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경산업기사

(2016-03-06 기출문제 - 전체보기)
총 80문제 답안 완료: 0문제
1. 팩스턴(Paxton)의 이름을 높여 준 작품은?
1. 시뵈베르원
2. 수정궁
3. 큐 가든
4. 켄싱턴원

2. 일본정원 중 선종(禪宗)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은 시대는?
1. 아즈카(비조)시대
2. 무로마찌(실정)시대
3. 에도(강호)시대
4. 모모야마(도산)시대

3. 조선시대 민가정원의 지당형태를 잘못 설명한 것은?
1. 지당내 섬에는 목본식물이 식재된다.
2. 지당의 윤곽선은 직선적으로 처리된다.
3. 지당 가운데는 1~3개의 섬이 조성된다.
4. 지당 내부의 섬을 연결하는 곡교(曲橋)가 조성된다.

4. 조선시대 궁궐정원 시설이 아닌 곳은?
1. 통명전
2. 향원정
3. 교태전
4. 연복정

5. 고대 메소포타미아 지방에 만들어졌던 파크(Park)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사막지대에 정형식으로 조성된 궁원이다.
2. 신전을 중심으로 하여 조성한 신림(神林)이다.
3. 왕의 수렵(狩獵)놀이를 주목적으로 하여 조성한 숲이다.
4. 왕의 소유이지만 일반사람들에게도 공개되는 오늘날의 공원과 같은 것이다.

6. 선 왕릉의 공간은 능침, 제향, 진입공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 중 제향공간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곡장
2. 정자각
3. 수라간
4. 수복방

7. 다음 중 부울리바아드(boulevard)가 의미하는 것은?
1. 어린이 놀이터
2. 삼림욕을 할 수 있는 숲
3. 나무가 줄지어 심어진 유보도(遊步道)
4. 도시 가운데에 있는 벤치가 놓인 공원(公園)

8. 다음 제시된 평면기하학식 정원의 조성 시기가 가장 빠른 정원은?
1. 베르사이유(Versailles) 궁원
2. 카르스루헤(Karsruhe) 성
3. 보르비콩트(Vaux-Le-Viconte)
4. 헤렌하우젠(Herrenhauzen) 궁

9. Litton의 삼림경관의 유형과 그 설명이 틀린 것은?
1. 관개경관 : 터널적 경관이라고도 불리며 수관 아래나 임내의 경관
2. 파노라믹 경관 : 시선을 가로막는 장애물이 없이 풍경을 조망할 수 있는 경관
3. 위요경관 : 기준면(바닥)을 지면 또는 수평이나 초원으로 하여 주위의 경관요소들이 울타리처럼 자연스럽게 싸고 있는 국소적 경관
4. 세부경관 : 평행선의 연속이나 경관요소들이 직선상으로 연결됨으로써 시선은 어느 점을 따라 유도되는 현상의 경관

10. 프로그램이란 설계시 필요한 요소와 요인들에 대한 목록과 표를 말하는데, 이 프로그램의 구성은 세 가지로 이루어진다. 다음 중 구성 요소로 가장 보기 어려운 것은?
1. 설계 비용
2. 설계 목적과 목표
3. 설계상의 특별한 요구사항
4. 설계에 포함되어야 할 요소들의 목록

11. 우리나라「도시ㆍ군계획시설의 결정ㆍ구조 및 설치기준에 관한 규칙」상의「교통광장」의 분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교차점광장
2. 중심대광장
3. 주요시설광장
4. 역전광장

12. 다음 중 생태숲 계획시 고려할 사항으로 가장 부적합한 것은?
1. 건설사업으로 인한 산림의 훼손지복원이나 이용객들의 치유목적 및 자연학습장으로 이용 가능한 숲의 조성에 적용한다.
2. 오염되거나 훼손된 도시산업화 지역에서 환경보전 및 자연성 증진 기능을 수행 할 수 있도록 조성하는 다층복합구조의 숲 조성에 적용한다.
3. 생태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자연이 갖는 생태적 기능을 강조함과 동시에 일반인의 관심과 흥미를 유도할 수 있는 숲을 말한다.
4. 50만 제곱미터 이상(자연휴양림ㆍ도시숲 등과 연접하여 교육ㆍ탐방ㆍ체험 등의 기능을 높일 수 있는 경우에는 30만제곱미터 이상)인 산림을 대상으로 지정할 수 있다.

13. 아파트 단지계획에 있어서 다음 그림은 무엇을 가장 잘 표현한 것인가?
1. 녹지 속에 아파트가 파묻혀 있도록 계획한 것
2. 완충녹지를 조성하여 그 곳에 공원을 계획한 것
3. 주거동으로 포위된 넓은 공간을 공원적 성격을 지닌 다목적인 자리로 계획한 것
4. 동선의 흐름에 따라 성격을 달리한 공원을 계획하여 공간이용의 다양화를 도모한 것

14. 대지(垈地)조건에 가장 적합한 토지의 용도를 찾고 정지 작업하기 위한 절ㆍ성토량을 계산하여 적절한 사면 처리 방법을 강구하기 위한 대지 조사 작업은?
1. 토지이용 조사
2. 경사도 분석
3. 토양조사
4. 인공구조물 조사

15. 다음 중 조경설계기준상의 「보행등」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보행로 경계에서 1,000mm 정도의 거리에 배치한다.
2. 소로ㆍ산책로ㆍ계단ㆍ구석진 길ㆍ출입구ㆍ장식벽 등에 설치한다.
3. 보행인의 이용에 불편함이 없는 밝기를 확보하며, 보행로의 경우 3lx 이상의 밝기를 적용한다.
4. 산책로 등의 보행공간만을 비추고자 할 경우에는 포장면 속에 배치하거나 등주의 높이를 50~100㎝로 설계한다.

16. 정투상도에 의한 제1각법으로 도면을 그릴 때 도면 위치로 맞는 것은?
1. 정면도를 중심으로 평면도가 위에, 우측면도는 정면도의 왼쪽에 위치한다.
2. 정면도를 중심으로 평면도가 위에, 우측면도는 정면도의 오른쪽에 위치한다.
3. 정면도를 중심으로 평면도가 아래에, 우측면도는 정면도의 오른쪽에 위치한다.
4. 정면도를 중심으로 평면도가 아래에, 우측면도는 정면도의 왼쪽에 위치한다.

17. 다음 색채의 일반적인 성질 중에서 보색 관계는?
1. 한색과 난색
2. 청색과 탁색
3. 유채색과 무채색
4. 고명도와 저명도

18. 다음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의 도시공원의 면적기준 설명의 “B"에 적합한 수치는?
1. 2
2. 3
3. 6
4. 10

19. 다음 수종 중 멀리서 조망하였을 때 잎이 주는 질감이 가장 부드러운 것은?
1. 버즘나무
2. 상수리나무
3. 해송
4. 낙우송

20. 조경제도에서 불규칙한 곡선을 그릴 때 사용하기 가장 적합한 제도 용구는?
1. 삼각자
2. 스케일
3. 자유곡선자
4. 만능제조기

21. 다음 중 초화류의 식재간격(㎝)이 가장 큰 것은?
1. 팬지
2. 맨드라미
3. 샐비어
4. 꽃양배추

22. 받침줄(guy, 당김줄)을 사용해 지주할 때 주의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나뭇가지를 감쌀 때 고무호스를 사용해야 한다.
2. 받침줄은 가급적 금속재 앵카로 지지되어야 한다.
3. 받침줄에 의해 힘이 분산될 때 평형상태가 되어야 한다.
4. 받침줄은 조이기 위하여 가급적 턴버클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효과적이다.

23. 뿌리돌림 분의 크기를 정할 때 고려해야 할 조건으로 틀린 것은?
1. 귀중한 수목은 크게 작업한다.
2. 뿌리 발생력이 강한 수종은 작게 작업한다.
3. 심근성 수종은 천근성보다 좁고 깊게 잡는다.
4. 뿌리발생에 불리한 지형과 토양에서는 작게 작업한다.

24. 수(水) 처리에 이용되는 습지식물의 분류 중 침수식물에 해당하는 것은? (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에서는 모두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1. 부들
2. 가래
3. 골풀
4. 사초

25. 자귀나무의 학명으로 맞는 것은?
1. Amorpha fruticosa
2. Albizziz julibrissin
3. Caragana sinica
4. Cercis chinensis

26. 다음 중 같은 색의 꽃이 피는 수목으로 맞게 짝지어진 것은?
1. Cornus controversa, Aesculus turbinata
2. Cornus kousa, Lagerstroemia indica
3. Cercis chinensis, Cornus officinalis
4. Albizzia julibrissin, Chionanthus retusus

27. 다음 중 한 마디에 잎이 2개씩 달리는 대생(對生)하는 식물이 아닌 종은?
1. 쥐똥나무
2. 굴참나무
3. 수수꽃다리
4. 고로쇠나무

28. 훼손된 비탈면의 자연환경과 생태계를 복원하기 위한 성능 목표로 틀린 것은?
1. 비탈침식의 조장
2. 비탈면의 경관향상
3. 종 다양성의 확보
4. 주변 지역과의 조화

29. 다음 중 개화의 순서가 바르게 된 것은?
1. 쥐똥나무 → 산수유 → 풍년화 → 금목서
2. 풍년화 → 산수유 → 쥐똥나무 → 금목서
3. 금목서 → 쥐똥나무 → 풍년화 → 산수유
4. 풍년화 → 쥐똥나무 → 금목서 → 산수유

30. 다음 자연생육에서도 비교적 정형을 유지하는 수종들 중 전정으로서만 정형을 유지할 수 있는 수종은?
1. 개잎갈나무
2. 가이즈까향나무
3. 낙우송
4. 낙엽송

31. 단풍나무과(科)의 식물은 아름다운 단풍으로 계절감을 제공하는 대표적인 수종이다. 다음 중 단풍나무과 식물이 아닌 것은?
1. 신나무
2. 미국풍나무
3. 중국단풍
4. 네군도단풍

32. 수목식재시 자연토의 생존최소토심과 토양등급 중급 이상의 생육최소토심을 순서대로 열거한 것 중 틀린 것은?
1. 심근성 교목 : 90㎝, 150㎝
2. 천근성 교목 : 60㎝, 90㎝
3. 소관목 : 45㎝, 60㎝
4. 잔디ㆍ초화류 : 15㎝, 30㎝

33. 일반적인 식재지역의 토양조건 중 수목생육에 가장 좋은 토양 조건은?
1. 산성 토양
2. 풍화암 토양
3. 점질 토양
4. 중성이나 약산성 토양

34. 다음 방품림 구조의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1.5~2.0m 간격의 정삼각형식재가 바람직하다.
2. 수림대의 길이는 수고의 12배 이상이 필요하다.
3. 지형과의 관계에서는 능선 또는 법견에 설치함이 좋다.
4. 수림의 밀폐도는 90~95% 정도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35. 다음 식물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건생식물에는 바위솔, 세덤류가 속한다.
2. 소택식물에 있어 마름, 가래 줄 등의 정수 식물이 속한다.
3. 중생식물은 적윤지 식물에 잘 자라는 식물로 온대낙엽활엽수가 속한다.
4. 토양수분이 부족하여 잎의 원형질 분리가 일어나 시들기 시작하는 때를 초기위조점이라 한다.

36. 낙엽송은 개화가 매우 힘든 수종으로 알려져 있다. 개화결실을 촉진하기 위한 기술이 아닌 것은?
1. 접목법
2. 환상박피
3. 조직배양법
4. 지베렐린처리법

37. 다음 중 학명에 품종이 표기되지 않는 식물은?
1. 반송
2. 불두화
3. 용버들
4. 화살나무

38. 바람에 쓰러지기 쉬운 수종이 아닌 것은?
1. 미루나무
2. 아까시나무
3. 갈참나무
4. 양버즘나무

39. 조경수목 종자의 품질을 나타내는 기준인 순량율이 50%, 실중이 60g, 발아율이 90%라고 할 때, 종자의 효율은?
1. 27%
2. 30%
3. 45%
4. 54%

40. 다음 중 낙상홍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1. 과명이 감탕나무과이다.
2. 학명은 Ilex cornuta 이다.
3. 암수딴그루이다.
4. 열매는 붉은색이다.

41. 다음 1/50,000 도면상에서 AB간의 도상수평거리가 10㎝일 때 AB간의 실 수평거리와 AB선의 경사를 구한 값은?
1. 실수평거리 : 50m, 경사 : 1/3.3
2. 실수평거리 : 500m, 경사 : 1/33.3
3. 실수평거리 : 5,000m, 경사 : 1/333
4. 실수평거리 : 50,000m, 경사 : 1/3333

42. 그림과 같은 외팔보에 등분포하중이 작용한다. 지점 C에서의 굽힘모멘트의 크기는 얼마인가?
1. ωa2/4
2. ωa2/2
3. ωa2
4. 2ωa2

43. 기본벽돌을 사용하여 2.0B의 두께로 벽을 만들었을 때 벽 두께(mm)는? (단, 줄눈 두께는 1㎝로 한다.)
1. 190
2. 200
3. 380
4. 390

44. 다음 설명에 적합한 콘크리트의 종류는?
1. 서중콘크리트
2. 매스콘크리트
3. 팽창콘크리트
4. 한중 콘크리트

45. 배수지역의 표면 종류에 따른 유출계수가 가장 큰 곳은?
1. 공원
2. 상업지역
3. 학교운동장
4. 저밀도주거지역

46. 다음 설명하는 건설 장비는?
1. Bulldozer
2. Back Hoe
3. Grader
4. Drag line

47. 흙을 100m 거리로 리어카를 이용하여 운반하려한다. 운반로의 상태가 보통일 때 하루에 운반하는 흙은 몇 m3인가? (단, 흙 1m3은 1,800kg, 하루작업시간은 450분, 리어카의 1회 적재량은 250kg 이고, 적재 적하시간과 평균왕복운반속도는 다음 표와 같다.)
1. 4.268
2. 5.342
3. 7.102
4. 9.678

48. 다음 네트워크 공정표와 관련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작업을 나타내며 시간과 자원을 필요로 하는 부분을 Activity(작업, 활동)라고 한다.
2. 작업의 종료, 개시 또는 작업과 작업간의 연결점을 Event(결합점)라 한다.
3. 작업을 나타내는 실선 화살선으로 작업이나 시간의 값을 나타내는 것을 Dummy(더미)라 한다.
4. 최초작업의 개시에서 최종작업의 완료에 이르는 경로 중 소요일수가 가장 긴 경로를 Critical Path(주공정선)이라고 한다.

49. 다음 [보기]에서 설명하는 시멘트는?
1. 실리카시멘트
2. 알루미나시멘트
3. 고로시멘트
4. 중용열 포틀랜드시멘트

50. CPM과 비교한 PERT의 특성으로 부적합한 것은?
1. PERT는 최소비용에 대한 도입이론이 없다.
2. CPM과 PERT 모두 공사전체의 파악을 용이하게 한다.
3. PERT는 소요시간 추정을 위하여 1점 추정을 한다.
4. PERT는 경험이 없는 건설공사나 비반복사업에 유리하다.

51. 어떤 배수구역의 면적 비율이 주거지 40%, 도로 30%, 녹지 30%라고 가정하고 그 유출계수를 각각 순서대로 0.90, 0.80, 0.10이라고 한다면, 이 구역의 합리적인 평균 유출계수는?
1. 0.60
2. 0.63
3. 0.80
4. 0.83

52. 콘크리트 시공에서 골재의 습윤상태에 관하 것으로 콘크리트 반죽시 물량(水量)이 골재에 의해 증감되지 않는 이상적인 상태 또는 골재입자의 표면에 물은 없으나 내부의 공극에는 물이 꽉 차 있는 상태는?
1. 절대건조상태
2. 습윤상태
3. 노건상태(爐乾狀態)
4. 표면건조 포화상태

53. 다음 중 일반적인 옹벽의 설계과정에서 고려해야 되는 사항이 아닌 것은?
1. 옹벽 각 부재의 구조체를 설계한다.
2. 지형의 조사, 지반의 토질조사 및 시험을 한다.
3. 뒷채움 흙의 경우 배수시설은 고려하지 않고 구조물에서 결정한다.
4. 옹벽의 자중, 옹벽에 작용하는 토압 및 뒷채움 흙의 재하중을 계산한다.

54. 옹벽의 종류 중 옹벽배면 기초저판 위의 흙 무게를 보강하여 안정성을 높인 옹벽의 구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캔틸레버 옹벽
2. 역T형 옹벽
3. L형 옹벽
4. 중력식 옹벽

55. 다음의 도형과 같은 현장토공에서 절토량은 얼마인가? (단, 각점의 숫자는 절토 깊이를 나타내며, 토량 계산은 구형(矩形) 단면법에 의한다. 사각형 하나의 넓이는 5m2이다.)
1. 11.25m3
2. 17m3
3. 21.25m3
4. 85m3

56. 콘크리트의 특징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보강이 어렵고 철거하기 힘들다.
2. 임의의 크기의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다.
3. 압축강도에 비해 인장강도와 휨강도가 비교적 크다.
4. 유지비가 목재 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렴하다.

57. 흙의 다짐효과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흙을 다지면 공극이 작아지고 투수성이 저하된다.
2. 다짐건조밀도는 전압횟수에 따라 증가하지만 한계에 도달하면 거의 증가가 없다.
3. 입도배합이 좋은 흙에서는 높을 건조밀도를 얻을 수 있다.
4. 최대건조밀도는 모래질 흙일수록 낮고 점토일수록 높다.

58. 강(鋼)과 비교한 알루미늄의 특징에 대한 내용 중 옳지 않은 것은?
1. 강도가 작다.
2. 비중이 작다.
3. 열팽창률이 작다.
4. 전기 전도율이 높다.

59. 포틀랜드시멘트의 화학성분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1. 실리카(Sio2)
2. 산화철(Fe2O3)
3. 알루미나(Al2O3)
4. 석회(CaO)

60. 유기질계 토양개량제로서 부적합한 것은?
1. 토탄
2. 피트모스
3. 바크퇴비
4. 벤토나이트

61. 강도율이 1.98인 조경시설물 생산 사업장에서 한 근로자가 평생 근무한다면 이 근로자는 재해로 인해 며칠의 근로손실일수가 발생하겠는가? (단, 근로자의 평생근무시간은 100,000시간이라 한다.)
1. 198일
2. 216일
3. 254일
4. 300일

62. 다음 중 하천 생태복원 관리와 관련된 설명 중 ( )안에 들어 갈 수 없는 것은?
1. 환삼덩굴
2. 교란
3. 비점오염원
4. 치수안정성

63. 수목의 생장이 왕성할 때 하계전정(하기전정,夏期剪定)을 설명한 것 중 옳지 않은 것은?
1. 밀생된 부분을 솎아낸다.
2. 굵은 가지 1~2개 솎아낸다.
3. 도장지를 잘라 내는 정도로 한다.
4. 목적대로 가벼운 전정을 2~3회 나누어 실시한다.

64. 분제의 물리적인 성질로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고착성(Tenacity)
2. 토분성(Dustibility)
3. 부착성(Adhesiveness)
4. 현수성(Suspensibility)

65. 잔디깎기를 실시하는 목적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잔디의 생육면을 평탄하게 한다.
2. 통풍이 잘 되므로 병해충을 방제한다.
3. 잔디의 분얼이 억제되며 생장이 정지된다.
4. 정기적으로 깎으므로 잡초발생이 억제된다.

66. 토사포장 방법에 대한 설명 중 맞지 않는 것은?
1. 지반위에 자갈, 모래, 점토를 섞은 혼합물(노면자갈)을 30~50㎝ 깔고 다진다.
2. 노면자갈의 최대 굵기가 30~50mm일 때 55~70%의 혼합비율로 한다.
3. 점토질은 10%이하이고, 모래질은 30%이하이면 좋다.
4. 노면자갈의 두께는 노면 총 두께의 1/5이하이다.

67. 수목을 식재한 후 일반적으로 지주목을 설치한다. 다음은 지주목의 필요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수고 생장에 도움을 준다.
2. 도시미관을 위해 필수적이다.
3. 바람에 의한 피해를 줄일 수 있다.
4. 수간의 굵기가 균일하게 생육할 수 있도록 해준다.

68. 다음 중「설치하자」에 의한 사고로 볼 수 없는 것은?
1. 시설의 구조 자체의 결함에 의한 사고
2. 시설 설치의 미비에 의한 사고
3. 시설 배치의 미비에 의한 사고
4. 시설의 노후, 파손에 의한 사고

69. 주민참가에 의하여 행하여 질 수 있는 공원관리활동 내용이 아닌 것은?
1. 청소
2. 기술자문
3. 공원관리에 대한 제안
4. 어린이의 놀이지도

70. 다음 중 이용관리의 방법이 아닌 것은?
1. 이용지도
2. 토양시비관리
3. 안전관리
4. 팸플릿 작성 및 포스터의 이용

71. 방동사니류 잡초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올미
2. 올방개
3. 올챙이고랭이
4. 바람하늘지기

72. 수목에 비료를 주는 방법 중 작업방법이 비교적 신속하고, 비료의 유실량(流失量)이 많다. 특히 토양 내로의 이동속도가 비교적 느린 양분에 적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즉 질소시비의 경우에는 이 방법이 좋으나, 인(P)이나 칼륨(K)에는 좋지 않은 시비방법은?
1. 표토시비법
2. 천공시비법
3. 엽면시비법
4. 수간주사법

73. 일반적으로 시설물별 내용 년수로 옳은 것은?
1. 벤치(플라스틱) : 5년
2. 시계탑 : 10년
3. 담장(로프 울타리) : 20년
4. 테니스 코트(클레이코드) : 10년

74. 아스팔트 포장의 보수 및 시공 공법이 아닌 것은?
1. 패칭공법
2. 표면충전처리공법
3. 표면실링공법
4. 덧씌우기공법

75. 다음 중 잎을 가해하는 식엽성 해충으로 분류되는 것은?
1. 박쥐나방
2. 도토리거위벌레
3. 솔수염하늘소
4. 대벌레

76. 공사 기성고(旣成고) 곡선 중 원활하게 진행하고자 할 땐 어느 곡선이 가장 적절한가?
1. 1
2. 2
3. 3
4. 4

77. 비탈면 보호공의 유지관리 항목 중에서 특히 방책기 중의 굴공, 낙석 또는 토사의 퇴적, 기초보의 풍화 또는 붕괴 들을 주로 점검해야 하는 비탈면 보호공은?
1. 편책공
2. 비탈면돌망태공
3. 낙석방지망공
4. 낙성방지책공

78. 목재시설물의 관리 지침 중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원목은 옹이가 없는 것이 좋다.
2. 썩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방부처리를 한다.
3. 표면 방부처리 후 대패질을 부드럽게 만든다.
4. 수축 및 균열을 방지하기 위해 충분히 건조시킨다.

79. 운영관리 고유의 업무 영역으로 분류하기 어려운 것은?
1. 예산ㆍ재무 제도
2. 조직관리
3. 월동관리
4. 재산관리

80. 수병치료를 위한 수간주사법에 대한 설명이 옳은 것은?
1. 청명한 날의 낮 시간에 실시한다.
2. 수간주사액은 주로 살균제 성분이다.
3. 빗자루병의 치료에는 효과가 없다.
4. 수피 두께 정도까지 바늘을 찌른다.
진행 상황
답안 완료율
0%
미답안 답안완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