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경산업기사

(2020-06-06 기출문제 - 전체보기)
총 80문제 답안 완료: 0문제
1. 중국 정원에서 포지(鋪地)의 수법은 어느 때부터 전해져 내려오는가?
1. 진나라
2. 송나라
3. 당나라
4. 한나라

2. 경주 황룡사를 중심으로 방위와 산의 연결이 틀린 것은?
1. 동쪽-명활산
2. 서쪽-선도산
3. 남쪽-황룡산
4. 북쪽-소금강산

3. 옥녀산발형(玉女散發型)의 풍수 형국을 보이는 옵성은?
1. 정의읍성
2. 해미읍성
3. 고창읍성
4. 낙안읍성

4. 남송(南宋)시대 30여개소 명원(名闧)을 소개한 정원서는?
1. 원야
2. 낙양명원기
3. 오흥원림기
4. 장물지

5. 페르시아의 회교식 정원에서 도입되는 정원의 핵심시설이 아닌 것은?
1. 커넬(Canal)
2. 토피어리
3. 분천(噴泉)
4. 저수지

6. 무굴인도의 샤-자한 시대에 조성된 작품은?
1. 니샤트-바그(Nishat Bagh)
2. 샤리마르-바그(Shalimar Bagh)
3. 아차발-바그(Achabal Bagh)
4. 체하르-바그(Tshehar Bagh)

7. 문헌에 나타난 고려시대 기홍수의 원림(園林)을 설명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이규보의 문집인 “동국이상국집”에 전한다.
2. 곡지를 만들고 꽃을 심어 선선정원으로 조성했다.
3. 버드나무, 소나무, 자두나무, 모란 등의 목본 식물과 창포를 식재했다.
4. 퇴식재 팔영의 제6영인 연의지(連漪地)는 장방지(長方地)이다.

8. 일본 평성궁 동원의 곡수유구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바닥에 목상을 묻고 계정 수초를 심어 꽃을 감상했다.
2. 조영 시기는 나라시대 중기로 추정된다.
3. 자연석에 홈을 파서 유배거로 사용하였다.
4. 지중에는 경사가 있는 암도(岩島)를 배치한다.

9.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계획을 수립할 때에 환경 보전계획과의 부합 여부 확인 및 대안의 설정ㆍ분석 등을 통하여 환경적 측면에서 해당 계획의 적정성 및 입지의 타당성 등을 검토하여 국토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하는 것은?
1. 환경영향평가
2. 토지적성평가
3. 전략환경영향평가
4. 소규모환경영향평가

10. 공원관리청이 아닌 자의 공원사업 시행 및 공원 시설의 관리 중 ()에 해당되는 것은?
1. 2분의 1
2. 3분의 1
3. 3분의 2
4. 4분의 3

11. 조경계획의 접근방법 중 물리적 자원 혹은 자연자원의 레크레이션의 유형과 양을 결정하는 접근방법은?
1. 경제 접근법(economic approach)
2. 자원 접근법(resource approach)
3. 활동 접근법(activity approach)
4. 행태 접근법(behavioral approach)

12. 그리스인들이 일상 생활을 영위하는 도로와 생활 공간 등을 계획할 때, 효용과 기능의 측면에서 추구하였던 사항이 아닌 것은?
1. 지형조건에 맞게
2. 기능에 충실하게
3. 즐겁고 편안하게
4. 호화롭게

13. 다음 ()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식재계획
2. 토지이용계획
3. 교통동선계획
4. 레크레이션계획

14. 종래의 스타일과는 달리 녹음이 많은 우수한 환경위에 인구가 모이고 산업이 성립되어 형성된 도시는?
1. 메가로폴리스형 도시
2. 메트로폴리스형 도시
3. 에페로폴리스형 도시
4. 리비에라형 도시

15. 그림과 같이 화살표 방향이 정면일 경우 우축 면도로 가장 적합한 투상도는?

16. 시각 디자인에 관련되는 착시(錯視)에 대한 다음의 설명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우리 눈은 예각은 크게, 둔각은 작게 보는 경향이 있다.
2. 동일한 도형을 상하로 두면 위쪽이 아래쪽보다 커 보인다.
3. 피로하거나 시신경에 이상이 있을 때 눈의 착시 현상이 생긴다.
4. 눈의 착각 현상을 역이용하여 착각교정을 함으로써 시각적으로 훌륭한 구조물을 만들 수 있다.

17. 혼합되는 각각의 색 에너지(energy)가 합쳐져서 더 밝은 색을 나타내는 혼합은?
1. 가산혼합
2. 감산혼합
3. 중간혼합
4. 색료혼합

18. 공장조경 계획 시 공장 부지나 건물에 다음 시설의 설치 목적은?
1. 환경개선
2. 환경미화
3. 환경보호
4. 환경보존

19. 다음 중 조경설계기준 상의 휴게시설 설계와 관련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휴게시설은 각 시설별로 본래의 설치목적에 부합되도록 설계하며, 복합적인 기능을 갖는 경우 본래의 기능을 먼저 충족시키도록 한다.
2. 시설의 형태는 표준화된 형태 또는 조형적인 형태로 할 수 있으며, 조형적인 형태로 설계 할 경우 이 설계기준을 적용하지 아니할 수 있다.
3. 목재의 경우 보의 단면은 폭과 높이의 비를 1/3~1/5로 하고, 기둥은 좌굴현상을 고려하여 좌굴계수(재료의 허용압축응력×단면적÷압축력)는 4를 적용하며, 세장비(좌굴장/최소단면 2차 반경)는 250 이하를 적용한다.
4. 휴게시설은 연속ㆍ시설간의 조합에 의해 미적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며, 통합 이미지를 연출하기 위하여 CI(Cooperation Identity)를 적용할 수 있다.

20. 가시도(可視度)가 가장 높은 배색(配色)은?
1. 백색 바탕에 검정색 형상
2. 황색 바탕에 녹색 형상
3. 황색 바탕에 청색 형상
4. 검정색 바탕에 황색 형상

21. 여름철 기식화단(assorted flower bed)에 적당한 초화류를 키가 큰 식물에서 작은 식물순으로 나열된 것은?
1. 채송화→해바라기→튤립
2. 칸나→다알리아→글라디올러스
3. 나팔꽃→페튜니아→물망초
4. 백일홍→샐비어(조생종)→페튜니아

22. 봄철 수목의 화아분화를 지배하는 가장 중요한 체내성분은 무엇인가?
1. 질소화합물과 유기산의 비율
2. 지질과 탄수화물의 비율
3. 질소화합물과 탄수화물의 비율
4. 유기산과 지질의 비율

23. 생태계의 공생과 관련된 설명이 틀린 것은?
1. 중립:두 종간에 어떠한 영향을 주지도 받지도 않는다.
2. 종내경쟁:서로 다른 두 생물종이 서로에게 피해를 준다.
3. 상리공생:서로 또는 모두에게 유리하거나 도움이 된다.
4. 편리공생:한쪽은 분리하고 다른 쪽은 이해관계가 없다.

24. 한국잔디의 일반적인 생육 특징이 틀린 것은?
1. 최적의 pH는 5.5~6.5정도이다.
2. 난지형 잔디로 여름철에 잘 자란다.
3. 불환전 포복경이지만 포복력이 강한 포복경을 지표면으로 강하게 뻗는다.
4. 호광성 잔디로 양지에서는 잘 생육되나 그늘에서는 생육이 매우 느린 단점이 있다.

25. 다음 중 상록성인 식물은?
1. 모과나무(chaenmeles sinensis)
2. 채진목(Amelanchier asiatica)
3. 산사나무(Crataegus pinnatifida)
4. 비파나무(Eriobotrya japonica)

26. 식물의 식재 및 사후관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구덩이의 크기는 분크기의 1.5배 정도로 파고 밑바닥에는 부엽토 등을 적당량 섞고 넣어준다.
2. 수목식재는 가능한 본래 식재되었던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원래 묻혔던 깊이보다 조금 높게 식재한다.
3. 이식하는 나무의 뿌리가 많이 잘렸을 경우에는 지상부의 가지와 잎은 가능한 한 떨어지지 않도록 주의한다.
4. 뿌리의 발생이 좋지 못한 나무들이나 노거수 등은 뿌리돌림을 할 경우 활착이 어려우므로 분을 떠서 이식하는 것이 좋다.

27. 다음 보기의 ‘이것’에 해당하는 것은?
1. 변종
2. 아종
3. 지역종
4. 단형종

28. 식재계획의 배식원리 중 자유식재에 해당하는 것은?
1. 비대칭적 균형식재, 사실적 식재가 기본형이다.
2. 식재의 기본 양식은 교호식재, 집단식재, 열식 등이다.
3. 사례로는 아메바형, 절선형, 번개형 식재가 있다.
4. 자연풍경과 유사한 경관을 재현하는 식재 방법이다.

29. 어떤 수목을 이식하고자 다음 그림과 같이 분을 뜰 때 ㉠, ㉡, ㉢, ㉣에 맞는 항은 어떤 것인가? (단, 일반적 수종으로 보통분일 경우)
1. ㉠: 4D, ㉡:D, ㉢:2D, ㉣:2D
2. ㉠: 5D, ㉡:2D, ㉢:2D, ㉣:3D
3. ㉠: 4D, ㉡:2D, ㉢:3D, ㉣:2D
4. ㉠: 6D, ㉡:3D, ㉢:3D, ㉣:4D

30. 다음 중 비비추(Hosta Iongipes)의 특성으로 틀린 것은?
1. 붓꽃과이다.
2. 잎은 근생하며 두껍다.
3. 개화기는 7~8월에 연보라색 꽃이 핀다.
4. 열매는 삭과로 긴 타원형이며, 9월에 결실한다.

31. 연속된 형태를 이룬 식물재료들 가운데 갑작스러운 변화를 주어 관찰자의 시선을 집중 시키는 식재 기법은?
1. 강조
2. 균형
3. 연속
4. 통일

32. 보통명(common name)은 습성, 특징, 산지, 용도, 전설, 왜래어 등에서 유래되어 비롯된다. 다음 중 수목명이 나무의 특징을 반영한 것이 아닌 것은?
1. 생강나무
2. 주목
3. 물푸레나무
4. 너도밤나무

33. 다음 중 열매의 형태가 시과(samara:翅果)에 해당되는 수종은?
1. 참느릅나무(Ulmus parvifolia)
2. 윤노리나무(Pourthiaea villosa)
3. 층층나무(Cornms controversa)
4. 산벚나무(Prunus sargentii)

34. 임해매립지에서 바닷물이 튀어 오르는 곳에 식재하기 알맞은 지피식물로 구성된 것은?
1. 눈향나무, 다정큼나무
2. 섬쥐똥나무, 유카
3. 버뮤다그라스, 잔디
4. 사철나무, 유엽도

35. 다음 중 잎의 질감이 상대적으로 고운 수종은?
1. 자귀나무(Albizia julibrissin)
2. 오동나무(Paulownia coreana)
3. 벽오동(Firmiana simplex)
4. 일본목련(Magnolia obovata)

36. 군락(群落)식재를 실시할 때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은?
1. 현존 모델 식생이 자연식생인지 대상식생인지를 파악한다.
2. 모암이 모슨 토양인지 표층토의 상태를 파악한다.
3. 기후에 따라 미기후, 소기후, 증기후, 대기후로 나누어 파악한다.
4. 인간에 의한 벌목, 풀베기, 경작 등의 상태를 파악한다.

37. 다음 보기의 식물 분류에 해당되는 것은?
1. 부유식물
2. 정수식물
3. 침수식물
4. 부엽식물

38. 다음 중 바람에 대한 저항성인 내풍력이 약한 수종은?
1. 가시나무(Quercus myrsinaefolia)
2. 느티나무(Zelkova serrate)
3. 아까시나무(Robinia pseudoacacia)
4. 졸참나무(Quercus serrata)

39. 다음 중 능수버들, 은사시나무, 이태리포푸라의 공통적인 특징은?
1. 암수딴그로이다.
2. 충매화 수종이다.
3. 종모가 날린다.
4. 우리나라 자생종이다.

40. 꽃이 무성화로만 이루어진 수종은?
1. 수국(Hydrangea macrophylla)
2. 돈나무(Pittosporum tobira)
3. 나무수국(Hydrangea paniculata)
4. 백당나무(Viburnum opulus var, calvescens)

41. 경사도(gradient)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25%의 경사는 1:4이다.
2. 100%의 경사도는 45°의 각을 갖는다.
3. 1:2의 경사는 수평거리 1m에 수직거리 2m이다.
4. 보통 토질에서 성토(盛土)의 경사는 1:1.5로 한다.

42. 벽에 침투하는 빗물에 의해서 모르타르 중의 석회분이 공기 중의 탄산가스와 결합하여 벽돌이나 조직 벽면에 흰가루가 돋는 현상은?
1. 백화현상
2. 레이턴스
3. 히빙현상
4. 수화열

43. 조경시설의 내구성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재료가 산, 알칼리, 염류, 기름 등의 작용에 저항하는 성질을 내구성이라고 한다.
2. 비와 눈, 추위와 더위, 햇빛은 노후화의 원인이 된다.
3. 구조물의 내구성은 시간, 기능, 그리고 비용이 고려된 성능이다.
4. 조경시설물은 외부공간에 노출되므로 상대적으로 내구성능이 조기에 낮아질 우려가 있다.

44. 다음 건설 기계류 중 주작업 용도가 “운반용”인 기계로만 짝지어진 것은?
1. 리퍼-램머
2. 로더-백호우
3. 진동콤팩터-탬핑롤러
4. 텀프트럭-벨트컨베이어

45. 그림과 같은 수준측량 결과에 따른 B점의 지반고는? (단, A점의 지반고는 30m이다.)
1. 28.90m
2. 29.60m
3. 33.74m
4. 37.14m

46. 다음 중 공사현장에 항시 비치하고 있어야 하는 ‘해당공사에 관한 서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천후표
2. 품셈표
3. 계약문서
4. 공사예정공정표

47. 실시설계 도면을 기준으로 1.0B 붉은 벽돌쌓기에 필요한 정미수량이 300장이라 한다. 이에 운반, 저장, 가공, 시공과정에서 발생하는 순실량을 예측하여 부가한다면 총 소요량은 몇 잘인가?
1. 330장
2. 315장
3. 309장
4. 303장

48. 다음의 설명에 적합한 공사계약 방식은?
1. 지명경쟁입찰
2. 턴키입찰
3. 수의계약
4. 대안입찰

49. 어린이놀이터 등에 사용되는 금속의 부식을 최소화하기 위한 유의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부분적으로 녹이 나면 즉시 제거할 것
2. 가능한 한 이종(異種) 금속을 인접 또는 접촉시켜 사용할 것
3. 균질한 것을 선택하고 사용 시 큰 변형을 주지 않도록 할 것
4. 큰 변형을 준 것은 가능한 한 풀림(annealing)하여 사용할 것

50. 옥외계단 설치 시 주의할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계단의 재료 선택은 마모되지 않는 것이 유리하나 주의의 경관을 고려해야 한다.
2. 화강석 계단은 고저차가 없고, 안쪽으로 경사지게 설치해야 한다.
3. 단 높이(R)와 너비(T)의 경우에는 2R+T=60~65cm를 유지하되 전 구간에 걸쳐 동일하여야 한다.
4. 계단이 길 경우에는 반드시 참을 두어야 하며 참의 폭은 계단의 높이에 따라 설계하도록 한다.

51. 다음 함과 모멘트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모멘트의 단위는 kgㆍm, tㆍm이며, 기호는 M이다.
2. 모멘트의 크기는 힘의 크기(P)에 힘까지의 거리(a)를 곱한 것을 말한다.
3. 모멘트의 부호는 모멘트의 회전방향이 시계방향일 때는 (-), 반시계 방향일 때는 (+)로 한다.ㅣ
4. 크기가 작고 작용선이 평행하여, 방향이 반대인 한 쌍의 힘을 우력(偶力)이라 한다.

52. 축척 1:50000 지형도에서 3% 기울기의 노선을 선정하려면 이 노선상의 주곡선 간도상 거리는? (단, 주곡선 간격은 20m임)
1. 7.5mm
2. 10.6mm
3. 13.3mm
4. 20.4mm

53. 내열성이 크고 발수성을 나타내어 방수제로 쓰이며, 저온에서도 탄성이 있어 gasket, packing의 원료로 쓰이는 합성수지는?
1. 페놀수지
2. 실리콘수지
3. 에폭시수지
4. 폴리에스테르수지

54. 석재의 성질 중 장점에 해당하는 것은?
1. 불연성이다.
2. 일반적으로 가공이 곤란하다.
3. 화열에 닿으면 강도가 없어진다.
4. 인장강도가 압축강도의 1/10~1/20 정도이다.

55. 골재의 함수상태 중 기건상태를 나타내는 것은?
1. A
2. B
3. C
4. D

56. 공원에서 클레이코트 테니스장을 만들 때 표면에 소금을 뿌렸다. 그 이유는 무엇인가?
1. 표면의 배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2. 흙이 뭉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3. 테니스장의 답압에 견디는 강도를 높이기 위해
4. 테니스장의 기층과 표면층과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57. 콘크리트 공사에서 사용되는 혼화재료 중 혼화제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방청제
2. 감수제
3. 플라이애시
4. AE제(공기연행제)

58. 공사간격의 구성 요소 중 “직접공사비”를 계산하기 위해 필요한 세부항목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일반관리비
2. 재료비
3. 경비
4. 외주비

59. 다음 중 한중콘크리트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특별한 보온조치는 취하지 않아도 된다.
2. 한중콘크리트에는 공기연행 콘크리트를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3. 하루의 평균기온이 4℃ 이하가 예상되는 조건일 때 한중콘크리트를 시공하여야 한다.
4. 양생종료 후 따뜻해 질 때까지 받는 동결 융해 작용에 대하여 충분한 저항성을 가지게 한다.

60. 다음 중 체적계산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단면이 불규칙할 때에는 플래니미터를 이용한다.
2. 비교적 규칙적인 때에는 수치계산법을 활용한다.
3. 계산 방법에는 단면법, 점고법, 등고선법 등이 있다.
4. 단면이 규칙적인 때에는 도해법을 활용한다.

61. 토양 중 유기물 함량이 3.40%, 질소 함량이 0.19%일 때 탄질비는 약 얼마인가? (단, 유기물의 탄소함량은 58%이며, 최종 계산결과 소수점 둘째자리에서 반올림)
1. 12.0
2. 10.9
3. 10.4
4. 9.8

62. 다음 중 직영방식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긴급한 대응이 가능하다.
2. 관리책임이나 책임의 소재가 명확하다.
3. 이용자에게 양질의 서비스가 가능하다.
4. 규모가 큰 시설 등의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63. 포장공사에서 토사포장의 보수 및 시공방법 중 개량방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지반치환공법
2. 노면치환공법
3. 표면처리공법
4. 배수처리공법

64. 엽면시비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이식 후나 뿌리가 장해를 받았을 경우에 실시한다.
2. 비료의 농도는 가급적 진하게 하고 한 번에 충분한 양이 효과적이다.
3. 약액이 고루 부착되도록 점착제를 사용함이 효과적이다.
4. 살포 시기는 한낮을 피해 맑은 날 아침이나 저녁때가 적합하다.

65. 세균이 식물에 침입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각피 침입
2. 피목 침입
3. 밀선 침입
4. 상처 침입

66. 천막벌레나방(텐트나방)의 설명이 틀린 것은?
1. 벚나무, 장미류, 버드나무 등 거주범위가 넓다.
2. 애벌레는 이른 봄 실을 토해 만든 거미줄 집 안에서 군집생활을 하고 잎을 갉아먹는다.
3. 1년에 2회 발생하며, 노숙유충으로 땅속에서 고치 상태로 겨울을 난다.
4. 유충 발생 초(4월 하순)에 클로르푸루아주론 유제(5%) 2000배액을 수관 살포한다.

67. 시비와 관련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수경수목의 시비는 수종과 크기를 고려하여 비료의 종류와 시비량 및 시비횟수를 결정한다.
2. 잔디 초종을 고려하여 연간 시비량을 결정하며, 비료의 종류는 N:P2OS:K2O이 3:1:2 또는 2:1:1의 비율이 되도록 한다.
3. 화단 초화류는 집약적 관리가 요구되므로 가능한 한 무기질비료를 추비로서 연간 2~3회, 화학비료를 기비로서 연간 1회 시비한다.
4. 일반 조경수목류의 기비는 유기질 비료를 늦가을 낙엽 후 땅이 얼기 전 또는 2월 하준~3월 하준의 잎이 피기 전에 연 1회를 기준으로 시비한다.

68. 질병 가능성(disease potential)이 가장 높은 잔디의 종류는?
1. Creeping bentgrass
2. Fine fescue
3. Kentucky bluegrass
4. Tall fescue

69. 동력예초기로 제초 작업을 하는 경우 개인보호구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보안경
2. 안전화
3. 방독마스크
4. 방진 장갑

70. 콘크리트 소재의 시설물 균열부에 대한 보수방법으로 부적합한 것은?
1. 표면실링(sealing)공법
2. V자형 절단 공법
3. 고무(gm)압식 공법
4. 그라우팅공법

71. 토양에서 일어나는 질소순환작용 중 가스형태로의 질소 손실과 관련 있는 것은?
1. 탈질작용
2. 부동화작용
3. 질산화작용
4. 암모니아작용

72. 다음 중 인공적 수형을 만들기 위하여 정지, 전정하는 수종으로 부적합한 것은?
1. 회양목, 사철나무
2. 무공화, 쥐똥나무
3. 벚나무, 단풍나무
4. 향나무, 측백나무

73. 가로수의 수목보호 홀 덮개의 기능이 아닌 것은?
1. 병해충의 방지
2. 뿌리보호
3. 토양 답압 방지
4. 도시미관의 증진

74. 노거 수목의 관리요령으로 틀린 것은?
1. 유합조직(Callus tissue)의 형성과 보호를 위해 바세린을 발라 놓는다.
2. 절토지역에 있어서의 뿌리보호 대책으로는 메담쌓기(Dry well)가 있다.
3. 부패된 줄기의 공동(Cavity)처리는 충전 재료의 선택이 중요하다.
4. 공동충전 재료는 에폭시수지 등의 합성수지가 널리 사용된다.

75. 다음 설명에 해당되는 시민참여의 형태는?
1. 시민차지(citizen control)
2. 파트너십(partnership)
3. 상담자문(consultation)
4. 조작(manipulation)

76. 조경공간에서 안전관리 상 관리하자에 의한 사고는?
1. 유아가 보호책을 넘어간 사고
2. 시설물 노후 파손에 의한 사고
3. 이용자 자신의 부주의에 의한 사고
4. 시설물 구조상 접속부에 손이 낀 사고

77. 설치비용은 비싸나 유지관리비가 저렴하며, 열효율이 높고, 투시성이 뛰어나 산악 도로나 터널 등에 가장 적합한 조명 램프는?
1. 나트륨 램프
2. 크세논 램프
3. 수은 램프
4. 형광 램프

78. 연평균 조경 작업자수가 10,000명인 어느 기업의 1년 동안의 작업 관련 재해 건수는 6건, 재해자 수는 12명, 총 근로손실일수는 30일로 나타났다. 이 기업의 지난 1년 동안의 연천인율은? (단, 하루 작업시간은 8시간, 한 달은 25일로 가정한다.)
1. 0.25
2. 0.50
3. 0.60
4. 1.20

79. 도시공원에서 이용자의 요망ㆍ에로사항을 시설요망, 관리, 공원녹지 주변 등으로 구분할 때 “관리에 관한 사항”에 해당하는 것은?
1. 관람석 설치
2. 수목 명찰
3. 자동 판매기
4. 연못 청소

80. 농약의 독성정도를 구분할 때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급독성
2. 고독성
3. 맹독성
4. 저독성
진행 상황
답안 완료율
0%
미답안 답안완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