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경산업기사

(2015-09-19 기출문제 - 전체보기)
총 80문제 답안 완료: 0문제
1. 다음 유형의 공간 중 공간적 위요감이 가장 크게 느껴지는 유형은?
1. 관개형 공간
2. 위요관개형 공간
3. 반개방형 공간
4. 수직형 공간

2. 보행자가 외부공간 내의 한 지점에서 표고차가 있는 다른 지점으로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시설이 아닌 것은?
1. 계단
2. 램프(ramp)
3. 험프(hump)
4. 오토워크

3. 특별시장ㆍ광역시장ㆍ시장 또는 군수는 도시녹화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 도시지역 안의 일정지역의 토지소유자 또는 거주자와 녹화계약을 할 수 있다. 녹화계약으로부터 지원 받기 위한 조건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단,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을 적용한다.)
1. 수림대(樹林帶) 등의 보호
2. 해당 지역을 대표하는 식생의 증대
3. 해당 지역의 면적 대비 식생 비율의 증가
4. 해당 지역을 대표하는 멸종위기종의 증대

4. 축적(scale)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도면에는 척도를 기입하는 것이 원칙이다.
2. 실물과 같은 크기로 그린 배척, 실물보다 확대하여 그린 현척이 있다.
3. 한 도면 안에 사용한 척도는 도면의 표제란에 기입한다.
4. 척도의 표시를 “A : B"로 할 때 B는 ”물체의 실제 크기“를 의미한다.

5.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에 명시된 도시공원에서의 금지행위가 아닌 것은?
1. 공원시설을 훼손하는 행위
2. 공원에서 애완동물을 동반하여 입장하는 행위
3. 나무를 훼손하거나 이물질을 주입하여 나무를 말라죽게 하는 행위
4. 심한 소음 또는 악취가 나게 하는 등 다른 사람에게 혐오감을 주는 행위

6. 도시계획시설 중 공공ㆍ문화체육시설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단, 도시ㆍ군계획시설의 결정ㆍ구조 및 설치기준에 관한 규칙을 적용한다.)(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4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도서관
2. 공공청사
3. 학교
4. 광장

7. 영국(1850~1900)에서 일어난 소정원 운동을 주도한 대표적 인물은?
1. 루우돈(John Charles Loudon)
2. 베리(Sir Charles Barry)
3. 로빈슨(William Robinson)과 재킬여사(Gertrude Jeckyll)
4. 로렌스 헬프린(Lorence Helprin)

8. 조선시대에 네모난 연못 속에 둥근 모양의 섬을 꾸미는 소위 방지원도형이 사용되었는데 이는 어떤 사상의 영향이 가장 강하다고 볼 수 있는가?
1. 신선사상(神仙思想)
2. 풍수지리사상(風水地理思想)
3. 무속사상(巫俗思想)
4. 음양사상(陰陽思想)

9. 석가산 수법이 성행되었다고 볼 수 있는 시대는?
1. 삼국시대
2. 통일신라시대
3. 고려시대
4. 조선시대

10. 중국정원에서 원자(院子)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송나라 시대 사대부의 정원이다.
2. 중국 명대의 정원에 관한 전문서적이다.
3. 정원을 다스리는 기구로서 송나라 시대부터 있었다.
4. 건물과 건물 사이에 자리잡은 공간으로 화훼류를 가꾸었다.

11. 이스파한은 페르시아의 사막지대에 위치한 오아시스 도시이다. 이 이스파한의 계획 요소가 아닌 것은?
1. 광로(Chahar Bagh)
2. 왕의 광장(Maidan)
3. 오벨리스크(Obelisk)
4. 40주궁(Tchihil-Sutum)

12. 프레드릭 로우 옴스테드(F.L.Olmsted)의 조경 업적에 관한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국립공원에 많은 기여를 하였다.
2. 도시 내 오픈 스페이스 확보에 기여하였다.
3. 군주적인 장원(莊園)생활에 알맞은 환경을 조성하였다.
4. 센트럴파크라는 전원(田園)풍경식 대공원을 설계 시공하였다.

13. 조선시대 민가 정원의 특성을 설명한 것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뒤뜰에 화계를 만들어 꽃나무가 식재된다.
2. 안뜰은 괴석, 세심석 등 점경물로 꾸며진다.
3. 풍수도참설의 영향으로 뒤뜰이 주정원으로 꾸며졌다.
4. 유교의 영향으로 남성과 여성을 위한 공간이 엄격히 구분되었다.

14. 다음 중 바로크(baroque)시대 조경양식의 특징은?
1. 단순 명료성
2. 명쾌한 균제미
3. 온화와 단조로움
4. 번잡함과 극도의 세부기교

15. 다음 중 조경설계기준상의 단위놀이시설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시소 2연식의 경우 길이 3.6m, 폭 1.8m를 표준규격으로 한다.
2. 미끄럼판은 높이 1.2(유아용) ~ 2.2m(어린이용)의 규격을 기준으로 한다.
3. 그네의 안장과 모래밭과의 높이는 50 ~ 100cm가 되도록 하며, 이용자의 신체를 고려하여 결정한다.
4. 모래밭의 모래막이의 마감면은 모래면보다 5cm 이상 높게 하고, 폭은 12 ~ 20cm를 표준으로 하며, 모래밭쪽의 모서리는 둥글게 마감한다.

16. 제도 통칙에서 그림의 모양이 치수에 비례하지 않아 착각될 우려가 있을 때 사용되는 문자 기입 방법은?
1. AS
2. KS
3. NS
4. PS

17. 다음 설명과 같은 특징을 갖는 색은?
1. 올리브색
2. 바다색
3. 갈색
4. 오렌지색

18. 먼셀 색입체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색상은 명도 축을 중심으로 원주상에 구성되어 있다.
2. 명도 번호가 클수록 명도가 높고, 작을수록 명도가 낮다.
3. 채도는 색입체의 중심에 가까울수록 증가한다.
4. 채도는 표면색의 선명함을 나타내지만, 일반적으로 선명함은 표면색에서 뿐 아니라 빛의 색에서도 느낄 수 있다.

19. 물체의 앞이나 뒤에 화면을 놓은 것으로 생각하고, 시점에서 물체를 본 시선과 그 화면이 만나는 각 점을 연결하여 물체를 그리는 투상법은?
1. 투시도법
2. 사투상법
3. 정투상법
4. 표고 투상법

20. 다음 A~D의 그림이 내포하고 있는 주 원리가 잘못 표시된 것은?
1. A : 균형(balance)
2. B : 통일(unity)
3. C : 대칭(symmetry)
4. D : 점이(gradation)

21. 녹색 수피를 갖는 수종이 아닌 것은?
1. 황매화
2. 죽단화
3. 벽오동
4. 황벽나무

22. 아까시나무와 회화나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두 수종 모두 기수우상복엽이다.
2. 두 수종 모두 꽃 피는 시기는 5월 초이다.
3. 두 수종 모두 뿌리가 천근성이다.
4. 아까시나무에는 가시가 있으나 회화나무에는 없다.

23. 다음 중 Styrax japonicus Siebold & Zucc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줄기는 흑갈색이다.
2. 열매는 삭과이다.
3. 잎의 배열은 호생이다.
4. 꽃은 흰색이며 향기가 난다.

24. 식재형의 구성에 의한 배식을 가장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식재형의 기본형은 반드시 3의 배수여야 한다.
2. 두 그루의 수목을 근접하게 식재하면 대립 되어 보인다.
3. 2본식 식재형에서 대식은 주로 동양식 정원에서 사용한다.
4. 삼각식수는 모든 식재방법에 있어서 간격을 결정하는 기초가 된다.

25. 식물 분류학상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식물로 1속 1종에 속하는 식물은?
1. 미선나무
2. 물푸레나무
3. 푸조나무
4. 개서어나무

26. 1992년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열린 유엔환경개발회의(UNCED)에서 합의한 주요 사항이 아닌 것은?
1. 21세기 행동강령 : 21세기 지구환경보전의 실천지침과 행동강령을 규정
2. 생물다양성협약 : 열대림의 파괴를 줄이고 사라져 가는 생물좌원을 보존하여 종과 유전자 자원의 보전책을 모색
3. 기후변화협약 : 이산화탄소 방출을 억제하고 지구온난화 방지를 위한 범세계적 및 국가적인 규제책 모색
4. 산림원칙 : 산림자원을 보유한 개발도상국가는 산림자원 개발 시 반드시 세계적으로 허가를 받아야 함.

27. 식물생육에 필요한 토양의 최소깊이가 30cm 일 때, 이곳에서 생육할 수 있는 식생은? (단, 토양등급은 중급, 배수층 두께는 10cm)
1. 잔디, 초본
2. 소관목
3. 대관목
4. 천근성 교목

28. 식재설계 시 기초자료가 되는 기존식생의 조사분석은 다음 중 어느 분석항목에 속하는 과정인가?
1. 물리적 환경조사
2. 시각적 환경조사
3. 미학적 환경조사
4. 사회적 환경조사

29. 일조가 식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너도밤나무와 주목은 빛이 약한 곳에서도 잘 생육하는 음수이다.
2. 태양광선은 직사광선과 반사광선으로서 식물체에 도달하여 광합성 작용의 에너지가 된다.
3. 일조가 좋은 곳일수록 나뭇잎이 무성해지며, 나뭇잎이 무성해질수록 생장이 좋아진다.
4. 증산작용은 온도, 바람의 영향을 받지만 일조의 강도가 높아지면 증산작용도 증가한다.

30. 소나무류(Hard Pine)와 잣나무류(Soft Pine)의 식별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잎수는 잣나무류가 3 ~ 5개이고, 소나무류는 2 ~ 3개이다.
2. 아린은 잣나무류가 곧 떨어지고, 소나무류는 끝까지 남아있다.
3. 잣나무류는 가지에 침엽이 달렸던 자리가 도드라져 있고 소나무류는 밋밋하다.
4. 잣나무류는 실편(實片)은 끝이 얇고 가시가 없으며, 소나무류의 실편은 끝이 두껍고 가시가 있다.

31. Wisteria floribunda (willd.) DC.for.floribunda 의 성상은 무엇인가?
1. 교목
2. 관목
3. 만경목
4. 초화

32. 브라운 블랑케의 식생조사 방법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주로 동물 집단과 식물 집단의 생활 상태를 조사한다.
2. 각 식물종의 조합과 입지조건이 다른, 군락이 가장 잘 발달된 지역을 선택한다.
3. 상재도는 식물전체의 피복율과 층별 식피율의 백분율, 7단계로 판정한다.
4. 조사구역의 면적은 관목림은 50 ~ 200m2 이다.

33. 다음의 설명에 적합한 수종은?
1. Akebia quinata
2. Stauntonia hexaphylla
3. Ficus oxyphylla
4. Clematis patens

34. 다음 중 식재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원래 생육지의 방향대로 식재지에 심는 것이 좋다.
2. 풀잎과 짚 등의 거친 거름 소재를 식재 구덩이 밑에 넣어서는 안 된다.
3. 구덩이를 팔 때 나온 겉흙과 속흙은 섞어서 메움 작업 시 재사용한다.
4. 물을 충분히 주고 죽상태가 되도록 나무막대기로 충분히 쑤셔서 뿌리분이 흙과 밀착되도록 한다.

35. 다음 중 비료에 대한 요구도(要求度)가 가장 큰 잔디는?
1. 버뮤다그래스
2. 켄터키블루그래스
3. 라이그래스
4. 한국잔디

36. 다음 중 오동나무의 속명에 해당되는 것은?
1. Firmiana
2. Paulownia
3. Campsis
4. Fraxinus

37. 질소가 식물이 이용할 수 있는 형태로 전환되는 질소고정(nitrogen fixation)을 할 수 있는 종은?
1. Zelkova serrata
2. Salix koreensis
3. Quercus mongolica
4. Alnus japonica

38. 다음 중 엽록소의 구성 성분이 되는 다량원소는?
1. 마그네슘(Mg)
2. 황(S)
3. 칼륨(K)
4. 칼슘(Ca)

39. 다음 설명에 대한 수종으로 옳은 것은?
1. Magnolia sieboldii
2. Magnolia obovata
3. Magnolia denudata
4. Magnolia kobus

40. 다음 설명에 적합한 화단양식은?
1. 침상화단
2. 리본화단
3. 카펫화단
4. 기식화단

41. 일반적으로 풍화한 시멘트에서 나타나는 성질이 아닌 것은?
1. 비중감소
2. 응결지연
3. 강도발현 저하
4. 강열감량의 감소

42. 레디믹스트 콘크리트(ready mixed concrete)를 사용할 경우의 장점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양질이며 균질한 콘크리트를 얻을 수 있다.
2.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를 조절하기 용이하다.
3. 콘크리트 치기 능률이 향상되고 공사기간이 단축된다.
4. 현장에서는 콘크리트 치기와 양생에만 전념할 수 있다.

43. 다음 혼화재료 중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를 개선하는 효과가 없거나 가장 적은 것은?
1. AE제
2. 유동화제
3. 플라이애시
4. 응결ㆍ경화촉진제

44. 그림과 같은 단순보에서 점 B에 작용하는 반력의 크기는 몇 kN인가?
1. 2
2. 4
3. 8
4. 16

45. 다음 중 흙의 연경도(consistency)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액성한계나 소성지수가 큰 흙은 연약 점토지반이라고 볼 수 있다.
2. 액성한계가 큰 흙은 점토분을 많이 포함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3. 소성한계가 큰 흙은 점토분을 많이 포함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4. 액성한계와 소성한계가 가깝다는 것은 소성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46. 후시(B.S.)가 1.550m, 전시(F.S.)가 1.445m 일 때 미지점의 지반고가 100.000m 이었다면 기지점의 높이는?
1. 97.005 m
2. 98.450 m
3. 99.895 m
4. 100.695 m

47. 「석재판붙임용재(부정형동)」의 할증률은?
1. 3%
2. 5%
3. 10%
4. 30%

48. 계획대상지의 부지정지 및 다짐에 필요한 성토량이 1000m3이다. 인접지역의 토양을 적재용량이 10m3인 덤프트럭으로 운반할 때 소요되는 덤프트럭은 모두 몇 대인가? (단, L = 1.15, C = 0.9인 경우이다.)
1. 100
2. 111
3. 115
4. 128

49. 활엽수재에는 있으나 침엽수재에는 없는 구성 요소로만 나열된 것은?
1. 유세포와 목섬유
2. 유세포와 도관
3. 목섬유와 도관
4. 가도관과 목섬유

50. 최대계획우수유출량(m3/s)의 산정에서 합리식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배수유역이 커지면 유출량도 커진다.
2. 불투수포장이 작을수록 유출량은 커진다.
3. 유출계수가 커지면 유출량이 커진다.
4. 유달시간 내의 평균강우강도가 큰 지역은 유출량이 커진다.

51. 공사원가 계산에 있어 일반관리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일반관리비는 본사 경비이다.
2. 이윤 요율 적용 시 합산하여 산정하지 않는다.
3. 일반관리비 요율 적용 시 재료비는 합산하지 않는다.
4. 순공사원가 항목으로 노무관리비 성격으로 계상한다.

52. 다음 중 산업재해 보상보험료(산재보험료)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산재보험료는 고정요율로서 5% 이다.
2. 총괄내역서 작성 시 경비 항목으로 계상한다.
3. 법령에 의하여 강제적으로 가입되는 항목이다.
4. 노무비의 총액에 일정 요율을 곱하여 산정한다.

53. 다음 굴삭기의 시간당 작업량 계산 공식 중 'f'가 의미하는 것은?
1. 버킷용량
2. 버킷계수
3. 작업효율
4. 체적환산계수

54. 네트워크 공정표 중 더미(dummy)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선행작업을 표시한다.
2. 작업일수는 1일이다.
3. 가장 시간이 긴 경로를 나타낸다.
4. 선행과 후속의 관계만을 나타낸다.

55. 품질관리 및 검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공사용 재료는 사용 전에 감독자에게 견본 또는 자료를 제출하고 승인을 얻어 사용한다.
2. 시방서에 재료의 품질 및 규격이 규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조ㆍ생산 회사의 품질기준을 우선적으로 따른다.
3. 견본제출 또는 현장 확인 등의 사전검사에도 불구하고 공사용 재료가 현장에 반입되면 감독자로부터 사용여부를 승인받아야 한다.
4. 검사 또는 시험에 불합격된 재료는 지체없이 공사현장으로부터 반출한다.

56. 벽돌쌓기 시공 시 주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벽돌은 쌓기 전에 물을 축여 놓으면 쌓은 후 부스러질 우려가 있으므로 관리에 유의한다.
2. 모르타르는 정확히 배합해 쓰고, 2시간이 지난 것은 사용하지 ㅇ낳는다.
3. 줄눈나비는 가로와 세로 10mm를 표준으로 하고, 줄눈에 모르타르가 빈틈없이 채워지도록 한다.
4. 쌓기 도중에 중단할 때에는 층단들여 쌓기로 하고 직각으로 교차되는 벽의 물림은 켜걸름들여 쌓기로 한다.

57. 그림과 같은 ABC토지의 1변 BC에 평행하게 m : n= 1 :3 비율로 분할하고자 할 경우 AB의 길이가 75m일 때 AX의 길이는?
1. 33.2m
2. 36.7m
3. 37.5m
4. 37.8m

58. 건축재료의 일반적인 요구 성능(역학적, 물리적, 내구성능, 화학적 등)을 구분할 때 물리적 성능이 아닌 것은?
1. 강도
2. 비중
3. 수축
4. 반사

59. 빛의 측정단위가 틀린 것은?
1. 광속 : W
2. 광도 : cd
3. 조도 : 1x
4. 휘도 : sb

60. 다음 중 식재기반조성의 배수와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인공지반 위나 일반토사 위에 자갈 배수층을 설치할 때는 ø20 ~ 30mm의 자갈을 사용한다.
2. 표면배수는 식재지역 및 구조물 쪽으로 기울어서는 안 되며, 식재지역에 타 지역의 유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3. 심토층의 배수가 불량한 식재지역은 필요시 교목 주위에 암거배수를 별도로 설치한다.
4. 심토층 집수정에 유입되는 물은 유출구보다 최소 0.15m 낮게 설치한다.

61. 옥외레크리에이션의 관리 체계상 주요기능의 관점에서 부체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운영 관리
2. 이용자 관리
3. 자원 관리
4. 서비스 관리

62. 조경관리 상례(常例) 계획 중 운영항목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정비
2. 재산
3. 인ㆍ허가
4. 계약

63. 소나무에 피해를 주는 해충이 아닌 것은?
1. 솔나방
2. 응애류
3. 솔잎혹파리
4. 솔잎혹파리먹좀벌

64. 한국 잔디류의 대표적인 생리 특성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내서성
2. 내답압성
3. 내한성
4. 내습성

65. 다음 중 이용 측면보다는 자원의 보전측면의 관리가 더욱 강조되는 공원의 유형은?
1. 어린이공원
2. 근린공원
3. 묘지공원
4. 국립공원

66. 배나무 붉은별무늬병의 겨울포자가 기생하기 때문에 배나무 과수원 가까이 식재하지 말아야 할 수목은?
1. 화백
2. 향나무
3. 오동나무
4. 히말라야시이다

67. 다음 중 비료의 영양성분이 10-6-4로 표시된 것에 대한 설명이 옳은 것은?
1. 6을 질소(N)의 비율을 나타낸 것이다.
2. 10은 인산(P2O5)의 첨가 비율을 나타낸 것이다.
3. 4는 가리(K2O)의 비율을 나타낸 것이다.
4. 10-6-4로 표시된 비료와 5-3-2로 표시된 비료의 영양분의 양은 같다.

68. 레크리에이션 공간관리에 있어서 다음 중 가장 원시적이고 재래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는 것은?
1. 완전방임형
2. 자연회복형
3. 육성관리형
4. 순환식 개방형

69. 잔디유지관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들잔디는 잎의 길이가 0.03 ~ 0.06m 이내가 되도록 수시로 잔디깎기를 실시한다.
2. 잔디깎기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잔디의 높이에 단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3. 잔디시비는 질소, 인산, 칼리성분이 복합된 비료를 1회에 m2당 30g씩 살포한다.
4. 잔디의 생육을 돕기 위하여 난지형 잔디는 봄, 가을에, 한지형 잔디는 늦봄에서 초여름에 뗏밥을 준다.

70. 토양의 입경조성에 의한 토양의 분류를 가리키는 것은?
1. 토성
2. 토양통
3. 토양반응
4. 토양분류

71. 다음 중 음수대의 설치 및 유지관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동파방지를 위한 보온시설 및 퇴수시설을 설치하여야 한다.
2. 인입관은 해당 지역의 동결심도를 고려하여 적정 깊이 이상으로 매설해야 한다.
3. 급ㆍ배수시설은 조경공사표준시방서의 해당 항목을 따르며, 음수대에 별도의 제수밸브를 설치한다.
4. 배수구는 구조적인 안전이 최우선 고려사항이므로 일체형으로 설치하며, 별도의 관리시설을 설치하지 않고 전체 교체한다.

72. 다음 중 토사포장 도로의 유지관리에 고려해야 할 항목으로 가장 관계가 적은 것은?
1. 강우 시 지반의 연약화
2. 동결된 노면의 해동 후 상태
3. 지지력 약화에 의한 표면의 균열
4. 차량 통행량 증가에 의한 노면의 약화

73. 침투성 살균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곰팡이의 세포벽을 잘 침투하는 살균제
2. 식물체 전체로 이행하여 살균효과로 보이는 살균제
3. 곰팡이의 핵까지 침투하여 직접적으로 억제하는 살균제
4. 토양침투력이 우수하여 뿌리병 방제에 효과적인 살균제

74. 기존의 포장구간의 균열 및 파손장소를 부분 보수 한 뒤에 사용하는 보수공법으로서 임시적 포장 재생 방법이 아니라 새로운 포장면을 조성하지 위하여 사용하는 아스팔트 포장 보수공법은?
1. 패칭공법
2. 표면처리공법
3. 덧씌우기공법
4. 치환공법

75. 패칭(Patching)공법으로 보수가 곤란한 아스팔트콘크리트(아스콘)의 파손 유형은?
1. 부분적 박리
2. 국부적 침하
3. 일부면의 균열
4. 전면적인 마모

76. 0.2mm 이하의 콘크리트 균열부를 처리하는 데 주로 사용하는 공법으로 와이어브러쉬로 청소한 후 에폭시계 재료로 폭 5cm, 깊이 3mm 정도를 도포하는 콘크리트 보수공법은?
1. 표면실링공법
2. 압식주입공법
3. V자형 절단공법
4. 시멘트 모르타르공법

77. 잔디관리 방식 중 잔디의 뗏밥(培土, Topdressing)과 관련된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1. 생리ㆍ생태적 효과로는 발아 보호력 촉진
2. 생리ㆍ생태적 효과로는 맷트(mat) 형성을 촉진
3. 물리적 효과로는 그린면을 평편하게 하여 잔디의 균일한 생육을 도모
4. 물리적 효과로는 잔디밭 표층토의 물리성을 개량하게 되어 토성개선 효과

78. 식재지 지주목의 결속을 고치는 시기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3 ~ 5월
2. 7 ~ 9월
3. 9 ~ 11월
4. 1 ~ 3월

79. 정지(整枝) 및 전정(剪定)의 효과라 할 수 없는 것은?
1. 화아분화의 촉진
2. 수목의 규격화 추구
3. 수목의 구조적 안전성 도모
4. 꽃눈발달과 영양생장의 균형 도모

80. 불합리한 농약의 혼용은 약효의 경감, 약해의 원인 또는 급성독성의 현저한 증가를 야기한다. 농약 혼용 시 주의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혼용에 의한 활성의 변화
2. 혼용에 의한 화학적 변화
3. 혼용에 의한 물리성의 변화
4. 혼용에 의한 살포시기의 변화
진행 상황
답안 완료율
0%
미답안 답안완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