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경산업기사

(2019-03-03 기출문제 - 전체보기)
총 80문제 답안 완료: 0문제
1. 20세기 초 미국의 도시 미화 운동(City Beautiful Movement)과 관련이 없는 것은?
1. 미국의 조경가 옴스테드(Frederick Law Olmsted)가 이론적 배경을 만들었다.
2. 도시미술(civic art)을 통해 공공미술품의 도입을 추진하였다.
3. 전체 도시사회를 위한 단위로서 도시설계(civic design)를 추진하였다.
4. 도시개혁(civic reform)과 도시개량(civic improvement)을 추진하였다.

2. 다음 설명의 ( )안에 적합한 인물은?
1. 소굴원주(小堀遠州)
2. 천리휴(千利休)
3. 고전직부(古田織部)
4. 무야소구(武野紹驅)

3. 클로드 몰레가 설계한 생제르맹앙레의 정원에서 최초로 사용한 정원세부 수법은?
1. 하하(Ha-ha)
2. 파르테르(parterre)
3. 토피아리(topiary)
4. 물 풍금(water organ)

4. 김조순의 옥호정도(玉壺亭圖)에서 볼 수 없는 것은?
1. 옥호동천 바위 글씨
2. 별원의 유상곡수
3. 사랑마당의 분재
4. 사랑마당의 포도가(葡萄架)

5. 조선시대의 대표적 별서인 소쇄원(瀟灑園)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계곡에 흘러내리는 임천이 주된 경관자원이다.
2. 앞뜰, 안뜰, 뒤뜰과 같은 명확한 공간구분은 없다.
3. 소쇄원 경치를 읊은 48영시에는 동물도 표현되었다.
4. 명칭은 '구슬과 같은 물소리가 들리는 곳'이란 의미를 갖는다.

6. 다음 조선 왕릉 중 경기도 남양주시에 소재하고 있는 것은?
1. 정릉
2. 장릉
3. 의릉
4. 홍유릉

7. 소(小) 플리니우스가 남긴 유명한 편지 속에 자세히 소개된 정원은?
1. 로우렌티아나장, 토스카나장
2. 메디치장, 카렛지오장
3. 아드리아나장, 카스텔로장
4. 이솔라벨라장, 카프아쥬올로장

8. 중국 청조(淸朝)의 건륭(乾隆) 12년(1747년)에 대분천(大噴泉)을 중심으로 한 프랑스식 정원을 꾸밈으로써 동양에서는 최초의 서양식 정원으로 알려진 곳은?
1. 원명원 이궁
2. 만수산 이궁
3. 열하이궁
4. 이화원

9. 다음 표는 조경계획의 일반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빈칸 A에 가장 알맞은 것은?
1. 경관분석
2. 설계서 작성
3. 이용 후 평가
4. 대안의 작성 및 평가

10. 조경계획 시 기후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다음 중 기후가 영향을 주는 사회적 특성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현존 식생
2. 전통적인 습관
3. 옷을 입는 습관
4. 독특한 음식과 식사

11. 보도의 유효폭은 보행자의 통행량과 주변 토지 이용 상황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보도의 최소 유효폭(A)과 불가피시의 완화기준 적용에 따른 최소 폭(B)의 연결이 맞는 것은? (단, 도로의 구조·시설 기준에 관한 규칙 적용)
1. A : 3.5m, B : 3.0m
2. A : 3.0m, B : 2.5m
3. A : 2.5m, B : 2.0m
4. A : 2.0m, B : 1.5m

12.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에서 정하는 도시공원 중 어린이공원의 표준 규모는?
1. 1000 m2 이상
2. 1500 m2 이상
3. 5000 m2 이상
4. 10000 m2 이상

13. 녹지자연도 등급에 따른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1. 1등급 : 해안, 암석 나출지
2. 2등급 : 과수원, 묘포장
3. 8등급 : 원시림, 2차림
4. 10등급 : 고산지대 초원지구

14. 아파트 단지 계획 중 질서 있는 공간 조형 요소로 가장 부적합한 것은?
1. 연속성
2. 방향성
3. 개별성
4. 통일감

15. 공원 내에 표지판을 설치할 때 고려할 필요가 없는 항목은?
1. 재료의 선택
2. 장소 선정
3. 주변 환경 고려
4. 미기후 고려

16. 색채지각에서 태양광선의 프리즘을 이용한 분광실험을 통해서 나타나는 여러 가지 색의 띠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전자기파
2. 자외선
3. 적외선
4. 스펙트럼

17. 지형의 높고 낮음을 지도 위에 표시하는 것과 같이 기준면을 정하고, 기준면에 평행한 평면을 같은 간격으로 잘라 평 화면상에 투상한 수직투상은?
1. 정투상법
2. 표고 투상법
3. 축측 투상법
4. 사투상법

18. 질적 혹은 양적으로 심하게 다른 요소가 배열 되었을 때 상호의 특질이 한층 강조되어 느껴지는 현상은 어떠한 효과인가?
1. 대비
2. 대칭
3. 평형
4. 조화

19. 1943년 덴마크의 소렌슨(Sorensen) 박사에 의해 시작된 새로운 개념의 공원은?
1. 모험공원
2. 교통공원
3. 장애자공원
4. 특수공원

20. 직선을 긋는데 사용할 수 없는 제도 도구는?
1. 평행자
2. 삼각자
3. T자
4. 운형자

21. 다음 꽃피는 식물 중 잎보다 꽃이 먼저 피는 식물이 아닌 것은?
1. 생강나무
2. 자두나무
3. 박태기나무
4. 철쭉

22. 자연풍경식 식재 중 강한 개성미는 없으나 대신 유연성이 있어 자연·인공과 같은 이질적인 요소를 조화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인 식재법은?
1. 자연풍경식재
2. 집단식재
3. 1본식재
4. 비대칭적 균형식재

23. 대칭형이기는 하나 지나치게 면적이 광대한 프랑스식 정원에서는 보스케(Bosquet)가 존재함으로써 두드러지게 강조되는 것은?
1. 방사축
2. 측축
3. 통경축
4. 직교축

24. 지주세우기의 설치요령 중 틀린 것은?
1. 연계형은 교목 군식지에 적용한다.
2. 단각(單脚)지주는 주간이 서지 못하는 묘목 또는 수고 1.2m 미만의 수목에 적용한다.
3. 매몰형은 경관상 중요하지 않은 곳이나 지주목이 통행에 지장을 주지 않는 곳에 적용한다.
4. 당김줄형은 거목이나 경관적 가치가 특히 요구되는 곳에 적용하고, 주간 결박지점의 높이는 수고의 2/3가 되도록 한다.

25. 다음 중 봄에 꽃이 피지 않는 수목은?
1. 히어리
2. 산수유
3. 진달래
4. 나무수국

26. 다음 특징에 해당하는 수종은?
1. 삼나무
2. 분비나무
3. 일본잎갈나무
4. 메타세퀘이아

27. 다음 중 느릅나무과(Ulmaceae)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팽나무
2. 센달나무
3. 푸조나무
4. 느티나무

28. 원산지는 북아메리카로 차례식재용으로 적합한 수종으로 가지가 짧게 수평으로 퍼지며 잎에 향기가 있고 표면은 녹색, 뒷면은 황록색인 수종은?
1. 서양측백나무(Thuja occidentalis)
2. 편백(Chamaecyparis obtusa)
3. 화백(Chamaecyparis pisifera)
4. 실화백(Chamaecyparis pisifera var. filifera)

29. 중부지방에서 가로수로 사용하기 가장 적합한 수종은?
1. 돈나무
2. 구실잣밤나무
3. 산당화
4. 왕벚나무

30. 아황산가스에 견디는 힘이 가장 약한 수종은?
1. 전나무
2. 회화나무
3. 양버즘나무
4. 물푸레나무

31. 우리나라에 있어서 수평적 삼림분포를 기준으로 난대림, 온대림, 한 대림으로 구분할 때, 난대림에 해당되는 수종은?
1. 자작나무
2. 잎갈나무
3. 감탕나무
4. 신갈나무

32. 굴취 된 수목을 운반할 때 주의사항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수목과 접촉하는 고형부(固形部)에는 완충재를 삽입한다.
2. 대량수송과 비용절감을 위해 가급적 이중적재 등을 통해 이동횟수를 줄인다.
3. 비포장도로로 운반할 때는 뿌리분이 충격을 받지 않도록 완충재로 가마니, 짚 등을 깐다.
4. 운반 중 바람에 의한 증산을 억제하며 강우로 인한 뿌리분의 토양유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덮개를 씌우는 등 조치를 취한다.

33. 식물생유기의 수분환경에 대한 설명과 그에 따른 식물의 연결이 옳은 것은?
1. 부유식물(통발, 부처꽃) : 식물체 전체가 물에 떠있는 식물
2. 습생식물(부들, 갈대) : 얕은 물이나 물가에 생육하는 식물
3. 소택(추수)식물(고마리, 낙우송) : 주로 토양이 축축한 습지에서 생육하는 식물
4. 부엽식물(연꽃, 마름) : 물속을 중심으로 생활하는 식물로 뿌리는 물밑에 고착되어 있고 식물체의 잎은 수면에 떠 있는 식물

34. 지피식물 중 황색계의 꽃을 피우는 식물은?
1. 앵초
2. 복수초
3. 꽃향유
4. 꿀풀

35. 다음 설명에 해당되는 식물은?
1. 흰말채나무
2. 황매화
3. 쥐똥나무
4. 앵도나무

36. 식물조직의 일부분을 떼어 무기염류 배지에서 인공적으로 배양하여 새로운 식물체로 증식시키는 번식방법은?
1. 취목
2. 분구
3. 조직배양
4. 삽목

37. 각 수종에 대한 특징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전나무 열매는 난상타원형이며, 거꾸로 매달린다.
2. 독일가문비 열매는 긴 원주형 갈색이고, 아래로 달린다.
3. 주목은 컵모양의 붉은 종의 안에 종자가 들어 있다.
4. 구상나무의 열매는 원주형이고, 갈색, 검은색, 자주색, 녹색이 있다.

38. 다음 중 강조식재가 되지 않는 것은?
1. 같은 수관형태의 수목들이 식재되어 있다.
2. 단풍나무가 연속적으로 심겨진 가운데 홍단풍이 식재되어 있다.
3. 고운 질감의 식물로 식재되어 있는 가운데 거친 질감의 식물이 있다.
4. 같은 크기의 관목이 식재된 가운데 좀 더 큰 키의 침엽수가 식재되어 있다.

39. 소나무(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수꽃은 새가지 밑부분에 달리며 타원형이다.
2. 수피는 회색이고, 노목의 수피는 흑갈색이며, 세로로 길게 벗겨진다.
3. 가을에 종자를 기건 저장했다가 파종 1개월전에 노천매장한 후 사용한다.
4. 곰솔 대목에 접을 붙이면 쉽게 많은 묘목을 얻을 수 있다.

40. 벽면을 식물로 녹화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는 효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도시경관의 향상
2. 방음의 방진효과
3. 도심 열섬현상 완화
4. 여름철 건물 벽면의 복사열 증진효과

41. 암거 배열방식 중 집수 지거를 향하여 지형의 경사가 완만하고 같은 저도의 습윤상태인 곳에 적합하며 1개의 간선 집수지 또는 집수 지거로 가능한 한 많은 흡수거를 합류하도록 배열하는 방식은?
1. 빗식(gridiron system)
2. 자연식(natural system)
3. 집단식(grouping system)
4. 차단식(intercepting system)

42. 철골부재 간 사이를 트이게 한 홈인 개선부를 뜻하는 용어는?
1. 가우징(gouging)
2. 스패터(spatter)
3. 그루브(groove)
4. 위핑(weeping)

43. 건설시공(콘크리트, 벽돌, 용접 등) 관련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콘크리트 비비기는 미리 정해둔 비비기 시간의 3배 이상 계속하지 않아야 한다.
2. 벽돌쌓기 시에는 붉은 벽돌에 물이 충분히 젖도록 하여 시공하는 것이 좋다.
3. 강우나 강설 시에는 용접작업을 습기가 침투할 수 없는 밀폐된 공간에서 실시한다.
4.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일평균 10℃이상에서 보통 포틀랜드시멘트는 7일간을 습윤 양생기간으로 정한다.

44. 관목류 식재공사 품셈적용에 관한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수목의 수관폭을 기준으로 하여 적용한다.
2. 나무높이가 수관폭 보다 클 때에는 나무높이를 기준으로 한다.
3. 나무높이가 1.5m이상일 때에는 나무높이에 비례하여 할증할 수 있다.
4. 식재품은 나무세우기, 물주기, 지주목세우기, 손질, 뒷정리 등의 공정을 별도 계상한다.

45. 모르타르 배합비(시멘트 : 모래)에 관한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1. 벽돌 및 블록의 쌓기용 배합은 1 : 3 으로 한다.
2. 타일공사의 붙임용 배합은 1 : 2 로 한다.
3. 타일공사의 고름용 배합은 1 : 1 로 한다.
4. 벽돌 및 블록의 줄눈용 배합은 1 : 2 로 한다.

46. 다음 중 지형도의 이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저수량의 결정
2. 노선의 도면상 선정
3. 노선의 거리 측정
4. 하천의 유역 면적 결정

47. 지피 및 초화류 식재 공사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식재 후 지반을 충분히 정지하고 낙엽, 잡초 등을 모아 뿌리 주변에 넣어 식재상을 조성한다.
2. 객토는 사양토의 사용을 원칙으로 하나 지피류, 초화류의 종류와 상태에 따라 부식토, 부엽토, 이탄토 등의 유기질토양을 첨가할 수 있다.
3. 토심은 초장의 높이와 잎, 분얼의 상태에 따라 다르나 표토 최소토심은 0.3~0.4m 내외로 한다.
4. 덩굴성 식물은 식재 후 주요 장소를 대나무 또는 지정재료로 고정한다.

48. 일반 콘크리트의 슬럼프 시험 결과 중 균등한 슬럼프를 나타내는 가장 좋은 상태는?(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49. 플라스틱 재료의 일반적인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내수성(耐水性)과 내약품성이다.
2. 내마모성이 크며, 접착성도 우수하다.
3. 착색이 용이하고, 투명성도 있다.
4. 내후성(耐朽性)이 크며, 전기절연성이 양호하다.

50. 흙(토양)의 기본적인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공기
2.
3. 흙입자
4. 유기물

51. 지상의 측점과 이에 대응하는 평판 위의 점을 같은 연직선이 되는 위치에 있게 하는 작업은?
1. 정준
2. 구심
3. 표정
4. 조정

52. 다음 식생대 호안의 식생매트 관련 설명이 틀린 것은?
1. 식생매트 포설 후 현장여건을 검토하여 두께 0.5m 이내로 복토하여 관수한다.
2. 비탈면을 평평하게 정지한 후, 하천에 어울리는 종자를 이식 및 파종하고 그 위에 매트를 설치한다.
3. 비탈기슭에는 비탈멈춤 및 유수에 의한 세골을 방지하기 위해 돌망태, 사석부설, 흙채움 등으로 조치한다.
4. 매트는 비탈 머리, 기슭에서 땅속으로 길이 0.3~0.5m, 폭 0.3m 이상 묻히도록 하고, 양단을 0.1m 이상 중첩하되, 겹치는 방향은 유수의 흐름과 동일하게 아래쪽으로 향하도록 한다.

53. 공원의 울타리가 외부에 노출된 경우 다음 중 시각적으로 가장 부적당한 것은?
1. 철책
2. 목책
3. 콘크리트블록
4. 산울타리

54. 다음 목재 사용에 대한 장·단점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목재는 팽창수축이 크다.
2. 목재는 열, 음, 전기 등의 전도율이 작다.
3. 목재는 비중에 비해 압축 인장강도가 높다.
4. 목재는 무게에 비해 섬유질 직각방향에 대한 강도가 크다.

55. 다음과 같은 네트워크 공정표에서 한계경로의 공기는?
1. 6일
2. 8일
3. 10일
4. 12일

56. 도장공사에 관한 주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도장 장소의 습도를 높게 유지시킬 것
2. 직사일광을 가능한 한 피할 것
3. 도막의 건조는 매회 충분히 행할 것
4. 도막은 얇게 여러 번 도장할 것

57. 콘크리트 혼화제인 AE제의 사용 목적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시공연도가 증진 효과
2. 응결시간의 조절 효과
3. 단위수량 감수 효과
4. 다량 사용으로 강도 증가 효과

58. 다음 중 조경공사의 품질관리 사이클 순서로 옳은 것은?
1. 계획 → 검토 → 실시 → 조치
2. 계획 → 검토 → 조치 → 실시
3. 계획 → 실시 → 조치 → 검토
4. 계획 → 실시 → 검토 → 조치

59. 적산의 기준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기본벽돌의 크기는 19cm × 9cm × 5.7cm 이다.
2. 1일 실작업시간은 360분(6시간)으로 한다.
3. 경사면의 소운반 거리는 수직높이 1m를 수평거리 6m의 비율로 한다.
4. 1회 지게 운반량은 보통토사 25kg으로 하고, 삽 작업이 가능한 토석재를 기준으로 한다.

60. 다음 중 실내조경 공사용으로 사용되는 식재용토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펄라이트
2. 잡석
3. 피트모스
4. 질석

61. 솔노랑잎벌의 월동 형태로 맞는 것은?
1.
2. 성충
3. 유충
4. 번데기

62. 다음 설명의 ( )에 적합한 수치는?
1. 40
2. 50
3. 60
4. 100

63. 나무좀, 하늘소, 바구미 등은 쇠약목에 유인되므로 벌목한 통나무 등을 이용하여 이들을 구제하는 기계적 방법은?
1. 식이유살법
2. 등화유살법
3. 잠복소유살법
4. 번식처유살법

64. 다음 중 도로 등의 포장과 관련된 관리방법으로 옳은 것은?
1. 흙 포장의 지반 토질이 점토나 이토이 경우 지지력이 약하므로 물을 충분히 주어 다져준다.
2. 차량 통행이 적고 포장면의 균열 정도와 범위가 심각하지 않은 아스팔트 포장은 훼손부분을 4각형의 수직으로 절단한 후 프라임코팅을 한다.
3. 콘크리트 슬래브면이 꺼졌을 때는 모르타르 주입이나 패칭공법으로는 보수가 곤란하므로 두껍게 덧씌우기를 실시한다.
4. 보도블럭 포장의 보수공사에서는 모래층에 대한 충분한 다짐과 수평고르기가 중요하다.

65. 전문적인 관리능력을 가진 전문업체에 위탁하는 도급관리 방식의 대상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금액이 적고 간편한 업무
2. 연속해서 행할 수 없는 업무
3. 관리주체가 보유한 설비로는 불가능한 업무
4. 진척 상황이 명확하지 않고 검사하기가 어려운 업무

66. 다음 중 친환경적 수목 해충 방제방법이 아닌 것은?
1. 미량접촉제에 의한 방제
2. 성페로몬 물질에 의한 방제
3. 유아등 및 포충기를 이용한 방제
4. 솔잎혹파리의 유충낙하기 박새 등 포식조류에 의한 방제

67. 다음 중 건물의 예방보전을 위한 관리 방법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점검
2. 청소
3. 보수
4. 도장

68. 토양의 고결이 잔디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뿌리의 신장을 저해한다.
2. 지하부 산소공급이 떨어진다.
3. 토양 고결은 잔디 생육에 악 영향을 미친다.
4. 투수율과 보수율이 높아져 생육이 좋아진다.

69. 다음 중 1년을 1사이클로 하는 작업은?
1. 청소
2. 순회점검
3. 전면적 도장
4. 식물유지관리

70. 수목 생장에 영향을 끼치는 저해 요인들 중 상대적 비율이 가장 높은 것은?
1. 병해
2. 충해
3. 불 피해
4. 기상 피해

71. 관리 하자에 의한 사고 내용이 아닌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위험물 방치에 따른 사고
2. 시설의 노후 및 파손에 의한 사고
3. 시설물의 배치 잘못에 의한 사고
4. 안전대책 미비로 인한 사고

72. 우리나라 수경시설물의 하자처리 발생률이 1년 중 가장 높은 기간은?
1. 1~2월
2. 3~4월
3. 7~8월
4. 10~11월

73. 수간 주사(trunk injection)와 관련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20~30°로 비스듬히 세워서 구멍을 뚫는다.
2. 시기는 수액이 왕성하게 이동하는 4~9월이 좋다.
3. 솔잎혹파리를 방제하기 위하여 침투성이 좋은 포스파미돈 액제를 우화시기에 주사한다.
4. 줄기의 형성층 밖 사부에 영양제를 공급한다.

74. 대기오염물질로 볼 수 없는 것은?
1. NOx
2. HF
3. SiO2
4. SOx

75. 평균 근로자 수가 50명인 조합놀이대 생산 공장에서 지난 한 해 동안 3명의 재해자가 발생하였다. 이 공장의 강도율이 1.5이었다면 총 근로손실 일 수는? (단, 근로자는 1일 8시간씩 연간 300일 근무)
1. 180일
2. 190일
3. 208일
4. 219일

76. 황(S) 성분이 들어 있는 비료는?
1. 과린산석회
2. 중과린산석회
3. 인산암모늄
4. 용성인비

77. 시비의 효과를 좌우하는 것으로서 식물자체의 흡수율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비료 시용량
2. 식물의 종류
3. 토질 여건
4. 수질 여건

78. 살포한 약제가 작물에 부착된 후 씻겨 내려가지 않고 표면에 붙어 있는 성질을 가장 잘 나타낸 것은?
1. 고착성(tenacity)
2. 현수성(suspensibility)
3. 비산성(floatability)
4. 안정성(stability)

79. 다음 ( )안에 알맞은 것은?
1. ㉠ 활산성, ㉡ 치환산성
2. ㉠ 잠산성, ㉡ 활산성
3. ㉠ 가수산성, ㉡ 잠산성
4. ㉠ 활산성, ㉡ 가수산성

80. 우리나라의 농약의 독성 구분 기준이 아닌 것은?
1. 고독성
2. 무독성
3. 저독성
4. 보통독성
진행 상황
답안 완료율
0%
미답안 답안완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