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산업기사

(2017-03-05 기출문제 - 전체보기)
총 80문제 답안 완료: 0문제
1. 비행기의 최대양력계수가 커질수록 이와 관계된 비행성능의 변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상승속도가 크고 착륙속도도 커진다.
2. 상승속도는 작고 착륙속도는 커진다.
3. 선회반경이 크고 착륙속도는 작아진다.
4. 실속속도가 작아지고 착륙속도도 작아진다.

2. 프로펠러 항공기의 항속거리를 최대로 하기 위한 조건으로 옳은 것은?(단, CDp는 유해항력계수, CDi는 유도항력계수이다.)
1. CDp = CDi
2. CDp = 2CDi
3. CDp = 3CDi
4. 3CDp = CDi

3. 무게 2000kgf의 비행기가 5km 상공에서 급강하할 때 종극속도는 약 몇 m/s인가?(단, 항력계수 0.03, 날개하중 300kgf/m2, 공기의밀도 0.075kgf·s2/m4이다.)
1. 350
2. 516.4
3. 620
4. 771.5

4. 전진비행 중인 헬리콥터의 진행방향 변경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1. 꼬리 회전날개를 경사시킨다.
2. 꼬리 회전날개의 회전수를 변경시킨다.
3. 주 회전날개깃의 피치각을 변경시킨다.
4. 주 회전날개 회전면을 원하는 방향으로 경사시킨다.

5. 다음 중 항공기의 양력(lift)에 영향을 가장 적게 미치는 요소는?
1. 양력계수
2. 공기 밀도
3. 항공기 속도
4. 공기 점성

6. 날개의 양력분포가 타원 모양이고 양력계수가 1.2, 가로세로비가 6일 때 유도항력계수는 약 얼마인가?
1. 0.012
2. 0.076
3. 1.012
4. 1.076

7. 수직충격파 전후의 유동특성으로 틀린 것은?
1. 충격파를 통과하는 흐름은 등엔트로피 흐름이다.
2. 수직충격파 뒤의 속도는 항상 아음속이다.
3. 충격파를 통과하게 되면 급격한 압력상승이 일어난다.
4. 충격파는 실제적으로 압력의 불연속면이라 볼수 있다.

8. 항공기의 착륙거리를 줄이기 위한 방법이 아닌 것은?
1. 추력을 크게 한다.
2. 익면하중을 작게 한다.
3. 역추력장치를 사용한다.
4. 지면 마찰계수를 크게 한다.

9. 해면상 표준대기에서 정압(static pressure)의 값으로 틀린 것은?
1. 0 kg/m2
2. 2116.2 lb/ft2
3. 29.92 inHg
4. 1013.25 mbar

10. 비행기의 세로안정을 좋게 하기 위한 방법이 아닌 것은?
1. 수직꼬리날개의 면적을 증가시킨다.
2. 수평꼬리날개 부피계수를 증가시킨다.
3. 무게중심이 날개의 공기역학적 중심 앞에 위치 하도록 한다.
4. 무게중심에 관한 피칭모멘트계수가 받음각이 증가함에 따라 음(-)의 값을 갖도록 한다.

11. 직사각형 날개의 가로세로비를 나타낸 식으로 틀린 것은? (단, b : 날개의 길이, c : 날개의 시위, s : 날개의 면적이다.)
1. b/c
2. b2/s
3. s/c2
4. c2/s

12. 무게 4000kgf인 항공기가 선회경사각 60°로 경사선회하며 하중계수 1.5가 작용한다면 이 항공기의 양력은 몇 kgf인가?
1. 2000
2. 4000
3. 6000
4. 8000

13. 항공기의 조종성과 안정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전투기는 안정성이 커야 한다.
2. 안정성이 커지면 조종성이 나빠진다.
3. 조종성이란 평형상태로 되돌아오는 정도를 의미한다.
4. 여객기의 경우 비행성능을 좋게 하기 위해 조종성에 중점을 두어 설계해야 한다.

14. 조종면에 발생되는 힌지 모멘트가 증가되는 경우로 옳은 것은?
1. 조종면의 폭을 키운다.
2. 비행기의 속도를 줄인다.
3. 항공기 주 날개의 무게를 늘린다.
4. 조종면의 평균 시위를 최대한 작게 한다.

15. 비행기의 수직꼬리날개 앞 동체에 붙어 있는 도살핀(dorsal fin)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1. 구조 강도를 좋게 한다.
2. 가로 안정성을 좋게 한다.
3. 방향 안정성을 좋게 한다.
4. 세로 안정성을 좋게 한다.

16. 100m/s로 비행하는 프로펠러 항공기에서 프로펠러를 통과하는 순간의 공기 속도가 120m/s가되었다면 이 항공기의 프로펠러 효율은 약 얼마인가?
1. 0.76
2. 0.83
3. 0.91
4. 0.97

17. 항공기 사고의 원인이 되기도 하는 스핀(spin)이 일어날 수 있는 조건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기관이 멈추었을 때
2. 받음각이 실속각보다 클 때
3. 한쪽 날개 플랩이 작동하지 않을 때
4. 항공기 착륙장치가 작동하지 않을 때

18. 프로펠러의 깃각을 감소시키려는 경향을 갖는 요소로 옳은 것은?
1. 추력에 의한 굽힘모멘트
2. 회전력에 의한 굽힘모멘트
3. 원심력에 의한 비틀림모멘트
4. 공기력에 의한 비틀림모멘트

19. 특정한 헬리콥터에서 회전날개(rotor blades)에 비틀림 각을 주는 주된 이유는?
1. 회전날개의 무게를 경감하기 위하여
2. 회전날개의 회전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3. 전진비행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줄이기 위하여
4. 정지비행 시 균일한 유도속도의 분포를 얻기 위하여

20. 전리층이 존재하기 때문에 전파를 흡수, 반사하는 작용을 하여 통신에 영향을 주는 대기층은?
1. 대류권
2. 열권
3. 중간권
4. 성층권

21. 왕복엔진을 장착하는 동안 마그네토 점화스위치를 Off 위치에 두는 이유는?
1. 점화스위치가 잘못 놓일 수 있는 가능성 때문에
2. 엔진장착 도중에 프로펠러를 돌리면 엔진이 시동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3. 엔진시동 시 역화(back fire)를 방지하기 위하여
4. 엔진을 마운트(mount)에 완전히 장착시킨 후 마그네토 접지선을 점검치 않기 위하여

22. 가스터빈엔진의 터빈에서 공기압력과 속도의 변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압력과 속도 모두 감소한다.
2. 압력과 속도 모두 증가한다.
3. 압력은 증가하고 속도는 감소한다.
4. 압력은 감소하고 속도는 증가한다.

23. 왕복엔진에 장착된 피스톤 링(piston ring)의 역할이 아닌 것은?
1. 피스톤의 진동에 의한 경화현상을 방지하는 기능
2. 윤활유가 연소실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
3. 연소실 내의 압력을 유지하기 위한 밀폐기능
4. 피스톤으로부터 실린더벽으로 열을 전도하는 기능

24. 비행 중 엔진고장 시 프로펠러를 페더링(feathering) 시켜야 하는 이유로 옳은 것은?
1. 엔진의 진동을 유발해 화재를 방지하기 위하여
2. 풍차(windmill) 효과로 인해 추력을 얻기 위하여
3. 프로펠러 회전을 멈춰 추가적인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4. 전면과 후면의 차압으로 프로펠러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25. 초기압력과 체적이 각각1000N/cm2,1000cm3인 이상기체가 등온상태로 팽창하여 체적이 2000cm3이 되었다면, 이 때 기체의 엔탈피 변화는 몇 J인가?
2. 5
3. 10
4. 20

26. 회전동력을 이용하여 프로펠러를 움직여 추진력을 얻는 엔진으로만 짝지어진 것은?
1. 터보프롭 - 터보팬
2. 터보샤프트 - 터보팬
3. 터보샤프트 - 터보제트
4. 터보프롭 - 터보샤프트

27. 비가역 과정에서의 엔트로피 증가 및 에너지 전달의 방향성에 대한 이론을 확립한 법칙은?
1. 열역학 제0법칙
2. 열역학 제1법칙
3. 열역학 제2법칙
4. 열역학 제3법칙

28. 터빈엔진(turbine engine)의 윤활유(lubrication oil)의 구비조건이 아닌 것은?
1. 인화점이 낮을 것
2. 점도지수가 클 것
3. 부식성이 없을 것
4. 산화 안정성이 높을 것

29. 엔진의 오일탱크가 별도로 장치되어 있지 않고 스플래쉬(splash) 방식에 의해 윤활되는 오일계통을 무엇이라 하는가?
1. Hot Tank System
2. Wet Sump System
3. Cold Tank System
4. Dry Sump System

30. 다음 중 초음속 전투기 엔진에 사용되는 수축-확산형 가변배기 노즐(VEN)의 출구면적이 가장 큰 작동상태는?
1. 전투추력(military thrust)
2. 순항추력(cruising thrust)
3. 중간추력(intermediate thrust)
4. 후기연소추력(afterburning thrust)

31. [보기]에 나열된 왕복엔진의 종류는 어떤 특성으로 분류한 것인가?
1. 엔진의 크기
2. 엔진의 장착 위치
3. 실린더의 회전 형태
4. 실린더의 배열 형태

32. 왕복엔진 기화기의 혼합기 조절장치(mixture control system)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고도에 따라 변하는 압력을 감지하여 점화시기를 조절한다.
2. 고고도에서 혼합기가 너무 농후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3. 고고도에서 기압, 밀도, 온도가 감소하는 것을 보상하기 위해 사용된다.
4. 실린더가 과열되지 않는 출력 범위 내에서 희박한 혼합기를 사용하게 함으로써 연료를 절약한다.

33. 2차 공기유량이 16500 lb/s이고 1차 공기유량이 3000 lb/s인 터보팬엔진에서 바이패스비는?
1. 6.3 : 1
2. 5.5 : 1
3. 4.3 : 1
4. 3.7 : 1

34. 비행 중 프로펠러에 작용하는 힘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원심력
2. 추력
3. 구심력
4. 비틀림힘

35. 왕복엔진 배기밸브(exhaust valve)의 냉각을 위해 밸브 속에 넣는 물질은?
1. 스텔라이트
2. 취화물
3. 금속나트륨
4. 아닐린

36. 압축비가 8인 오토사이클의 열효율은 약 얼마인가?(단, 공기 비열비는 1.5이다.)
1. 0.52
2. 0.56
3. 0.58
4. 0.64

37. 왕복엔진에서 저압점화계통을 사용할 때 단점은?
1. 캐패시턴스
2. 무게의 증대
3. 플래시 오버
4. 고전압 코로나

38. 가스터빈엔진에서 가스 발생기(gasgenerator)를 나열한 것은?
1. Compressor, Combustion chamber,Turbine
2. Compressor, Combustion chamber,diffuser
3. Inlet duct, Combustion chamber, diffuser
4. Compressor, Combustion chamber,Exhaust

39. 가스터빈엔진에서 연료계통의 여압 및 드레인밸브(P&D valve)의 기능이 아닌 것은?
1. 일정 압력까지 연료흐름을 차단한다.
2. 1차 연료와 2차 연료흐름으로 분리한다.
3. 연료 압력이 규정치 이상 넘지 않도록 조절한다.
4. 엔진정지 시 노즐에 남은 연료를 외부로 방출한다.

40. 가스터빈엔진의 시동 시 정상작동 여부를 판단하는데 중요한 계기는?
1. 오일압력계기, 연소실 압력계기
2. 오일압력계기, 배기가스온도계기
3. 오일압력계기, 압축기입구 공기온도계기
4. 오일압력계기, 압축기입구 공기압력계기

41. 항공기에서 복합재료를 사용하는 주된 이유는?
1. 무게 당 강도가 높다.
2. 재료를 구하기가 쉽다.
3. 재질 표면에 착색이 쉽다.
4. 재료의 가공 및 취급이 쉽다.

42. 밀착된 구성품 사이에 작은 진폭의 상대운동이 일어날 때 발생하는 제한된 형태의 부식은?
1. 점(pitting)부식
2. 피로(fatigue)부식
3. 찰과(fretting)부식
4. 이질금속간(galvanic)부식

43. NAS 514 P 428 - 8 스크류에서 P가 의미하는 것은?
1. 재질
2. 나사계열
3. 길이
4. 머리의 홈

44. 탄성을 가진 고분자 물질인 합성고무가 아닌 것은?
1. 부틸
2. 부나
3. 에폭시
4. 실리콘

45. 단면적이 A이고, 길이가 L이며 탄성계수가 E인 부재에 인장하중 P가 작용하였을 때, 이 부재에 저장되는 탄성에너지로 옳은 것은?

46. 구조재료에 발생하는 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반복하중에 의하여 재료의 저항력이 증가하는 현상을 피로라 한다.
2. 일정한 응력을 받는 재료가 일정한 온도에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하중이 일정하더라도 변형률이 변하는 현상을 크리프라 한다.
3. 노치, 작은 구멍, 키, 홈 등과 같이 단면적의 급격한 변화가 있는 부분에 대단히 큰 응력이 발생하는 현상을 응력집중이라 한다.
4. 축방향의 압축력을 받는 부재 중 기둥이 압축하중에 의해 파괴되지 않고 휘어지면서 파단되어 더이상 하중에 견디지 못하게 되는 현상을 좌굴이라 한다.

47. 트러스(truss)구조형식의 항공기에 없는 부재는?
1. 리브(rib)
2. 장선(brace wire)
3. 스파(spar)
4. 스트링거(stringer)

48. 조종간의 조종력을 케이블이나 푸시풀로드를 대신하여 전기, 전자적으로 변환된 신호상태로 조종면의 유압작동기를 움직이도록 전달하는 장치는?
1. 트림 시스템(trim system)
2. 인공감지장치(artificial feel system)
3. 플라이 바이 와이어 장치(fly by wire system)
4. 부스터 조종장치(booster control system)

49. 그림과 같이 단면의 면적이 10cm2의 원형 강봉에 40kN의 인장하중이 작용하는 경우, 축의 수직인 면에 발생하는 수직응력은 약 몇 MPa인가?
1. 40
2. 50
3. 60
4. 70

50. 셀프락킹 너트(self locking nut) 사용에 대한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규정토크 값에 락킹토크 값을 더한 값을 적용한다.
2. 볼트에 장착했을 때 너트면 보다 2산 이상의 나사산이 나와 있어야 한다.
3. 볼트 지름이 1/4인치 이하이며 코터핀 구멍이 있는 볼트에는 사용할 수 없다.
4. 회전부분의 너트가 연결부를 이루는 곳에 주로사용된다.

51. 폭이 20cm, 두께가 2mm인 알루미늄판을 그림과 같이 직각으로 굽히려 할 때 필요한 알루미늄판의 세트백(set back)은 몇 mm인가?
1. 8
2. 10
3. 12
4. 14

52. 2차원의 구조물에 미치는 힘을 해석할 때 정역학의 평형방정식(ΣF=0, ΣM=0)은 총 몇 개가 되는가?
1. 1
2. 2
3. 3
4. 6

53. 기체 구조의 고유진동수와 일치하는 진동수를 가지는 외부하중이 부가되면 하중의 크기가 아주크지 않더라도 파괴가 일어날 수 있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피로
2. 공진
3. 크리프
4. 항복

54. 안티스키드(anti-skid) 기능 중 착륙 시 바퀴가 지면에 닿기 전에 조종사가 브레이크를 밟더라도 제동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착륙장치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지 않도록 하는 기능은?
1. 페일 세이프 보호(fail safe protection)
2. 터치다운 보호(touch down protection)
3. 정상 스키드 컨트롤(normal skid control)
4. 락크된 휠 스키드 컨트롤(locked wheel skidcontrol)

55. 항공기의 자세 조종에 사용되는 1차 조종면으로 나열된 것은?
1. 승강타, 방향타, 플랩
2. 도움날개, 승강타, 방향타
3. 도움날개, 스포일러, 플랩
4. 도움날개, 방향타, 스포일러

56. 세미모노코크구조에서 동체가 비틀림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해 주며 날개, 착륙장치 등의 장착부위로 사용되기도 하는 부재는?
1. 프레임(frame)
2. 세로대(longeron)
3. 스트링거(stringer)
4. 벌크헤드(bulkhead)

57. 올레오 스트러트(oleo strut) 착륙장치의 구성품 중 토크링크(torque link)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휠 얼라인먼트를 바르게 한다.
2. 피스톤의 과도한 신장을 제한한다.
3. 피스톤과 실린더의 회전을 방지한다.
4. 올레오 스트러트의 전, 후 행정을 제한한다.

58. 리벳 작업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리벳의 최소 연거리는 리벳지름의 2배 정도이다.
2. 리벳의 피치는 열과 열사이의 거리이다.
3. 리벳의 지름은 접합할 판재 중 제일 두꺼운 판재두께의 2배 정도가 적당하다.
4. 리벳의 열은 판재의 인장력을 받는 방향으로 배열된 리벳의 집합이다.

59. AN 표준규격 재료기호 2024(DD) 리벳을 상온에 노출되고 10분 이내에 리벳팅을 해야 하는 이유는?
1. 시효경화가 되기 때문에
2. 부식이 시작되기 때문에
3. 시효경화가 멈추기 때문에
4. 열팽창으로 지름이 커지기 때문에

60. 경비행기의 방화벽(fire wall) 재료로 사용되는 18-8 스테인리스강(stainless steel)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Cr-Mo 강으로서 열에 강하다.
2. 18% Cr과 8% Ni를 갖는 내식강이다.
3. 1.8%의 탄소와 8%의 Cr를 갖는 특수강이다.
4. 1.8%의 Cr과 0.8%의 Ni를 갖는 내식강이다.

61. 산소계통에서 산소가 흐르는 방식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희석 유량형
2. 압력형
3. 연속 유량형
4. 요구 유량형

62. 니켈-카드뮴 축전지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양극은 카드뮴이고 음극은 수산화니켈이다.
2. 방전 시 수분이 증발되므로 물을 보충해야 한다.
3. 충전 시 음극에서 산소가 발생되고, 양극에서 수소가 발생된다.
4. 전해액은 KOH이며 셀당 전압은 약 1.2~1.25V정도이다.

63. 항공기에 사용되는 유압계통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리저버와 리턴라인이 필요 없다.
2. 단위중량에 비해 큰 힘을 얻는다.
3. 과부하에 대해서도 안전성이 높다.
4. 운동속도의 조절범위가 크고 무단변속을 할 수 있다.

64. 다용도 측정기기 멀티미터(multimeter)를 이용하여 전압, 전류 및 저항측정 시 주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전류계는 측정하고자 하는 회로에 직렬로, 전압계는 병렬로 연결한다.
2. 저항계는 전원이 연결되어 있는 회로에 사용해서는 절대 안 된다.
3. 저항이 큰 회로에 전압계를 사용할 때는 저항이작은 전압계를 사용하여 계기의 션트작용을 방지해야 한다.
4. 전류계와 전압계를 사용할 때는 측정 범위를 예상해야 하지만 그렇지 못할 때는 큰 측정 범위부터 시작하여 적합한 눈금에서 읽게 될 때까지 측정범위를 낮추어 간다.

65. 항공기에서 결심고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항공기 이륙 시 조종사가 이륙여부를 결정하는 고도
2. 항공기 착륙 시 조종사가 착륙여부를 결정하는 고도
3. 항공기가 비행 중 긴급한 사항이 발생하여 착륙여부를 결정하는 고도
4. 항공기의 착륙장치를 "Down"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고도

66. 자이로를 이용한 계기가 아닌 것은?
1. 수평지시계
2. 방향지시계
3. 선회경사계
4. 제빙압력계

67. 고도계에서 압력에 따른 탄성체의 휘어짐 양이 압력증가 때와 압력감소 때가 일치하지 않는 현상의 오차는?
1. 눈금오차
2. 온도오차
3. 히스테리오차
4. 밀도오차

68. 유압작동 피스톤의 작동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옳은 것은?
1. 공급유량 감소
2. 펌프 회전수 증가
3. 작동 실린더의 직경증가
4. 작동 실린더의 스트로크(stroke) 감소

69. 객실여압계통에서 주된 목적이 과도한 객실압력을 제거하기 위한 안전장치가 아닌 것은?
1. 압력 릴리프밸브
2. 덤프밸브
3. 부압 릴리프밸브
4. 아웃플로밸브

70. 활주로에 접근하는 비행기에 활주로 중심선을 제공해주는 지상시설은?
1. VOR
2. Glide slop
3. Localizer
4. Marker beacon

71. 계자가 8극인 단상교류 발전기가 115V, 400Hz 주파수를 만들기 위한 회전수는 몇 rpm인가?
1. 4000
2. 6000
3. 8000
4. 10000

72. 군용 항공기에서 지상국과 항공기까지의 거리와 방위를 제공하는 항법장치는?
1. DME
2. TCAS
3. VOR
4. TACAN

73. 그림과 같은 회로에서 저항 6Ω의 양단전압 E는 몇 V인가?
1. 20
2. 60
3. 80
4. 120

74. 자기 컴파스의 자침이 수평면과 이루는 각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지자기의 복각
2. 지자기의 수평각
3. 지자기의 편각
4. 지자기의 수직각

75. 신호의 크기에 따라 반송파의 주파수를 변화시키는 변조방식은?
1. FM
2. AM
3. PM
4. PCM

76. 조종실의 온도변화에 따른 속도계 지시 보상방법으로 옳은 것은?
1. 진대기속도를 이용한다.
2. 등가대기속도를 이용한다.
3. 장착된 바이메탈(bimetal)을 이용한다.
4. 서멀스위치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실시된다.

77. 엔진에 화재가 발생되어 화재차단스위치(fireshuoff switch)를 작동 시켰을 때 작동하는 소화준비 과정으로 틀린 것은?
1. 발전기의 발전을 정지한다.
2. 작동유의 공급밸브를 닫는다.
3. 엔진의 연료 흐름을 차단한다.
4. 화재탐지계통의 활동을 멈춘다.

78. 자장 내 단일코일로 회전하는 발전기에서 중립면을 통과하는 코일에 전압이 유도되지 않는 이유로 옳은 것은?
1. 자력선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
2. 자력선이 차단되지 않기 때문
3. 자력선의 밀도가 너무 높기 때문
4. 자력선이 잘못된 방향으로 차단되기 때문

79. 자이로스코프(gyroscope)의 섭동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피치 축에서의 자세변화가 롤(roll) 및 요(yaw)축을 변화시키는 현상
2. 극 지역에서 자이로가 극 방향으로 기우는 현상
3. 외부에서 가해진 힘의 방향과 자이로 축의 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현상
4.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일정 방향을 유지하려는 현상

80. 제빙 부츠의 이물질을 제거할 때 우선 사용하는 세척제는?
1. 비눗물
2. 부동액
3. 테레빈
4. 중성 솔벤트
진행 상황
답안 완료율
0%
미답안 답안완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