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산업기사

(2020-08-22 기출문제 - 전체보기)
총 80문제 답안 완료: 0문제
1. 날개면적이 150m2, 스팬(span)이 25m인 비행기의 가로세로비(aspect ratio)는 약 얼마인가?
1. 3.0
2. 4.17
3. 5.1
4. 7.1

2. 비행기가 고속으로 비행할 때 날개 위에서 충격실속이 발생하는 시기는?
1. 아음속에서 생긴다.
2. 극초음속에서 생긴다.
3. 임계 마하수에 도달한 후에 생긴다.
4. 임계 마하수에 도달하기 전에 생긴다.

3. 다음 중 항공기의 가로안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은?
1. 동체
2. 쳐든각 효과
3. 도어(door)
4. 수직 꼬리 날개

4. 음속을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단, K : 비열비, R : 공기의 기체상수, g : 중력가속도, T : 공기의 온도이다.)

5. 날개 드롭(wing drop) 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비행기의 어떤 한 축에 대한 변화가 생겼을 때 다른 축에도 변화를 일으키는 현상
2. 음속비행 시 날개에 발생하는 충격실속에 의해 기수가 오히려 급격히 내려가는 현상
3. 하강비행 시 기수를 올리려 할 때, 받음각과 각속도가 특정값을 넘게 되면 예상한 정도 이상으로 기수가 올라가는 현상
4. 비행기의 속도가 증가하여 천음속 영역에 도달하게 되면 한쪽 날개가 총격실속을 일으켜서 갑자기 양력을 상실하고 급격한 옆놀이(rolling)를 일으키는 현상

6. 정상수평비행하는 항공기의 필요마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속도가 작을수록 필요마력은 크다.
2. 항력이 작을수록 필요마력은 작다.
3. 날개하중이 작을수록 필요마력은 커진다.
4. 고도가 높을수록 밀도가 증가하여 필요마력은 커진다.

7. 항공기 날개의 압력중심(center of pressure)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날개 주변 유체의 박리점과 일치한다.
2. 받음각이 변하더라도 피칭모멘트값이 변하지 않는 점이다.
3. 받음각이 커짐에 따라 압력중심은 앞으로 이동한다.
4. 양력이 급격히 떨어지는 지점의 받음각을 말한다.

8. 헬리콥터의 주회전날개에 플래핑 힌지를 장착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아닌 것은?
1. 돌풍에 의한 영향을 제거할 수 있다.
2. 지면효과를 발생시켜 양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3. 회전축을 기울이지 않고 회전면을 기울일 수 있다.
4. 주회전날개 깃 뿌리(root)에 걸린 굽힘모멘트를 줄일 수 있다.

9. 양항비가 10인 항공기가 고도 2000m에서 활공비행 시 도달하는 활공거리는 몇 m인가?
1. 10000
2. 15000
3. 20000
4. 40000

10. 등속상승비행에 대한 상승률을 나타내는 식이 아닌 것은? (단, V: 비행속도, γ: 상승각, W: 항공기 무게, T: 추력, D:항력, Pa: 이용동력, Pr: 필요동력이다.)
1. (Pa-Pr)/W
2. 잉여동력/W
3. [(T-D)V]/W

11. 엔진고장 등으로 프로펠러의 페더링을 하기 위한 프로펠러의 깃각 상태는?
1. 0°가 되게 한다.
2. 45°가 되게 한다.
3. 90°가 되게 한다.
4. 프로펠러에 따라 지정된 고유값을 유지한다.

12. 항공기의 성능 등을 평가하기 위하여 표준대기를 국제적으로 통일하여 정한 기관의 명칭은?
1. ICAO
2. ISO
3. EASA
4. FAA

13. 헬리콥터 회전날개의 코닝각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양력이 증가하면 코닝각은 증가한다.
2. 무게가 증가하면 코닝각은 증가한다.
3. 회전날개의 회전속도가 증가하면 코닝각은 증가한다.
4. 헬리콥터의 전진속도가 증가하면 코닝각은 증가한다.

14. 그림과 같은 프로펠러 항공기의 비행속도에 따른 필요마력과 이용마력의 분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비행속도 V1에서 주어진 연료로 최대의 비행거리를 비행할 수 있다.
2. 비행속도 V1 근처에서 필요마력이 감소하는 것은 유해항력의 증가에 기인한다.
3. 일반적으로 비행속도 V2에서 최대 양항비를 갖도록 항공기 형상을 설계한다.
4. 비행속도가 V2에서 V3 방향으로 증가함에 따라 프로펠러 토크에 의한 롤 모멘트(roll moment)가 증가한다.

15. 항공기 날개의 유도항력계수를 나타낸 식으로 옳은 것은? (단, AR: 날개의 가로세로비, CL: 양력계수, e: 스팬(span) 효율계수이다.)

16. 수평비행의 실속속도가 71㎞/h인 항공기가 선회경사각 60°로 정상선회비행 할 경우 실속속도는 약 몇 ㎞인가?
1. 80
2. 90
3. 100
4. 110

17. 이륙 시 활주거리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플랩을 활용하여 최대양력계수를 증가시킨다.
2. 양항비를 높여 항력을 증가시킨다.
3. 최소 추력을 내어 가속력을 줄인다.
4. 양항비를 높여 실속속도를 증가시킨다.

18. 지름이 20㎝와 30㎝로 연결된 관에서 지름 20㎝ 관에서의 속도가 2.4m/s일 때 30㎝ 관에서의속도는 약 몇 m/s인가?
1. 0.19
2. 1.07
3. 1.74
4. 1.98

19. 키놀이 모멘트(pitching moment)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프로펠러 깃의 각도 변경에 관련된 모멘트이다.
2. 비행기의 수직축(상하축; vertical axis)에 관한 모멘트이다.
3. 비행기의 세로축(전후축; longitudinal axis)에 관한 모멘트이다.
4. 비행기의 가로축(좌우축; lateral axis)에 관한 모멘트이다.

20. 프로펠러 비행기가 최대 항속거리를 비행하기 위한 조건으로 옳은 것은? (단, CL은 양력계수, CD는 항력계수이다.)
1. 가 최소일 때
2. 가 최대일 때
3. 가 최대일 때
4. 가 최소일 때

21. 전기식 시동기(electrical starter)에서 클러치(clutch)의 작동 토크 값을 설정하는 장치는?
1. Clutch Plate
2. Clutch Housing Slip
3. Ratchet Adjust Regulator
4. Slip Torque Adjustment Unit

22. 프로펠러에서 기하학적 피치(geometrical pitch)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프로펠러를 1바퀴 회전시켜 실제로 전진한 거리이다.
2. 프로펠러를 2바퀴 회전시켜 실제로 전진한 거리이다.
3. 프로펠러를 1바퀴 회전시켜 전진할 수 있는 이론적인 거리이다.
4. 프로펠러를 2바퀴 회전시켜 전진할 수 있는 이론적인 거리이다.

23. 속도 720㎞/h로 비행하는 항공기에 정착된 터보제트엔진이 300kgf/s로 공기를 흡입하여 400m/s의속도로 배기시킨다면 이때 진추력은 몇 kgf인가? (단, 중력가속도는 10m/s2로힌다.)
1. 3000
2. 6000
3. 9000
4. 18000

24. 밀폐계(closed system)에서 열역학 제1법칙을 옳게 설명한 것은?
1. 엔트로피는 절대로 줄어들지 않는다.
2. 열과 에너지, 일은 상호 변환 가능하며 보존된다.
3. 열효율이 100%인 동력장치는 불가능하다.
4. 2개의 열원사이에 동력 사이클을 구성할 수 있다.

25. 가스터빈엔진에서 압축기 입구온도가 200K, 압력이 1.0kgf/cm2이고, 압축기 출구압력이 10kgf/cm2일 때 압축기 출구온도는 약 몇 K인가? (단, 공기 비열비는 1.4이다.)
1. 184.14
2. 285.14
3. 386.14
4. 487.14

26. 왕복엔진의 악세서리(accessory)부품이 아닌 것은?
1. 시동기(starter)
2. 하네스(harness)
3. 기화기(carburetor)
4. 블리드 밸브(bleed valve)

27. 항공기용 엔진 중 터빈식 회전엔진이 아닌 것은?
1. 램제트엔진
2. 터보프롭엔진
3. 터보제트엔진
4. 터보샤프트엔진

28. 고열의 엔진 배기구 부분에 표시(marking)를 할 때 납이나 탄소 성분이 있는 필기구를 사용하면 안 되는 주된 이유는?
1. 고열에 의해 열응력이 집중되어 균열을 발생시킨다.
2. 고압에 의해 비틀림 응력이 집중된어 균열을 발생시킨다.
3. 고압에 의해 전단응력이 집중되어 균열을 발생시킨다.
4. 고열에 의해 전단응력이 집중되어 균열을 발생시킨다.

29. 프로펠러 페더링(feathering)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프로펠러 페더링은 엔진 축과 연결된 기어를 분리하는 방식이다.
2. 비행 중 엔진정지 시 프로펠러 회전도 같이 멈추게 하여 엔진의 2차 손상을 방지한다.
3. 프로펠러 페더링을 하게 되면 항력이 증가하여 항공기 속도를 줄일 수 있다.
4. 프로펠러 페더링을 하게 되면 바람에 의해 프로펠러가 공회전하는 윈드밀링(wind milling)이 발생하게 된다.

30. 복식 연료노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1차 연료는 넓은 각도로 분사된다.
2. 공기를 공급하여 미세하게 분사되도록 한다.
3. 2차 연료는 고속회전 시 1차 연료보다 멀리 분사된다.
4. 1차 연료는 노즐의 가장자리 구멍으로 분사되고, 2차 연료는 중심에 있는 작은 구멍을 통하여 분사된다.

31. 왕복엔진의 마그네토에서 브레이커포인트 간격이 커지면 발생되는 현상은?
1. 점화가 늦어진다.
2. 전압이 증가한다.
3. 점화가 빨라진다.
4. 점화불꽃이 강해진다.

32. 왕복엔진에 사용되는 고휘발성 연료가 너무 쉽게 증발하여 연료배관내에서 기포가 형성되어 초래할 수 있는 현상은?
1. 베이퍼 락(vapor lock)
2. 임팩트 아이스(impact ice)
3. 하이드로릭 락(hydraulic lock)
4. 이베포레이션 아이스(evaporation ice)

33. 이상기체의 등온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단열과정과 같다.
2. 일의 출입이 없다.
3. 엔트로피가 일정하다.
4. 내부에너지가 일정하다.

34. 가스터빈엔진의 흡입구에 형성된 얼음이 압축기 실속을 일으키는 이유는?
1. 공기압력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2. 공기 전압력을 일정하게 하기 때문에
3. 형성된 얼음이 압축기로 흡입되어 로터를 파손시키기 때문에
4. 흡입 안내 깃으로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하기 때문에

35. 다음 중 주된 추진력을 발생하는 기체가 다른 것은?
1. 램제트엔진
2. 터보팬엔진
3. 터보프롭엔진
4. 터보제트엔진

36. 왕복엔진을 낮은 기온에서 시동하기 위해 오일희석(oil dilution)장치에서 사용하는 것은?
1. Alcohol
2. Propane
3. Gasoline
4. Kerosene

37. 터빈엔진에서 과열시동(hot start)을 방지하기 위하여 확인해야 하는 계기는?
1. 토크 미터
2. EGT 지시계
3. 출력 지시계
4. RPM 지시계

38. 왕복엔진의 흡기밸브를 작동시키는 관련 부품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캠(cam)
2. 푸시 로드(push rod)
3. 로커 암(rocker arm)
4. 실린더 헤드(cylinder head)

39. 가스터빈엔진의 공기흡입 덕트(duct)에서 발생하는 램 회복점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흡입구 내부의 압력이 대기압과 같아질 때의 항공기 속도
2. 마찰압력 손실이 최소가 되는 항공기의 속도
3. 마찰압력 손실이 최대가 되는 항공기의 속도
4. 램 압력상승이 최대가 되는 항공기의 속도

40. 왕복엔진의 연료-공기 혼합비(fule-air ratio)에 영향을 주는 공기밀도변화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고도가 증가하면 공기밀도가 감소한다.
2. 연료가 증가하면 공기밀도가 증가한다.
3. 온도가 증가하면 공기밀도가 감소한다.
4. 대기 압력이 증가하면 공기밀도가 증가한다.

41. 항공기엔진 장착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가스터빈엔진은 구조적인 이유로 동체 내부에 장착이 불가능하다.
2. 동체에 엔진을 장작하려면 파일론(pylon)을 설치하여야 한다.
3. 날개에 엔진을 장착하면 날개의 공기역학적 성능을 저하시킨다.
4. 왕복엔진 장착부분에 설치된 나셀의 카울링은 진동감소와 화재 시 탈출구로 사용된다.

42. 다음 특징을 갖는 배열 방식의 착륙장치는?
1. 텐덤식 착륙장치
2. 후륜식 착륙장치
3. 전륜식 착륙장치
4. 충격흡수식 착륙장치

43. 대형 항공기에 주로 사용하는 3중 슬롯 플랩을 구성하는 플랩이 아닌 것은?
1. 상방플랩
2. 전방플랩
3. 중앙플랩
4. 후방플랩

44. 손상된 판재를 리벳에 의한 수리작업 시 리벳수를 결정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단, L : 판재의 손상된 길이, D: 리벳지름, t: 손상된 판의 두께, s: 안전계수, σmax: 판재의 최대인장응력, τmax: 판재의 최대전단응력이다.)

45. 항공기 외피용으로 적합하며, 플러시 헤드 리벳(flush head rivet)이라 부르는 것은?
1. 납작머리리벳(flat head rivet)
2. 유니버설리벳(universal rivet)
3. 둥근머리리벳(round rivet)
4. 접시머리리벳(counter sunk ead rivet)

46. 실속속도가 90mph 항공기를 120mph로 수평 비행 중 조종간을 급히 당겨 최대 양력계수가 작용하는 상태라면 주 날개에 작용하는 하중배수는 약 얼마인가?
1. 1.5
2. 1.78
3. 2.3
4. 2.57

47. 그림과 같은 평면응력상태에 있는 한 요소가 σx=100MPa, σy=20MPa, τxy=60MPa의 응력을 받고 있을 때, 최대전단응력은 약 몇 MPa인가?
1. 67.11
2. 72.11
3. 77.11
4. 87.11

48. 페일세이프(fail safe) 구조형식이 아닌 것은?
1. 이중(double)구조
2. 대치(back-up)구조
3. 다경로(redundant)구조
4. 샌드위치(sandwich)구조

49. 복합재료(composite material)를 수리할 때 접착용 수지를 효과적으로 접착시키기(curing) 위하여 열을 가하는 장비가 아니 것은?
1. 오븐(oven)
2. 가열건(heat gun)
3. 가열램프(heat lamp)
4. 진공백(vacuum bag)

50. 연료계통이 갖추어야 하는 조건으로 틀린 것은?
1. 번개에 의한 연료발화가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2. 각각의 엔진과 보조동력장치에 공급되는 연료에서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어야 한다.
3. 계통에 저장된 연료를 안전하게 제거하거나 격리할 수 있어야 한다.
4. 고장발생 감지가 유용하고록 한계통 구성품의 고장이 다른 연료계통의 고장으로 연결되어야 한다.

51. 복합재료에서 모재(matrix)와 경합되는 강화재(reinforcing material)로 사용되지 않는 것은?
1. 유리
2. 탄소
3. 에폭시
4. 보론

52. 조종간이나 방향키 폐달의 움직임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고 컴퓨터에 입력 후 전기, 유압식 작동기를 통해 조종계통을 작동하는 조종방식은?
1. Cable control system
2. Automatic pilot system
3. Fly-By-Wire control system
4. Push Pull Rod control system

53. 연료를 제외하고 화물, 승객 등이 적재된 항공기의 무게를 의미하는 것은?
1. 최대 무게(maximum weight)
2. 영연료 무게(zero fuel weight)
3. 기본자기 무게(basic empty weight)
4. 운항 빈 무게(operating empty weight)

54. 티타늄합금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열전도 계수가 크다.
2. 불순물이 들어가면 가공 후 자연경화를 일으켜 강도를 좋게 한다.
3. 티타늄은 고온에서 산소, 질소, 수소 등과 친화력이 매우 크고, 또한 이러한 가스를 흡수하면 강도가 매우 약해진다.
4. 합금원소로써 Cu가 포함되어 있어 취성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55. 이질 금속간의 접촉부식에서 알루미늄 합금의 경우 A그룹과 B그룹으로 구분하였을 때 그룹이 다른 것은?
1. 2014
2. 2017
3. 2024
4. 5052

56. 다음 중 가스용접에 해당하는 것은?
1. 산소-수소용접
2. MIG용접
3. CO2용접
4. TIG용접

57. 너트의 부품 번호가 AN310D-5일 때 310은 무엇을 나타내는가?
1. 너트 계열
2. 너트 지름
3. 너트 길이
4. 재질 번호

58. 그림과 같이 하중(W)이 작용하는 보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외팔보
2. 돌출보
3. 고정보
4. 고정 지지보

59. 비행기가 양력을 발생함이 없이 급강하할 때 날개는 비틀림 등의 하중을 받게 되며 이러한 하중에 항공기가 구조적으로 견딜 수 있는 설계상의 최대속도는?
1. 설계순항속도
2. 설계급강하속도
3. 설계운용속도
4. 설계돌풍운용속도

60. 단줄 유니버설 헤드 리벳(universal head rivet)작업을 할 때 최소 끝거리 및 리벳의 최소 간격()의기준으로 옳은 것은?
1. 최소 끝거리는 리벳 직경의 2배 이상, 최소 간격은 리벳 직경의 3배
2. 최소 끝거리는 리벳 직경의 2배 이상, 최소 간격은 리벳 길이의 3배
3. 최소 끝거리는 리벳 직경의 3배 이상, 최소 간격은 리벳 길이의 4배
4. 최소 끝거리는 리벳 직경의 3배 이상, 최소 간격은 리벳 직경의 4배

61. 니켈-카드뮴 축전지의 충ㆍ방전 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충ㆍ방전 시 전해액(KOH)의비중은 변화하지 않는다.
2. 방전 시 물이 발생되어 전해액의 비중이 줄어든다.
3. 충전 시 전해액의 수면높이가 낮아진다.
4. 방전 시 전해액의 수면높이가 높아진다.

62. 그림과 같은 회로에서 5Ω저항에 흐르는 전류값은 몇 A인가?
1. 1
2. 4
3. 6
4. 10

63. CVR(Cockpit Voice Recorder)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HF 또는 VHF를 이용하여 통화를 한다.
2. 항공기 사고원인 규명을 위해 사용되는 녹음장치이다.
3. 지상에 있는 정비사에게 경고하기 위한 장비이다.
4. 지상에서 항공기를 호출하기 위한 장치이다.

64. 항공기 계기 중 압력 수감부를 이용한 것이 아닌 것은?
1. 고도계
2. 방향지시계
3. 승강계
4. 대기속도계

65. 항공기에 사용되는 전선의 굵기를 결정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도선내 흐르는 전류의 크기
2. 도선의 저항에 따른 전압강하
3. 도선애 발생하는 줄(Joule) 열
4. 도선과 연결된 축전지의 전해액 종류

66. 터보팬 항공기의 방빙(anti-icing)장치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윈드실드는 내부 금속 피막에 전기를 통하여 방빙한다.
2. 피토관의 방빙은 내부의 전기 가열기를 사용한다.
3. 날개 앞전의 방빙은 엔진 압축기의 고온 공기를 사용한다.
4. 엔진의 공기흡입장치의 방빙은 화학적 방빙계통을 사용한다.

67. 항공기 계기에서 플랩의 작동 범위를 표시하는 것은?
1. 녹색호선(green arc)
2. 백색호선(white arc)
3. 황색호선(yellow arc)
4. 적색방사선(red radiation)

68. 직류발전기에서 발생하는 전기자 반작용을 없애기 위한 것은?
1. 보극(interpole)
2. 직렬권선(series-winding)
3. 병렬권선(shunt-winding)
4. 회전자권선(armature coil)

69. 자동조종장치(autopilot)의 구성요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출력부(output elements)
2. 전이부(transit elements)
3. 수감부(sensing elements)
4. 명령부(command elements)

70. 발전기 출력 제어회로에서 제너다이오드(zener diode)의사용 목적은?
1. 정전류제어
2. 역류방지
3. 정전압제어
4. 자기장제어

71. 장거리 통신에 유리하나 잡음(noise)이나 페이딩(fading)이 많으며 태양 흑점의 활동으로 인한 전리층 산란으로 통신 불능이 가끔 발생되는 항공기 통신장치는?
1. HF 통신장치
2. MF 통신장치
3. LF 통신장치
4. VHF 통신장치

72. 다음 중 화재 진압 시 사용되는 소화제가 아닌 것은?
1.
2. 이산화 탄소
3. 할론
4. 암모니아

73. 비행 중에 비로부터 시계를 확보하기 위한 제우(rain protection)시스템이 아닌 것은?
1. Air curtain system
2. Rain repellent system
3. Windshield wiper system
4. Windshield washer system

74. 자기컴퍼스의 조명을 위한 배선 시 지시오차를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음(-)극성을 가능한 자기컴퍼스 가까이에 접지시킨다.
2. 양(+)극선과 음(-)극선은 가능한 충분한 간격을 두고 음(-)극선에는 실드선을 사용한다.
3. 모든 전건은 실드선을 사용하여 오차의 원인을 제거한다.
4. 양(+)국선과 음(-)극선을 꼬아서 합치고 접지점을 자기컴퍼스에서 충분히 멀리 뗀다.

75. 항공기 유압계통에서 축압기(accumulator)의 사용 목적으로 옳은 것은?
1. 유압유 내 공기 저장
2. 작동유의 누출을 차단
3. 계통내 작동유의 방향 조정
4. 비상 시 계통 내 작동유 공급

76. 유압계통에서 기기의 실(seal)이 손상 또는 유압관의 파열로 작동유가 완전히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한 안전장치는?
1. 유압퓨즈(hydraulic fuse)
2. 오리피스밸브(orifice valve)
3. 분리밸브(disconnect valve)
4. 흐름조절기(flow regulator)

77. 항공계기에 요구되는 조건으로 옳은 것은?
1. 기체의 유효 탑재량을 크게 하기위해 경량이어랴 한다.
2. 계기의 소형화를 위하여 화면은 작게하고 본체는 장착이 쉽도록 크게 해야 한다.
3. 주위의 기압과 연동이 되도록 승강계, 고도계, 속도계의 수감부와 케이스는 노출이 되도록 해야 한다.
4. 항공기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알 수 있도록 계기판에는 방진장치를 설치해서는 안된다.

78. 계기착륙장치(instrument landing system)의 구성장치가 아닌 것은?
1. 로컬라이저(locaizer)
2. 마커 비컨(marker beacon)
3. 기상 레이다(weather radar)
4. 글라이드 슬로프(glide slope)

79. 객실여압장치를 가진 항공기 여야계통 설계 시 고려해야 하는 최소 객실고도는?
1. 2400ft
2. 8000ft
3. 10000ft
4. 해면고도

80. 항공기가 산악 또는 지면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는?
1. Air traffic control system
2. Inertial navigation system
3. Distance measuring equipment
4. Ground proximity warning system
진행 상황
답안 완료율
0%
미답안 답안완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