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경산업기사

(2013-09-28 기출문제 - 전체보기)
총 80문제 답안 완료: 0문제
1. 다음 중 건축물의 노후화를 억제하거나 기능 향상 등을 위하여 대수선하거나 일부 증축하는 행위를 말하는 용어는?
1. 대수선
2. 재개발
3. 재건축
4. 리모델링

2. 시야의 중거리 혹은 단거리에서 시선의 장애물이 없이 조망할 수 있는 펼쳐진 경관은?
1. 지형(feature) 경관
2. 전(panoramic) 경관
3. 위요(enclosure) 경관
4. 세부(setail) 경관

3. 시각적 효과 분석 및 미시적 분석에 관한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1. 틸(1961) - 공간형태의 표시법
2. 할프린(1965) - 움직임의 표시법
3. 린치(1979) - 도시의 이미지 분석 연구
4. 레오폴드(1969) - 형태와 행위의 일치성 연구

4. 다음 자연공원에 대한 설명 중 ( )안에 알맞은 용어는?
1. 생태경관
2. 문화경관
3. 역사경관
4. 지리경관

5. 다음 중 시방서의 작성은 어느 단계에 해당하는가?
1. 조사
2. 기본계획
3. 설계
4. 시공

6. 연간이용자수가 3만명, 3계절형(1/60), 시설개장시간은 10시간, 평균체재시간은 4시간인 시설지의 최대시 이용자수는?
1. 125명
2. 200명
3. 300명
4. 500명

7. 조경식물의 한자 이름 중 “부용(芙蓉)”에 해당하는 것은?
1.
2. 차나무
3. 백목련
4. 배롱나무

8. 신라 헌강왕(875~885)이 어무상심무(御舞祥審舞)란 춤을 추고, 유상곡수연(流觴曲水宴)을 하던 조경 유적은?
1. 경주 월성의 남천(南川)
2. 안압지(雁鴨池)
3. 포석정지(鮑石亭址)
4. 불국사 구품연지(九品蓮池)

9. 17세기 중엽 프랑스의 조경이 이탈리아의 모방에서 벗어나 독창적인 평면기하학식 정원으로 만들어 지는데 기여한 조경가는?
1. 르 노트르
2. 메이어
3. 브리지맨
4. 옴스테드

10. 발해(渤海)의 조경 유적으로 거대한 궁성지(宮城址)와 조산(造山) 원지(苑池) 및 원림(苑林)터가 발굴되었는바 다음 중 어느 곳인가?
1. 중국 통구 국내성(國內城) 유적이다.
2. 중국 흑룡강성 영안현의 상경용천부(上京龍泉府) 유적이다.
3. 중국 대명궁(大明宮) 유적이다.
4. 중국 낙양(洛陽)의 원림(苑림林) 유적이다.

11. 우리나라 최초의 서양식으로 꾸며진 정원이라고 볼 수 있는 것은?
1. 덕수궁 석조전 정원
2. 비원
3. 파고다 공원
4. 보라매 공원

12. 세계 7대 불가사의의 하나인 공중정원(hanging garden)은 어느 왕에 의하여 만들어 졌는가?
1. 길가메시(Gilgamesh)
2. 네부카드넷자르(Nebuchadnezzar) 2세
3. 하체프스트(Hatschepsut)
4. 다리우스(Darius)

13. 다음 조선왕릉 중 경기도 남양주시에 소재하고 있는 것은?
1. 정릉
2. 장릉
3. 의릉
4. 홍유릉

14. 에도(江戶)시대 다정(茶庭)의 발달도 정원구성에 가장 중요한 요소로 나타난 것은?
1. 색모래
2. 바위
3. 수수분(手水盆)
4. 소나무

15. 표준 골프코스는 18홀, 72파(par)로 구성한다. 다음 중 표준 골프코스의 구성으로 알맞게 된 것은?
1. 쇼트홀 4개, 미들홀 8개, 롱홀 6개
2. 쇼트홀 4개, 미들홀 6개, 롱홀 8개
3. 쇼트홀 6개, 미들홀 6개, 롱홀 6개
4. 쇼트홀 4개, 미들홀 10개, 롱홀 4개

16. 그림과 같은 입체도에서 화살표 방향을 정면으로 할 경우 정면도로 가장 적합한 것은?

17. 제도용지의 규격에 있어서 가로와 세로의 비로써 옳은 것은?
1. √2 : 1
2. 2 : 1
3. √3 : 1
4. 3 : 1

18. 색의 감정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중량감 : 고명도일수록 가볍게 느껴지고, 저명도일수록 무겁게 느껴진다.
2. 경연감 : 시각적 경험 등에 의하여 색채가 부드럽게 또는 딱딱하게 느껴지는 것을 말한다.
3. 조목성 : 시선을 끄는 성질이 우수한 색채는 판독성이나 시인도가 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4. 명시도 : 색의 명시도는 시인도라고도 하며 색상, 명도, 채도의 차이에서도 일어난다.

19. 다음 조형미의 원리를 설명한 것 중 옳지 않은 것은?
1. 강조 - 동질적 요소들의 소극적 변화를 통하여 조화를 얻는다.
2. 율동 – 반복의 방법에 따라 유동성 있는 표현을 이룬다.
3. 균형 – 좌우대칭 혹은 좌우균등한 상태는 안정감을 얻을 수 있는 통일의 조건이다.
4. 대비 – 상반된 조건이 강조되면 강한 인상을 줄 수 있으나 안정감은 잃기 쉽다.

20. 다음 중 어린이공원에 설치 될 그네의 설계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조경설계기준을 적용한다.)
1. 집단적인 놀이가 활발한 자리 또는 통행량이 많은 곳에는 배치하지 않는다.
2. 2인용을 기준으로 높이 2.3~2.5m, 길이 3.0~3.5m, 폭 4.5~5.0m를 표준규격으로 한다.
3. 지지용 수평파이트는 어린이가 올라 모험을 즐길 수 있는 단순하고 쉬운 구조로 설계한다.
4. 안장과 모래밭과의 높이는 35~45cm가 되도록 하며, 이용자의 나이를 고려하여 결정한다.

21. 인공지반위에 식재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 중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중량이 가벼운 흙을 쓰도록 한다.
2. 방수를 철저히 하여 빗물이 배수되지 않도록 유의한다.
3. 교목은 지주를 세워 바람에 쓰러지지 않도록 한다.
4. 스프링클러를 설치하여 주기적으로 관술르 해주어야 한다.

22. 한 공간의 외곽 경계부위나 원로를 따라 식재하여 여러 가지 효과를 얻고자 하는 식재형식으로 관목류를 주조(主調)로 하여 식재대를 구성하는 것은?
1. 산울타리식재
2. 군집식재
3. 경재식재
4. 강조식재

23. ‘Magnolia sieboldii K. Koch’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향기가 없다.
2. 낙엽활엽소교목이다.
3. 꽃은 5~6월에 개화한다.
4. 산목련이라고도 불린다.

24. 다음 중 우리나라 난대림 지역에서 분포하는 수종으로만 짝지어진 것은?
1. 녹나무, 구실잣밤나무
2. 잣나무, 피나무
3. 팽나무, 서어나무
4. 소나무, 자작나무

25. 다음 중 방화수(防化樹)가 갖추어야 할 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잎이 많은 수분을 갖는 것
2. 상록수인 동시에 지엽이 밀생하고 있는 것
3. 잎이 작거나 가느다란 것
4. 수관(樹冠)의 중심이 추녀보다 낮은 위치에 있을 것

26. 다음 생강나무와 산수유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둘 다 이른 봄에 노란색 꽃이 핀다.
2. 둘 다 잎의 배열은 대생이다.
3. 생강나무는 낙엽활엽관목이고, 산수유는 낙엽활엽교목이다.
4. 생강나무는 녹나무과, 산수유는 층층나무과이다.

27. 다음 중 생울타리용 조경수로 가장 부적합한 것은?
1. Ilex crenata Thund. var. crenata
2. Poncirus trifoliata Raf.
3. Thuja orientalis L.
4. Corylopsis gotoana var. coreana (Uyeki) T. Yamaz.

28. 다음 중 열매의 형태가 다른 수종은?
1. 전나무
2. 구상나무
3. 비자나무
4. 분비나무

29. 도심의 자동차 왕래가 잦은 지역에 식재하기 가장 부적합한 것은?
1. 금목서, 단풍나무
2. 태산목, 양버즘나무
3. 감탕나무, 가중나무
4. 식나무, 향나무

30. 학명의 종명 이름 중 서식지를 표현한 것은?
1. pendula
2. orientale
3. alpina
4. ravenii

31. 중부지방의 동백나무 이식 적기로 가장 적합한 것은? (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에서는 2, 3번이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1. 4월상순에서 중순
2. 5월에서 6월
3. 9월상순에서 중순
4. 2월에서 3월

32. 다음 식물 중 기생식물에 해당되지 않은 종은?
1. 겨우살이
2. 실새삼
3. 이삭귀개
4. 초종용

33. 경관식재에서 주연부식재는 주변의 지형과 식생, 경관 등과 조화되고, 생태적으로 안정된 식생구조를 얻기 위한 식재로 다음 중 주연부식재로 많이 사용되는 상록활엽수는?
1. Camellia japonica L.
2. symplocos chinensis for. pilosa (Nakai) Ohwi
3. Stephanandra incisa (Thunb.) Zabel var. incisa
4. Carpinus laxiflora (siebold & Zucc.) Blume

34. 풍치공원 부지의 식생 입지 파악을 위해 필요한 조사 사항으로 부적합한 것은?
1. 토지이용 현황과 군락의 조사
2. 주변 자연식생 조사
3. 토양 단면조사와 토양분석
4. 고손목과 잔존 교목 조사

35. 다음 수종 중 수피가 녹색인 종은?
1. Paulownia coreana Uyeki
2. Firmiana simplex (L.) W.F. Wight
3. Catalpa ovata G. Don
4. Lonicera japonica Thunb.

36. 다음 중 석회암지대(염기성토양)에서도 가장 잘 견딜 수 있는 수종은?
1. Pinus rigida Mill.
2. Lespedeza bicolor Turcz.
3. Abies holophylla Maxim.
4. Acer palmatum Thunb.

37. 다음 설명의 ( )에 적합한 용어는?
1. 천이식생
2. 이차식생
3. 대상식생
4. 잠재식생

38. 다음 수종 중 가지에 가시가 있는 것은?
1. 당매자나무
2. 노간주나무
3. 호랑가시나무
4. 피나무

39. 다음 보기 중 ( )안에 적합한 용어는?
1. ㉠ : 평행맥, ㉡ : 장상맥
2. ㉠ : 그물맥, ㉡ : 부정맥
3. ㉠ : 망상맥, ㉡ : 평행맥
4. ㉠ : 격자맥, ㉡ : 원형맥

40. Cercis chinensis Bunge 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열매는 협과로 8~9월경에 성숙한다.
2. 낙엽활엽교목으로 음수이다.
3. 원산지는 일본으로 이식이 쉽다.
4. 꽃색은 황색으로 산울타리용으로 적합하다.

41. 축척 1:500 지형도(30cm×30cm)를 기초로 하여 축척이 1:2500인 지형도(30cm×30cm)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축척 1:500 지형도가 몇 매 필요한가?
1. 5매
2. 10매
3. 15매
4. 25매

42. 공사용 재료의 경사면 소운반 거리 산정시 수직높이 3m는 수평거리 얼마에 해당하는가? (단, 건설공사표준품셈을 기준으로 한다.)
1. 15m
2. 18m
3. 21m
4. 24m

43. 흙의 안식각이란 무엇을 나타내는가?
1. 흙의 마찰각
2. 자연 비탈각
3. 흙깎기 경사각
4. 흙쌓기 경사각

44. 다음 중 목재의 전기저항에 가장 적은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1. 수종
2. 온도
3. 함수율
4. 섬유주향

45. 감독자가 공사의 일시중지를 지시할 수 있는 경우가 아닌 것은?
1. 준공까지 공사기한에 여유가 있을 경우
2. 시공자가 설계도서 대로 시공하지 않을 경우
3. 공사 종사원의 안전에 영향을 미치게 될 경우
4. 시공자의 공사시공방법이 미숙하여 조잡한 공사가 우려될 경우

46. 다음 비탈면 녹화공법은 기계시공과 인력시공으로 구분할 수 있다. 다음 중 기계시공에 해당하는 것은?
1. 볏짚거적덮기
2. 식생혈공
3. 식생반공
4. 식생자루공법

47. 다음 재료 중 재료 할증율이 가장 작은 것은?
1. 원형철근
2. 원석(마름돌용)
3. 블록
4. 조경용수목

48. 다음 시멘트 중 수경률이 가장 큰 시멘트는?
1.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2. 백색 포틀랜드 시멘트
3. 조강 포틀랜드 시멘트
4. 중용열 포틀랜드 시멘트

49. 다음 중 석재의 일반적 강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강도는 중량에 비례한다.
2. 함수율이 클수록 강도는 저하된다.
3. 구성입자가 작을수록 압축강도가 크다.
4. 강도의 크기는 휨강도 > 인장강도 > 압축강도 이다.

50. 배수 지역이 방대해서 하수를 한 곳으로 모으기 곤란할 경우에 이용되는 배수 계통은?
1. 방사식(放射式)
2. 선형식(扇形式)
3. 직각식(直角式)
4. 차집식(遮集式)

51. 비철금속 중 알루미늄 재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순도가 높은 것은 표면에 산화피막이 생겨 잘 부식된다.
2. 알루미늄은 독특한 흰 광택을 지닌 중금속으로 광선 및 열 반사율이 크다.
3. 연성, 전성이 나빠서 가공하기 어렵고 얇은 부재로 만들기도 어렵다.
4. 산이나 알칼리 및 해수에 침식되기 쉬우므로 해안가 공사 시 특히 주의해야 한다.

52. 석재의 비중은 조암광물의 성질·비율·공극의 정도 등에 따라 달라진다. 다음 중 일반적으로 비중이 가장 높은 것은?
1. 화강암
2. 안산암
3. 사문암
4. 응회암

53. 리어카의 1회 운반량은 250kg이다. 콘크리트를 현장배합하기 위해 시멘트 2m3를 동시에 운반할 때 리어카는 몇 대가 필요한가? (단, 시멘트의 단위중량은 1500 kg/m3 이다.)
1. 6대
2. 12대
3. 18대
4. 24대

54. 콘크리트의 거푸집 촉압에 관한 일반적인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타설속도가 빠르면 측압이 커진다.
2. 철근량이 적을수록, 온도가 높을수록 측압이 크다.
3. 응결시간이 빠른 시멘트를 사용할수록 측압이 작다.
4. 단면이 작은 벽보다 단면이 큰 기둥에서 측압이 크다.

55. 다음 그림과 같은 벽돌의 쌓기 방식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마구리쌓기
2. 길이쌓기
3. 옆세워쌓기
4. 길이세워쌓기

56. 그림과 같은 보이세 지점 A에서의 반력이 0이 되려면 P는 몇 kN인가?
1. 2
2. 3
3. 4
4. 5

57. 지상 고도 2000m의 비행기 위에서 화면 거리 152.7mm의 사진기로 촬영한 수직 공중 사진상에서 길이 50m의 교량은 몇 mm 정도로 촬영되는가?
1. 1.2mm
2. 2.5mm
3. 3.8mm
4. 4.2mm

58. 강(鋼)의 조직을 미세화하고 균질의 조직으로 만들며 강의 내부 변형 및 응력을 제거하기 위하여 변태점 이상의 높은 온도로 가열한 후 대기중에서 냉각시키는 열처리 방법은?
1. 풀림(annealing)
2. 불림(normalizing)
3. 담금질(quenching)
4. 뜨임질(tempering)

59. 골재의 함수 상태에 따른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표건상태 : 내부는 포화상태이나 표면은 수분이 없는 상태
2. 습윤상태 : 골재의 내부는 이미 포화상태이고, 표면에도 수분이 있는 상태
3. 기건상태 : 골재를 공기 중에 24시간 이상 건조하여 골재 속에 수분이 없는 상태
4. 절건상태 : 골재르 100~110℃의 온도 상태에서 중량변화가 없어질 때까지 건조하여 골재 속의 모세관 등에 흡수된 수분이 거의 없는 상태

60. 다음 조경시설물 공사에 필요한 가설공사 중 규준(規準)틀 설치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수평규준틀은 벽돌쌓기, 블록쌓기 등 조적공사의 수평보기에 사용된다.
2. 규준틀은 통나무 또는 각목을 사용한다.
3. 규준틀은 건축물의 주요지점에 설치하여 건축물의 모양과 위치를 측정한다.
4. 수평규준틀은 규준틀 설치 평면 배치도를 작성하여 개소당품을 적용하는 것이 원칙이다.

61. 콘크리트 옹벽이 앞으로 무너질 염려가 있을 때 조치사항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원지반의 암질이 좋을 때는 P.C앵커로서 원지반과 콘크리트 옹벽을 묶어 놓는다.
2. 기초의 침하우려가 없을 때는 옹벽 앞면에 부벽식 콘크리트 옹벽을 설치한다.
3. 옹벽 뒷면에 지하수 배수구멍을 뚫고 물을 콘크리트 옹벽 바깥으로 유도시켜 토압을 경감시킨다.
4. 옹벽 기초부분 앞에 도랑을 파서 옹벽의 활동을 유도시켜 무너짐을 막도록 한다.

62. 레크레이션 수용능력의 고정적 결정인자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특정활동에 대한 참여자의 반응정도
2. 특정활동에 대한 필요한 사람의 수
3. 특정활동에 필요한 공간의 최소면적
4. 대상지의 크기와 형태

63. 수목병 발생과 관련된 병삼각형(disease triangle)의 구성 주요인이 아닌 것은?
1. 시간
2. 환경
3. 기주식물
4. 병원균

64. 봄에 꽃이 피는 진달래, 철쭉류 등과 같이 꽃을 감상하기 위한 목적으로 하는 수목의 전정 시기는?
1. 꽃이 진 직후
2. 늦가을 낙엽이 진 직후
3. 이른 봄 싹트기 전
4. 겨울철 휴면기

65. 아스콘 혹은 콘크리트 포장의 균열이 보이고 일부 침하현상과 부분적으로 박리(剝離)현상이 생겼을 때 이용되는 공법은?
1. 그라우팅공법
2. 패칭(Patching)공법
3. P.C 앵커공법
4. 편책공법

66. 8000ppm을 퍼센트 농도로 바꾸면 얼마인가?
1. 0.08%
2. 0.8%
3. 8%
4. 80%

67. 농약의 품질불량이 원인이 되어 일어나는 약해가 아닌 것은?
1. 동시사용으로 인한 약해
2. 원제 부성분에 의한 약해
3. 불순물의 혼합에 의한 약해
4. 경시변화에 의한 유해성분의 생성에 의한 약해

68. 과린산석회나 어박(魚粕), 계분 등과 같은 인산질 비료는 식물의 어느 부분의 성장을 주로 돕는가?
1. 잎을 무성하게 하며, 생육을 촉진시킨다.
2. 개화 수를 증가시키고 결실을 돕는다.
3. 가지나 줄기의 비대를 촉진시킨다.
4. 뿌리의 신장에 도움을 준다.

69. 크게 자란 나무를 작게 유지하기 위하여 동일한 위치에서 새로 자란 가지를 1~3년 간격으로 모두 잘라 버리는 반복전정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생울타리 전정
2. 두목작업
3. 적심(摘心)
4. 토피아리

70. 다음 중 잔디의 잎과 줄기에 불규칙한 황녹색 또는 황갈색의 점이 마치 동전처럼 무수히 나타나며, 주로 초여름과 초가을에 발병하는 것은?
1. 브라운 패취(Brown patch)
2. 잔디 탄저병(Antheacnose)
3. 붉은 녹병(Rust)
4. 달라스팟(Dollar spot)

71. 다음 중 2년생 잡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지칭개, 망초 등이 속한다.
2. 로제트(rosette) 형태로 월동한다.
3. 주로 온대지역에서 볼 수 있는 잡초이다.
4. 월동이후 화아분화하여 개화, 결실한 후 고사한다.

72. 1년에 두 번 이상 발생하는 해충은? (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에서는 1, 3번이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1. 솔나방
2. 밤바구미
3. 낙엽송잎벌
4. 대벌레

73. 영구위조점에서의 토양수분장력(pF) 값은 어느 정도인가?
1. 3.2
2. 4.2
3. 5.2
4. 6.2

74. 다음 중 잔디의 관수방법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잎과 줄기를 관수한다.
2. 땅이 흠뻑 젖도록 관수한다.
3. 햇볕이 잘 쪼이는 정오에 실시한다.
4. 필요시 액체비료를 혼합하여도 좋다.

75. 유실수 중에서 밤나무의 종실(種實)을 가해하는 해충은?
1. 밤나무혹벌
2. 밤나무재주나방
3. 밤나무왕진딧물
4. 복숭아명나방

76. 뗏밥주기에 관한 설명으로 부적합한 것은?
1. 잔디의 생육을 돕기 위하여 한지형 잔디는 봄, 가을에 뗏밥을 준다.
2. 잔디의 생육을 돕기 위하여 난지형 잔디는 늦봄에서 초여름에 뗏밥을 준다.
3. 뗏밥의 양은 잔디깎기의 정도에 따라 조절하는데, 잔디의 생육이 왕성할 때 얇게 1~2회 준다.
4. 뗏밥의 두께는 1~2cm 정도로 주고, 다시 줄 때에는 30일이 지난 후에 주어야 하며, 봄철에 두껍게 한 번에 주는 경우에는 3~5cm 정도로 시행한다.

77. 참나무 시들음병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매개층은 광릉긴나무종이다.
2. 피해목은 초가을에 모든 잎이 낙엽된다.
3. 피해목의 변재부는 병원균에 의하여 변색된다.
4. 매개충의 암컷등판에는 곰팡이를 넣는 균낭이 있다.

78. 조경 시설물의 유지관리 사항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청소
2. 폐수물질의 제거
3. 도장(塗裝)
4. 보수(補修)

79. 수피에 구멍을 내어 비료성분을 주입하는 시비법에 해당하는 것은?
1. 수간주사법
2. 엽면시비법
3. 토양내 시비법
4. 표토시비법

80. 같은 조건하에서도 일시적으로 발아를 중지하고 휴면의 형태를 취하여 부적격 환경을 극복하려는 종자의 발아습성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발아 기회성
2. 발아 계절성
3. 발아 주기성
4. 준동시성 발아
진행 상황
답안 완료율
0%
미답안 답안완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