. 알클래드(Alclad) 판은 어떤 목적으로 알루미늄 합금판 위에 순수 알루미늄을 피복한 것인가?
1. 공기 저항 감소
2. 인장강도의 증대
3. 기체 전지거장 감소
4. 공기 중에서의 부식방지

50. 항공기기체가 기내 압력이 높아진다면 기체를 연결한 리베트(rivet)가 받는 주된 힘은?
1. 인장력
2. 전단력
3. 압축력
4. 비틀림

51. 항공기기체의 세미모노코크구조 형식에서 동체의 종방향 구조부재로만 짝지어진 것은?
1. 스파(spar), 리브(rib)
2. 리브(rib), 프레임(frame)
3. 스파(spar), 스트링거(stringer)
4. 론저론(longeron), 스트링거(stringer)

52. 실속 속도가 150km/h인 비행기를 300km/h의 속도로 수평비행을 하다가 갑자기 조종간을 당겨 최대 받음각의 자세를 취하여 CLmax인 상태로 하였을 때 하중계수는?
1. 1
2. 2
3. 4
4. 8

53. 알루미늄의 표면에 인공적으로 얇은 산화피막을 형성하는 방법은?
1. 파커라이징
2. 주석 도금 처리
3. 아노다이징
4. 카드뮴 도금 처리

54. 알루미늄합금과 구조용 강철과의 기계적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동일한 하중에 대한 변형량이 알루미늄 합금이 구조용 강철에 비해 약 3배 정도이다.
2. 알루미늄 합금은 구조용 강철에 비해 제 1 변태점이 약300℃ 정도가 높다.
3. 구조용 강철의 탄성계수는 알루미늄 합금의 탄성계수의 약 2배 정도이다.
4. 제 1 변태점만을 고려 했을 때 알루미늄 합금은 구조용 강철보다 초음속 여객기의 표피에 적합하다.

55. 케이블 조종계통에서 케이블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부품은?
1. 풀리(pulley)
2. 턴 버클(turn buckle)
3. 벨 크랭크(bell crank)
4. 케이블 텐션 미터(cable tension meter)

56. 플랜지(flange)가공작업에서 플랜지의 곡선을 외부로 볼록하게 가공하는 작업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압축플랜지
2. 인장플랜지
3. 복합플랜지
4. 볼록플랜지

57. 알루미늄 합금 중 이질금속간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나머지 셋과 접촉시키지 않아야 되는 것은?
1. 1100
2. 2014
3. 3003
4. 5052

58. 조종 케이블의 점검에 대한 설명 중 가장 거리가 먼 내용은?
1. 케이블의 손상점검은 헝겊을 이용한다.
2. 케이블 내부에 부식이 있으면 케이블을 교환한다.
3. 케이블 외부 부식은 솔벤트에 담궈 녹여서 제거한다.
4. 케이블을 역방향으로 비틀어서 내부부식을 점검한다.

59. FRCM의 모재(matrix)중 사용온도 범위가 가장 큰 것은?
1. FRC
2. BMI
3. FRM
4. FRP

60. 항공기 기체 구조의 리깅(rigging) 작업 시 구조의 얼라이먼트(Alignment) 점검 사항이 아닌 것은?
1. 날개 상반각
2. 날개 취부각
3. 수평 안정판 장착각
4. 항공기 파일론 장착면적

61. 인공위성을 이동하여 통신, 항버, 감시 및 항공관제를 통합 관리하는 항공운항지원시스템의 명칭은?
1. 위성 항행 시스템
2. 항공 운행 시스템
3. 위성 통합 시스템
4. 항공 관리 시스템

62. 객실 여압계통에서 대기압이 객실안의 기압보다 높은 경우 객실로 자유롭게 들어오도록 사용하는 장치로 진공밸브라고도 하는 것은?
1. 부압 릴리프 밸브
2. 객실 하강율 조절기
3. 압축비 한계 스위치
4. 슈퍼차저 오버스피드 밸브

63. 압력조절기에서 킥인(kick-in)과 킥아웃(kick-out) 상태는 어떤 밸브의 상호작용으로 하는가?
1. 체크밸브와 릴리프밸브
2. 체크밸브와 바이패스밸브
3. 흐름조절기와 릴리프밸브
4. 흐름평형기와 바이패스밸브

64. 다음 중 소형 항공기의 연속 전기부하가 아닌 것은?
1. 착륙등
2. 기관 계기
3. VHF 수신기
4. 연료 펌프

65. 항공기 기관의 구동축과 발전기축 사이에 장착하여 주파수를 일정하게 만들어주는 장치는?
1. 출력 구동 장치
2. 변속 구동 장치
3. 정속 구동 장치
4. 주파수 구동 장치

66. 항공기를 지상에서 자차수정 할 때의 주의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조종계통을 중립 위치로 할 것
2. 항공기를 수평 상태로 유지할 것
3. 기관계통은 작동 상태로 놓을 것
4. 전기계통은 OFF 위치에 놓을 것

67. 다음 중 항공기의 내부조명등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계기등
2. 객실 조명등
3. 항법등
4. 화물실 조명등

68. 전기저항식 온도계의 온도 수감부(temperature bulb)가 단선되었을 때 지시값의 변화로 옳은 것은?
1. 단선 직전의 값을 지시한다.
2. 지시계의 지침은 ‘0’을 지시한다.
3. 지시계의 지침은 저온측의 최소값을 지시한다.
4. 지시계의 지침은 고온측의 최대값을 지시한다.

69. 항공기에 사용되는 축전지의 충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정전류 충전법은 병렬연결을 기본으로 한다.
2. 정전압 충전법은 직렬연결을 기본으로 한다.
3. 납축전지는 전해액의 비중으로 충전상태를 알 수 있다.
4. 정전압 충전버은 충전 완료시기를 예측할 수 있는 장치가 있다.

70. 항공기 전기·전자 장비품을 전기적으로 본딩(bonding)하는 이유로 옳은 것은?
1. 이·착륙시 진동을 흡수하게 하기 위하여
2. 정전하(static charge)의 축적을 허용하기 위하여
3. 항공기 장비품의 구조를 보완하고 진동을 줄이기 위해
4. 전기·전자 장비품에 대전되어 있는 정전기를 방전하기 위하여

71. 다음 전기회로에서 총저항과 축전지가 부담하는 전류는 각각 얼마인가?
1. 2Ω, 12A
2. 4Ω, 8A
3. 4Ω, 6A
4. 6Ω, 4A

72. 항공기 계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선회계는 섭동성만을 이용한 계기이다.
2. 방향지시계는 강직성을 이용한 계기이다.
3. 수평지시계는 기수 방향에 대한 수직인 자이로 축을 갖고 있다.
4. 회전체의 회전수를 지시하는 계기는 강직성과 섭동성을 모두 이용한 계기이다.

73. 다음 중 피토압에 영향을 받지 않는 계기는?
1. 속도계
2. 고도계
3. 승강계
4. 선회 경사계

74. 신호에 따라 반송파의 진폭을 변화시키는 변조방식은?
1. PCM 방식
2. FM 방식
3. AM 방식
4. PM 방식

75. 활주로 진입로 상공을 통과하고 있다는 것을 조종사에게 알리기 위한 지상장치는?
1. 대지접근경보장치(GPWS)
2. 로컬라이저(localizer)
3. 마커 비컨(marker beacon)
4. 글라이드 슬로프(glide slope)

76. 대기속도계의 색표시에서 플랩을 조작하는 것과 가장 관계가 깊은 색은?
1. 녹색
2. 황색
3. 백색
4. 적색

77. 작동유의 점성이 클수록 흐름과 압력손실은 각각 어떠한가?
1. 흐름은 느리고 압력손실은 크다
2. 흐름은 느리고 압력손실은 작다.
3. 흐름은 빠르고 압력손실은 크다.
4. 흐름은 빠르고 압력손실은 작다.

78. 비행상태에 따른 객실고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착륙시 지상고도와 일치시킨다.
2. 순항시 객실고도는 8500ft를 유지한다.
3. 하강시 객실고도는 일정비율로 감소시킨다.
4. 상승시 객실고도는 일정비율로 증가시킨다.

79. 다음 중 공기식 제빙장치가 사용되는 곳이 아닌 곳은?
1. 조종날개
2. 수직 안정판 앞전
3. 날개 앞전
4. 프로펠러 깃의 앞전

80. 면적이 2in2인 A 피스톤과 10in2 인 B 피스톤을 가진 실린더가 유체역학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을 경우, A 피스톤에 20lbs의 힘이 가해질 때 B 피스톤에 발생되는 압력은 몇 psi 인가?
1. 5
2. 10
3. 20
4. 100
진행 상황
답안 완료율
0%
미답안 답안완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