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산업기사

(2017-09-28 기출문제 - 전체보기)
총 80문제 답안 완료: 0문제
1. 다음 중 방향 안정성이 양(+)인 경우는? (단, β: 옆비끄럼각, Cn: 요잉모멘트계수이다.)

2. 일반적으로 고정피치 프로펠러의 깃각은 어떤 속도에서 효율이 가장 좋도록 설정하는가?
1. 이륙
2. 착륙
3. 순항
4. 상승

3. 항공기 날개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날개에서 발생하는 양력은 유도항력을 유발한다.
2. 날개의 뒤처짐각은 임계마하수를 낮춘다.
3. 날개의 가로세로비는 날개폭을 넓이로 나눈 값이다.
4. 양력과 항력은 날개면적의 제곱에 비례한다.

4. 등가대기속도(Ve 진대기속도(V)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단, 밀도비 , Pt : 전압, Ps : 정압, ρ0 : 해면고도 밀도, ρ : 현재고도 밀도이다.)(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등가대기속도와 진대기속도의 관계는 이다.
2. 등가대기속도는 고도에 따른 밀도변화를 고려한 속도이다.
3. 표준대기의 대류권에서 고도가 증가할수록 진대기속도가 등가대기속도보다 느리다.
4. 베르누이의 정리를 이용하여 등가대기속도를 나타내면 이다.

5. 조종면의 폭이 2배가 되면 조종력은 어떻게 되어야 하는가?
1. 1/2 로 감소
2. 변함 없음
3. 2배 증가
4. 4배 증가

6. 비행기가 날개를 내리거나 올려 비행기의 전후축(세로축; longitudinal axis)을 중심으로 움직이는 것과 관련된 모멘트는?
1. 옆놀이 모멘트(rolling moment)
2. 빗놀이 모멘트(yawing moment)
3. 키놀이 모멘트(pitching moment)
4. 방향 모멘트(directional moment)

7. 항공기가 등속수평비행을 하기 위한 조건으로 옳은 것은? (단, L 은 양력, D 는 항력, T 는 추력, W 는 항공기 무게이다.)
1. L = W, T >D
2. L = W, T = D
3. T = W, L >D
4. T = W, L = D

8. 비행기 무게가 1000 kgf 이고 경사각 30˚, 100km/h 의 속도로 정상선회를 하고 있을 때 양력은 약 몇 kgf 인가?
1. 500
2. 866
3. 1155
4. 2000

9. 다음 중 압력계수(Cp)의 정의로 틀린 것은? (단, P∞ : 자유흐름의 정압, p : 임의점의 정압, V : 임의점의 속도, V∞ : 자유흐름의 속도, ρ : 밀도, q∞ : 자유흐름의 동압이다.)

10. 고정익 항공기 추진에 사용되는 프로펠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일반적으로 지상활주 시와 같이 전진비가 낮은 경우에 프로펠러 효율은 최대가 된다.
2. 전진비의 증가에 따라 피치각을 증가시켜야한다.
3. 로터면에 대한 비틀림각을 블레이드 팁(tip)방향으로 증가하도록 분포시킨다.
4. 프로펠러 직경이 큰 경우에는 회전수 변화로 추력을 증감시키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11. 꼬리회전날개(tail rotor)가 필요한 헬리콥터는?
1. 단일 회전날개 헬리콥터
2. 직렬식 회전날개 헬리콥터
3. 병렬식 회전날개 헬리콥터
4. 동축 역회전식 회전날개 헬리콥터

12. 착륙 접지 시 역추력을 발생시키는 비행기에 작용하는 순 감속력에 대한 식은? (단, 추력 : T, 항력 : D, 무게 : W, 양력 : L, 활주로 마찰계수 :  이다.)
1. T-D+μ(W-L)
2. T+D+μ(W+L)
3. T-D+μ(W+L)
4. T+D+μ(W-L)

13. 레이놀즈수(Reynolds number)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단위는 cm2/s이다.
2. 동점성계수에 반비례한다.
3. 관성력과 점성력의 비를 나타낸다.
4. 임계레이놀즈수에서 천이현상이 일어난다.

14. 날개골(airfoil)의 정의로 옳은 것은?
1. 날개의 단면
2. 날개가 굽은 정도
3. 최대두께를 연결한 선
4. 앞전과 뒷전을 연결한 선

15. 700 ps 짜리 2 개의 엔진을 장착한 항공기가 대기속도 50 m/s 로 상승비행을 하고 있다면 이 항공기의 상승률은 몇 m/s 인가? (단, 비행기의 중량은 5000 kgf, 항력은 1000 kgf, 프로펠러 효율은 0.8 이다.)
1. 3.4
2. 5.0
3. 6.0
4. 6.8

16. 다음 중 수평스핀(flat spin) 상태에서 받음각의 크기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약 5˚
2. 10 ~ 20˚
3. 약 60˚
4. 약 95˚ 이상

17. 제트 비행기의 최대항속시간에 해당하는 속도는 다음 중 어느 조건에서 이루어지는가?
1. 최대 이용추력
2. 최소 이용추력
3. 최대 필요추력
4. 최소 필요추력

18. 전진하는 회전날개 깃에 작용하는 양력을 헬리콥터 전진속도(V)와 주 회전날개의 회전속도(v)로 옳게 설명한 것은?
1. (v-V)2에 비례한다.
2. (v+V)2에 비례한다.
3. 에 비례한다.
4. 에 비례한다.

19. 도움날개(aileron) 및 승강키(elevator)의 힌지 모멘트와 이들 조종면을 원하는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조종력과의 관계로 옳은 것은?
1. 힌지 모멘트가 크면 조종력도 커야 한다.
2. 힌지 모멘트가 커져도 필요한 조종력에는 변화가 없다.
3. 힌지 모멘트가 크면 조종력은 작아도 된다.
4. 아음속 항공기에서는 힌지모멘트가 커질수록 필요한 조종력은 작아진다.

20. 국제표준대기의 평균 해발고도에서 특성값을 틀리게 짝지은 것은?
1. 온도 : 20 ℃
2. 압력 : 1013 hPa
3. 밀도 : 1.225 kg/m3
4. 중력가속도 : 9.8066m/s2

21. 가스터빈엔진의 기본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압축기
2. 터빈
3. 연소실
4. 감속장치

22. 가스터빈엔진에 사용되는 연료의 구비조건이 아닌 것은?
1. 가격이 저렴할 것
2. 어는점이 높을 것
3. 인화점이 높을 것
4. 연료의 중량당 발열량이 클 것

23. 오일 양이 매우 작은 상태에서 왕복엔진을 시동하였을 때, 조종사는 어떤 현상을 인지할 수 있는가?
1. 정상 작동을 한다.
2. 오일압력계기가 0을 지시한다.
3. 오일압력계기가 동요(fluctuation)한다.
4. 오일압력계기가 높은 압력을 지시한다.

24. 단(stage) 당 압력비가 1.34 인 9단 축류형 압축기의 출구압력은 약 몇 psi 인가? (단, 압축기 입구압력은 14.7 psi 이다.)
1. 177
2. 205
3. 255
4. 276

25. 이륙 시 정속 프로펠러에서 rpm 과 피치각은 어떤 상태가 되어야 가장 효율적인가?
1. 높은 rpm과 작은 피치각
2. 높은 rpm과 큰 피치각
3. 낮은 rpm과 작은 피치각
4. 낮은 rpm과 큰 피치각

26. 오토사이클의 열효율을 옳게 나타낸 것은? (단, Є : 압축비, k : 비열비이다.)

27. 왕복엔진 부품 중 윤활유에서 열을 가장 많이 흡수하는 부품은?
1. 피스톤
2. 배기밸브
3. 푸시로드
4. 프로펠러 감속기어

28. 왕복엔진에서 마그네토(magneto)의 브레이커어셈블리에서 접촉부분은 일반적으로 어떤 재료로 되어 있는가?
1. 은(silver)
2. 구리(copper)
3. 코발트(Cobalt)
4. 백금(Platinum)-이리듐(Iridium) 합금

29. 가스터빈엔진에서 압축기 실속(compressor stall)이 일어나는 경우는?
1. 흡입공기압력이 높을 때
2. 유입공기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릴 때
3. 항공기 속도가 터빈 회전속도에 비하여 너무 빠를 때
4. 흡입구로 들어오는 램공기(ram-air)의 밀도가 높을 때

30. 가스터빈엔진 점화계통의 구성품이 아닌 것은?
1. 익사이터(exciter)
2. 이그나이터(igniter)
3. 점화 전선(ignition lead)
4. 임펄스 커플링(impulse coupling)

31. 다음 중 디토네이션(detonation)을 일으키는 요인은?
1. 너무 늦은 점화시기
2. 낮은 흡입공기 온도
3. 너무 낮은 옥탄가의 연료사용
4. 너무 높은 옥탄가의 연료사용

32. 항공기 왕복엔진의 벤튜리 부분에서 실린더흡입 공기량으로부터 생긴 부압에 의해 가솔린을 빨아내고 혼합기를 만드는 방식의 기화기는?
1. 부자식 기화기
2. 충동식 기화기
3. 경계 압력식 기화기
4. 압력 분사식 기화기

33. 다음 중 프로펠러 조속기의 파일롯(pilot) 밸브의 위치를 결정하는데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은?
1. 플라이웨이트
2. 엔진오일 압력
3. 조종사의 위치
4. 펌프오일 압력

34. 항공기 왕복엔진의 출력증가를 위하여 장착하는 과급기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형식은?
1. 기어식(gear type)
2. 베인식(vane type)
3. 루츠식(roots type)
4. 원심식(centrifugal type)

35. 엔진의 공기 흡입구에 얼음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빙(anti icing)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배기가스를 인렛 스트러트(inlet strut)에 보낸다.
2. 압축기 통과 전의 청정한 공기를 인렛(inlet)쪽으로 순환시킨다.
3. 압축기의 고온 브리드 공기를 흡입구(intake), 인렛 가이드 베인(inlet guide vane)으로 보낸다.
4. 더운 물을 엔진 인렛(inlet) 속으로 분사한다.

36. 가스터빈엔진의 오일 필터를 손상시키는 힘이 아닌 것은?
1. 압력변화로 인한 피로 힘
2. 흐름체적으로 인한 압력 힘
3. 가열된 오일에 의한 압력 힘
4. 열순환(thermal cycling)으로 인한 피로 힘

37. 가스터빈엔진에서 사용되는 추력증가 장치로만 짝지어진 것은?
1. Reverse Thrust, Afterburner
2. Afterburner, Water-injection
3. Afterburner, Noise suppressor
4. Reverse Thrust, Water-injection

38. 왕복엔진에서 밸브 오버랩의 주된 효과가 아닌 것은?
1. 실린더 냉각효과를 높여준다.
2. 실린더의 체적 효율을 높여준다.
3. 크랭크 축의 마모를 감소시켜 준다.
4. 배기가스를 완전히 배출시키는데 유리하다.

39. 항공기용 왕복엔진으로 사용하는 성형엔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단열 성형엔진은 실린더 수가 짝수로 구성되어 있다.
2. 성형엔진의 2열은 짝수의 실린더 번호가 부여 된다.
3. 성형엔진의 1열은 홀수의 실린더 번호가 부여 된다.
4. 14기통 성형엔진의 크랭크 핀은 2개이다.

40. 비열비(k)에 대한 식으로 옳은 것은? (단, Cp: 정압비열, Cv : 정적비열이다.)

41. 구조부재의 일부분에 균열과 같은 결함이 잠재할 수 있다고 가정하고 기체의 안전한 사용 기간을 규정하여 안전성을 확보하는 설계 개념은?
1. 정적강도설계
2. 안전수명설계
3. 손상허용설계
4. 페일세이프설계

42. 부품 번호가 AN 470 AD 3-5 인 리벳에서 “AD"는 무엇을 나타내는가?
1. 리벳의 직경이 3/16인치이다.
2. 리벳의 길이는 머리를 제외한 길이이다.
3. 리벳의 머리모양이 유니버셜 머리이다.
4. 리벳의 재질이 알루미늄 합금인 2117 이다.

43. 다음 중 SAE 규격에 따른 합금강으로 탄소를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는 것은?
1. 6150
2. 4130
3. 2330
4. 1025

44. 항공기 엔진을 장착하거나 보호하기 위한 구조물이 아닌 것은?
1. 킬빔
2. 나셀
3. 포드
4. 카울링

45. 착륙장치(landing gear)에 사용되는 올레오 완충장치(oleo shock absorber)의 충격흡수 원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스트럿 실린더(strut cylinder)에 공급되는 공기의 마찰에너지를 이용하여 충격을 흡수한다.
2. 헬리컬 스프링(helical spring)이 탄성체의 탄성 변형에너지형식으로 충격을 흡수한다.
3. 공기의 압축성효과에 의한 탄성에너지와 작동 유흐름 제한에 따른 에너지 손실에 의해 충격을 흡수한다.
4. 리프스프링(leaf spring) 자체가 랜딩 스트럿(landing strut)역할을 하여 충격을 굽힘에너지로 흡수한다.

46. 접개식 강착장치(retractable landing gear)에서 부주의로 인해 착륙장치가 접히는 것을 방지 하기 위한 안전장치를 나열한 것은?
1. down lock, safety pin, up lock
2. down lock, up lock, ground lock
3. up lock, safety pin, ground lock
4. down lock, safety pin, ground lock

47. 티타늄합금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열전도 계수가 크다.
2. 불순물이 들어가면 가공 후 자연경화를 일으켜 강도를 좋게 한다.
3. 티타늄은 고온에서 산소, 질소, 수소 등과 친화력이 매우 크고, 또한 이러한 가스를 흡수하면 강도가 매우 약해진다.
4. 합금원소로써 Cu가 포함되어 있어 취성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48. 실속속도가 90 mph 인 항공기를 120 mph로 수평 비행 중 조종간을 급히 당겨 최대 양력 계수가 작용하는 상태라면 주날개에 작용하는 하중배수는 약 얼마인가?
1. 1.5
2. 1.78
3. 2.3
4. 2.57

49. 그림과 같이 100 N 의 힘(P)이 작용하는 구조물에서 지점 A 의 반력(R1)은 몇 N 인가? (단, 구조물 ABC는 4분원이다.)
1. 100
2. 50
3. 25

50. 항공기에 작용하는 하중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구조물에 가해지는 힘을 응력이라 한다.
2. 하중에는 탑재물의 중량, 공기력, 관성력, 지면반력, 충격력 등이 있다.
3. 구조물인 항공기는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외력으로 응력을 가진다.
4. 면적 당 작용하는 내력의 크기를 하중이라 한다.

51. 숏 피닝(shot peening) 작업으로 나타나는 주된 효과는?
1. 내부균열 및 변형 방지
2. 크롬 도금으로 인한 표면부식 방지
3. 표면강도 증가와 스트레스부식 방지
4. 광택감소로 인한 표면마찰증가와 내열성 증가

52. 표와 같은 항공기의 기본 자기무게에 대한 무게중심(c.g)의 위치는 몇 cm 인가?
1. 176.4
2. 187.6
3. 194.4
4. 201.6

53. 리브너트(rivnut)를 사용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금속면에 우포를 씌울 때 사용한다.
2. 두꺼운 날개 표피에 리브를 붙일 때 사용한다.
3. 한쪽면에서만 작업이 가능한 제빙장치 등을 설치할 때 사용한다.
4. 기관마운트와 같은 중량물을 구조물에 부착할때 사용한다.

54. [보기]에서 설명하는 작업의 명칭은?
1. 디버링(deburing)
2. 딤플링(dimpling)
3. 클램핑(clamping)
4. 카운터 싱킹(counter sinking)

55. 항공기 구조의 특정 위치를 쉽게 알 수 있도록 위치를 표시하는 것 중 기준 수평면과 일정거리를 두며 평행한 선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기준선(datum line)
2. 버턱선(buttock line)
3. 동체 수위선(body water line)
4. 동체 위치선(body station line)

56. 항공기 기체 판재에 적용한 릴리프 홀(relief hole)의 주된 목적은?
1. 무게 감소
2. 강도 증가
3. 좌굴 방지
4. 응력 집중 방지

57. FRCM(Fiber Reinforced Composite Material)의 모재(matrix) 중 사용온도 범위가 가장 큰 것은?
1. FRC(Fiber Reinforced Ceramic)
2. FRP(Fiber Reinforced Plastic)
3. FRM(Fiber Reinforced Metallics)
4. C/C 복합재 (Carbon-Carbon Composite Material)

58. 토크렌치의 길이는 10 인치이고, 5 인치의 연장공구를 사용하여 작업을 하여 토크렌치의 지시값이 300 lb 이라면 실제 너트에 가해진 토크는 몇 in-lb 인가?
1. 400
2. 450
3. 500
4. 550

59. 리벳작업을 위한 구멍뚫기 작업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드릴작업 전 리밍작업을 한다.
2. 드릴작업 후 구멍의 버(burr)는 되도록 보존하도록 한다.
3. 구멍은 리벳 직경보다 약간 작게 한다.
4. 리밍작업 시 회전방향을 일정하게 하여 가공한다.

60. 항공기 조종장치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동력 조종장치(power control system)
2. 매뉴얼 조종장치(manual control system)
3. 부스터 조종장치(booster control system)
4. 수압식 조종장치(water pressure control system)

61. 전원회로에서 전압계(voltmeter)와 전류계(ammeter)를 부하로 연결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전압계와 전류계 모두 직렬연결 한다.
2. 전압계와 전류계 모두 병렬연결 한다.
3. 전압계는 병렬, 전류계는 직렬연결 한다.
4. 전압계는 직렬, 전류계는 병렬연결 한다.

62. VOR국은 전파를 이용하여 방위 정보를 항공기에 송신하는데 이때 VOR국에서 관찰하는 항공기의 방위는?
1. 진방위
2. 상대방위
3. 자방위
4. 기수방위

63. 교류발전기의 정격이 115V, 1kVA, 역률이 0.866이라면 무효전력(reactive power)은 얼마인가? (단, 역률(power factor) 0.866 은 cos30°에 해당한다.)
1. 500 W
2. 866 W
3. 500 Var
4. 866 Var

64. 열을 받게 되면 스테인리스강으로 된 케이스가 늘어나게 되므로, 금속 스트럿이 펴지면서 접촉점이 연결되어 회로를 형성시키는 화재경고장치는?
1. 열전쌍식 화재경고장치
2. 광전지식 화재경고장치
3. 열 스위치식 화재경고장치
4. 저항 루프형 화재경고장치

65. 왕복엔진의 실린더에 흡입되는 공기압을 아네로이드와 다이어프램을 사용하여 절대 압력으로측정하는 계기는?
1. 윤활유 압력계
2. 제빙 압력계
3. 증기압식 압력계
4. 흡입 압력계

66. 솔레노이드 코일의 자계세기를 조정하기 위한 요소가 아닌 것은?
1. 철심의 투자율
2. 전자석의 코일 수
3. 도체를 흐르는 전류
4. 솔레노이드 코일의 작동 시간

67. 공기순환 공기 조화계통(Air cycle airconditioning)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냉매를 사용하여 공기를 냉각시킨다.
2. 수분분리기는 압축공기로부터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된다.
3. 항공기 공기압계통에 공기를 공급한다.
4. 항공기 객실에 압력을 가하기 위하여 엔진 추출 공기를 사용한다.

68. 수평의(vertical gyro)는 항공기에서 어떤 축의 자세를 감지하는가?
1. 기수 방위
2. 롤 및 피치
3. 롤 및 기수방위
4. 피치 및 기수 방위

69. VHF 무전기의 교신가능 거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장애물이 있을 때에는 100 km 이내로 제한된다.
2. 송신 출력을 높여도 가시거리 이내로 제한된다.
3. 항공기 운항속도를 늦추면 더 먼 거리까지 교신이 가능하다.
4. 안테나 성능향상으로 장애물과 상관없이 100km 이상 교신이 가능하다.

70. 압력조절기에서 킥인(kick-in)과 킥아웃(kick-out)상태는 어떤 밸브의 상호작용으로 하는가?
1. 체크밸브와 릴리프밸브
2. 체크밸브와 바이패스밸브
3. 흐름조절기와 릴리프밸브
4. 흐름평형기와 바이패스밸브

71. 항공기 속도에서 등가대기속도에서 대기밀도를 보정한 속도는?
1. IAS
2. CAS
3. TAS
4. EAS

72. 그림에서 압력계에 나타나는 압력은 몇 kgf/cm2인가? (단, 단면적은 A측 2cm2, B측 10cm2이며, 작용하는 힘은 A측 50 kgf, B측 250 kgf 이다.)
1. 25
2. 50
3. 100
4. 250

73. 자이로의 섭동 각속도를 나타낸 것으로 옳은 것은? (단, M : 외부력에 의한 모멘트, L : 각 운동량이다.)
1. M/L
2. L/M
3. L-M
4. M×L

74. 축전지 터미널(battery teminal)에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납땜을 한다.
2. 증류수로 씻어낸다.
3. 페인트로 얇은 막을 만들어 준다.
4. 그리스(grease)로 얇은 막을 만들어 준다.

75. 교류발전기의 병렬운전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위상
2. 전류
3. 전압
4. 주파수

76. 압축공기 제빙부츠 계통의 팽창순서를 제어하는 것은?
1. 제빙장치 구조
2. 분배밸브
3. 흡입 안전밸브
4. 진공펌프

77. 항공기가 산악 또는 지면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는?
1. Air traffic control system
2. Inertial navigation system
3. Distance measuring equipment
4. Ground proximity warning system

78. 공압계통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유압과 비교하여 큰 힘을 얻을 수 없다.
2. 공압계통은 리저버(reservoir)가 필요하다.
3. 공기압은 비압축성이라 그대로의 힘이 잘 전달된다.
4. 공압계통은 리턴라인(return line)이 필요하다.

79. 자기나침반(magnetic compass)의 자차수정시기가 아닌 것은?
1. 엔진교환 작업 후 수행한다.
2. 지시에 이상이 있다고 의심이 갈 때 수행한다.
3. 철재 기체 구조재의 대수리 작업 후 수행한다.
4. 기체의 구조부분을 검사할 때 항상 수행한다.

80. 항공기가 야간에 불시착 했을 때 기내∙외를 밝혀주는 비상용조명(emergency light)은 최소 몇 분간 조명하여야 하는가?
1. 10분
2. 30분
3. 60분
4. 90분
진행 상황
답안 완료율
0%
미답안 답안완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