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관리산업기사

(2003-05-25 기출문제 - 전체보기)
총 80문제 답안 완료: 0문제
1. 올잣트(Orsat) 분석기 사용시 흡수순서로 옳은 것은?
1. CO2 → O2 → CO
2. CO2 → CO → O2
3. O2 → CO → CO2
4. CO → CO2 → O2

2. 탄화도를 기준으로 석탄을 분류할 때 탄화도 증가에 따라 석탄의 성질은 일반적으로 어떻게 변화하는가?
1. 휘발성이 증가한다.
2. 고정탄소량이 감소한다.
3. 발열량이 증가한다.
4. 착화 온도가 낮아진다.

3. 압력 100kg/cm2의 포화증기 1kg을 같은 압력 450℃의 과열 증기로 변화시키는데 필요한 열량(kcal)은? (단, 압력 100kg/cm2의 포화증기의 엔탈피는 652kcal/kg, 압력 100kg/cm2의 450℃의 과열증기의 엔탈피는 779kcal/kg이다.)
1. 127
2. 756
3. 1055
4. 1431

4. 연료의 연소에 대한 3대 반응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산화반응
2. 환원반응
3. 이온화반응
4. 열분해반응

5. 매연발생 원인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부적절한 것은?
1. 연료에 대한 공기량이 불충분한 경우 연료속에 탄화수소가 불완전연소하여 매연을 발생한다.
2. 연소실 체적 및 구조가 불완전하기 때문에 가연가스와 공기와 혼합이 안되었을 때 매연을 발생한다.
3. 사용연료가 연소장치에 대해서 부적당하여 연소가 완전히 행하여지지 않을 때 매연을 발생한다.
4. 일반적으로 과잉공기가 과대할 때는 특히 매연의 발생이 많다.

6. 중유 1kg의 이론공기량을 12m3, 공기비 1.3으로 하고, 시간당 800kg의 중유를 연소시킬 경우, 이것에 이용하는 송풍기의 분당 송풍량(m3/분)으로 맞는 것은?
1. 480
2. 320
3. 258
4. 208

7. 다음 중 연소용 송풍기와 배기가스 흡입 통풍기를 함께 사용하는 통풍 방식은?
1. 자연통풍
2. 평형통풍
3. 압입통풍
4. 흡출통풍

8. 중유를 버너로 연소시킬 때 다음 중 연소상태에 가장 적게 영향을 미치는 성질은?
1. 황분
2. 점도
3. 인화점
4. 유동점

9. 압력손실 200mmAq인 사이클론을 써서 시간당 1000m3의 가스를 제진할 때에 소요되는 동력(kW)를 구하면? (단, P = 0.272×10-5×ΔP×Q)
1. 0.544
2. 0.704
3. 0.922
4. 1.102

10. 기체연료의 성분을 가연성분과 불연성분으로 구분할 때 다음 중 불연성분이 아닌 것은?
1. 탄산가스
2. 일산화탄소
3. 질소
4. 수분

11. 프로판-공기혼합기의 최고 연소속도(층류화염 전파속도)는 몇 ㎝/s 정도인가?
1. 20
2. 40
3. 90
4. 280

12. 다음 연소반응식 중에서 가장 발열량이 큰 것은? (단, 단위연료의 kg-mol당 기준)
1. C + 1/2 O2 = CO (발생노가스 반응)
2. CO + 1/2 O2 = CO2 (일산화탄소의 완전연소)
3. C + O2 = CO2 (탄소의 완전연소)
4. S + O2 = SO2 (황의 완전연소)

13. 다음 연료중 연료비가 가장 큰 것은?
1. 토탄
2. 갈탄
3. 역청탄(유연탄)
4. 무연탄

14. 액화석유가스(LPG)가 증발할 때에 흡수한 열은?
1. 현열
2. 잠열
3. 융해열
4. 화학반응열

15. 다음 연료중 고위발열량이 가장 큰 것은?
1. 중유
2. 프로판
3. 석탄
4. 코크스

16. 공기비란 다음 중 어느 것인가?
1. 실제공기량과 이론공기량의 차이
2. 실제공기량에서 이론공기량을 뺀 것을 이론공기량으로 나눈 것
3. 이론공기량에 대한 실제공기량의 비
4. 실제공기량에 대한 이론공기량의 비

17. 다음 중 액체 연료의 점도와 가장 관련이 없는 것은?
1. 캐논-펜스케
2. 몰리에(Mollier)
3. 스토크스(Stokes)
4. 포아스(Poise)

18. 아래 조건의 성분을 가진 중유가 있다. 연소효율이 95%라 한다면 중유 1kg당의 저위발열량은 얼마인가? (단, C : 86%, H : 12%, O : 0.4%, S : 1.2%, ash :0.4%)
1. 9987kcal/kg
2. 9916kcal/kg
3. 9762kcal/kg
4. 9340kcal/kg

19. 액체 연료를 옥외탱크에 저장하는데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주위에 공지를 마련해야 한다.
2. 탱크판 두께는 3.2mm 이상이어야 한다.
3. 사용압력의 1.5배 압력에서 10분이상 견디어야 한다.
4. 내부의 증발가스가 밖으로 나오는 것을 막아야 한다.

20. 중류를 A, B, C 중유로 나눌 때 이것을 분류하는 기준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
1. 점도에 따라 분류
2. 비중에 따라 분류
3. 발열량에 따라 분류
4. 황의 함유율에 따라 분류

21. 다음 중 이상기체의 등온과정에 대하여 성립하는 것은? (단, W는 일, Q는 열, U는 내부에너지를 의미한다.)
1. W = O
2. Q = O
3. Q ≠ W
4. △U = O

22. 계내에 어떤 이상기체(기체상수 : 0.35[kg/kgㆍK], 정압비열 : 0.75[KJ/kgㆍK])가 초기상태(75kpa, 50℃)에서 5kg이 들어 있다. 이 기체를 일정 압력하에서 부피가 2배가 될때까지 팽창시킨 다음, 일정 부피에서 압력이 2배가 될때까지 가열하였다면 전 과정에서 이 기체에 전달된 전열량(KJ)은 약 얼마인가?
1. 565
2. 1210
3. 1290
4. 2500

23. 다음 중 가역사이클이 아닌 것은?
1. 카르노사이클
2. 스터링사이클
3. 에릭슨사이클
4. 브레이튼사이클

24. 건도가 x인 증기의 엔탈피(hx)에 대한 표현식으로 옳은 것은? (단, 포화수 및 건포화수증기에 대한 엔탈피와 비체적을 각각 h', h"와 v', v"라 한다.)
1. hx = h'+ x(h' - h")
2. hx = h'+ x(h" - h')
3. hx = h"+ x(h' - h")
4. hx = h"+ x(h" - h')

25. 다음 중 열역학 제2법칙과 관계없는 것은?
1. 열은 그 자체만으로 저온체에서 고온체로 흐르지 않는다.
2. 제2종의 영구기관은 만들 수 없다.
3. 자발적인 변화는 비가역적이다.
4. 모든 일반적인 화학적, 물리적 변화에서 에너지는 창조되거나 소멸되지 않는다.

26. 압력 4.4[kg/cm2], 체적 1.14m3인 공기가 단열 팽창하여 0.462[kg/cm2]로 되었다. 이 때 체적이 5배라면 외부에 대한 절대 일(absolute work ; [kgㆍm])은 얼마인가? (단, 공기의 비열비(specific heat ratio)는 1.4이다.)
1. 191,235
2. 65,029
3. 59,565
4. 51,114

27. 15℃의 물 1㎏을 100℃의 포화수로 변화시킬 때 엔트로피 변화량은 몇 [㎉/㎏]인가?
1. 0.259
2. 0.763
3. 1.324
4. 1.627

28. 기체에 대한 설명중 옳지 않은 것은?
1. 분자량이 클수록 비중이 크다.
2. 분자량이 클수록 비열이 크다.
3. 분자량이 클수록 일정질량의 기체가 등온, 등압에서 차지하는 체적이 작다.
4. 분자량이 클수록 기체상수가 작다.

29. 랭킨 싸이클에 있어서 보일러 압력과 온도가 일정할 때 복수기의 압력이 높을수록 어떤 변화가 일어나는가?
1. 터빈출력이 증가한다.
2. 열효율이 감소한다.
3. 펌프 소요일이 증가한다.
4. 터빈 출구의 증기건도가 낮아진다.

30. 오토사이클의 이론 열효율(η)을 옳게 나타낸 식은? (단, 압축비와 비열비를 각각 ε, K라 한다.)
1. η = 1 - 1/ε
2. η = 1 - (1/ε)K
3. η = 1 - (1/ε)K-1
4. η = 1 - (1/ε)K+1

31. 포화액과 건포화증기의 엔탈피 차이는?
1. 현열
2. 내부에너지
3. 엔탈피
4. 잠열

32. 1[Newton]의 힘은?
1. 1g ×1m/s2
2. 1kg × 1m/s2
3. 1lb × 1m/s2
4. 1kg × 1cm/s2

33. 카르노의 정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가역사이클의 열효율은 어떠한 사이클의 열효율보다 낮다.
2. 동일한 두 열원에서 작동하는 비가역 사이클과 가역 사이클의 열효율은 동일하다.
3. 동일한 두 열원에서 작동하는 가역사이클의 열효율은 동일하다.
4. 고열원이 동일하면 저열원이 다르더라도 가역 사이클의 열효율이 비가역 사이클보다 항상 크다.

34. 재생 가스터빈 사이클에 대한 설명중 틀린 것은?
1. 가스터빈 사이클에 재생기를 사용하여 압축기 출구온도를 상승시킨 사이클이다.
2. 효율은 사이클내 최대 온도에 대한 최저 온도의 비와 압력비의 함수이다.
3. 효율과 일량은 압력비가 최대일 때 최대치가 나타난다.
4. 사이클 효율은 압력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한다.

35. 온도 15℃에서 5[㎏/cm2], 20[ℓ]의 이상기체를 1[㎏/cm2] 까지 팽창시키고자 할 때 외부로 한 일은 몇 ㎏ㆍm 인가? (단, 온도는 일정함)
1. 1204
2. 1314
3. 1527
4. 1609

36. 열에 대한 일상당량으로 옳은 것은?
1. 1/427 [kcal/㎏ㆍm]
2. 427[㎏.m/kcal]
3. 632.3[kcal/㎏ㆍm]
4. 632.3[㎏ㆍm/kcal]

37. 1[kWh]는 몇 [kcal]에 해당하는가?
1. 560
2. 650
3. 860
4. 950

38. 공기 1ℓ 의 중량은 표준상태에서 1.293g이다. 압력 710 mmHg에서 공기 1ℓ 의 중량이 1g이었다면 이 때의 온도는 몇 K인가? (단, 기체상수 R = 62.4[ℓㆍmmHg/gㆍmolㆍK]이며, 공기는 이상 기체이다.)
1. 60
2. 273
3. 329.5
4. 430.2

39. 그림과 같은 증기원동소에서 각 점의 엔탈피가 주어졌을 때 이 증기원동소의 열효율은 얼마인가? (단, 연결관(pipe)들은 단열되었으며 손실이 전혀 없고, h1=191.8[kJ/kg], h2=193.8[kJ/kg], h3=2799.5[kJ/kg], h4=2007.5[kJ/kg])
1. 9.6%
2. 12.5%
3. 20.5%
4. 30.3%

40. 완전가스(perfect gas)내에서 음속 C[m/sec]는 다음 중 어떤 식으로 표현되는가? (단, K는 비열비, g는 중력가속도, R은 가스상수, T는 절대온도 이다.)

41. 비접촉식 온도계가 아닌 것은?
1. 압력 온도계
2. 광전관식 온도계
3. 방사 온도계
4. 색 온도계

42. 다음중 보일러(boiler)의 통풍계로 사용되고 있는 액주식 압력계는?
1. U자관식
2. 경사관식
3. 침종식
4. 아네로이드식

43. 보일러의 연소제어시 제어량이 증기압력일 때 조작량은 다음 중 어느 것이 가장 적합한가?
1. 급수량 및 공기량
2. 공기량 및 연소가스량
3. 연료량 및 공기량
4. 연료량 및 연소가스량

44. 어느 보일러 냉각기의 진공도가 730mmHg일 때 절대압으로 표시하면 몇 kg/cm2a인가?
1. 0.12
2. 0.18
3. 0.04
4. 0.02

45. 열전대 온도계는 어떤 현상을 이용한 온도계인가?
1. 칫수의 증대
2. 전기저항의 변화
3. 기전력의 발생
4. 압력의 발생

46. 직경이 100mm인 수평 원형관 속을 밀도가 80kg/m3이고 점성계수가 0.02kgfㆍsec/m2인 유체가 20m/sec의 속도로 흐를 때 레이놀즈수는 얼마인가?
1. 8000
2. 7000
3. 6000
4. 6500

47. 가스크로마토 그래프로 가스를 분석할 때 사용되는 캐리어 가스가 아닌 것은?
1. H2
2. N2
3. Ar
4. SO2

48. 액주에 의한 압력 측정에서 정밀한 측정을 위해서 필요하지 않는 보정은?
1. 모세관 현상의 보정
2. 높이의 보정
3. 중력의 보정
4. 온도의 보정

49. 미세압 측정용에 가장 적절한 압력계는?
1. 브르돈관압력계
2. 분동식압력계
3. 경사관액주형압력계
4. 전기식압력계

50. 고압유체의 유량측정이나 고속의 유체측정에 가장 적합한 교축기구는?
1. 오리피스
2. 피토관
3. 플로우노즐
4. 벤튜리

51. 니켈, 망간, 코발트 등의 금속 산화물의 분말을 혼합, 소결시켜 만든 반도체로서 전기저항이 온도에 따라 크게 변화하므로 응답이 빠른 감열소자로 이용할 수 있는 온도계는?
1. 광온도계
2. 더미스트
3. PR 열전온도계
4. 더모컬러

52. 수도미터에 주로 사용되는 유량계로 옳은 것은?
1. 유속식
2. 용적식
3. 임펠러식
4. 전자식

53. 습기가 흡입된 가스의 전(全)압력 P를 나타내는 관계식으로 옳은 것은? (단, ø는 포화도, Pg는 가스의 분압, Pw는 수증기의 분압을 나타낸다.)
1. P = (Pg/Pw)×100
2. P = Pg + Pw
3. P = Pg - Pw
4. P = Pg + øPw

54. 가스크로마토 그래피에 대한 특징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각종 가스 성분 분석이 가능하다.
2. 분리 능력이 우수하다.
3. 선택성이 우수하다.
4. 1회 측정 시간이 수 초에서 수십 분 정도이다.

55. 온도계의 교정시에 사용하는 표준 온도는 몇 도인가?
1. 20℃
2. 0℃
3. 100℃
4. 5℃

56. 오르자트분석계에서 탄산가스의 흡수 용액은?
1. 피로가롤용액 30%
2. 수산화칼륨 30% 수용액
3. 피로가롤용액 50%
4. 수산화칼륨 50% 수용액

57. 유체에 의한 가열선의 흡수열량 측정에 의해 유량을 측정하는 것은?
1. 토마스미터
2. 칼만식유량계
3. 오벌유량계
4. 플로우노즐

58. 가스크로마토그래피 장치 사용시 쓰이지 않는 것은?
1. 컬럼검출기
2. 유량측정기
3. 직류증폭장치
4. 주사기

59. 노내압을 제어하는데 필요하지 않는 조작은?
1. 공기량 조작
2. 급수량 조작
3. 연소가스 배출량 조작
4. 댐퍼의 조작

60. 다음 중 케스케이드(Cascade)제어를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목표치가 다른 조절기에 출력에 따라 변화되는 제어
2. 목표치가 다른 프로세스 변화량과 일정한 비율로 변화되는 제어
3. 목표치의 변화방법이 미리 정해져 있는 제어
4. 목표치가 임의의 시간에 따라 변화되는 제어

61. 가장 치밀한 내화물의 조직은?
1. 결합조직
2. 응고조직
3. 복합조직
4. 다공조직

62. 고온용 요로의 벽구조로 가장 합리적인 것은?
1. 내화벽돌 만으로 쌓은 것
2. 고온부는 내화벽돌로 하고, 저온부는 보통벽돌로 한 것
3. 고온부는 내화벽돌로 쌓고, 저온부분은 보통벽돌로 하되 그사이에 단열벽돌을 쌓은 것
4. 저온부는 보통벽돌과 고온부는 단열벽돌로 한 것

63. 증기난방의 경우 표준방열기를 기준으로 실내의 난방부하에 필요한 방열기의 필요 섹션수(Ns)를 구하는 식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단, HL는 실내의 난방부하, a는 방열기 섹션 1개의 방열 면적 )
1. HL/400a
2. 400a/HL
3. 650a/HL
4. HL/650a

64. 고체연료는 액체연료와 비교하여 보통 산소의 함유량이 크고 수소가 적다. 액체연료에서 탄소 함유량(%)은?
1. 90 ~ 50
2. 87 ~ 85
3. 75 ~ 0
4. 5 ~ 10

65. 내화점토질 벽돌의 주된 화학성분은?
1. MgO, Al2O3
2. FeO, Cr2O3
3. MgO, SiO2
4. Al2O3, SiO2

66. 내벽의 내화벽돌 두께 22mm, 열전도율 1.1kcal/mh℃, 중간벽의 단열벽돌 두께 9cm, 열전도율 0.12kcal/mh℃, 외벽은 붉은 벽돌 두께 20cm, 열전도율 0.8kcal/mh℃로 되어 있는 노벽이 있다. 내벽 표면의 온도가 1000℃일 때 외벽 표면온도는 몇 도이겠는가? (단, 외벽 주위온도는 20℃, 외벽 표면의 열전달율은 7kcal/m2h℃로 한다.)
1. 104℃
2. 267℃
3. 141℃
4. 124℃

67. 일반적으로 부피비중이 가장 크다고 인정되는 내화물은?
1. 샤모트질 소성내화물
2. 마그네시아질 불소성내화물
3. 지르콘질 용융내화물
4. 알루미나질 소성내화물

68. 보일러급수에 함유되어 있는 공기, 산소 및 탄산가스 등은 보일러관, 각종 가열기 및 절탄기 등을 부식시킨다. 이와 같은 용해가스를 제거하는 장치는?
1. 절탄기
2. 탈기기
3. 이온교환장치
4. 관수연속브로우다운장치

69. 다음의 단열재중 주로 저온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1. 카오 울(Kao wool)
2. 우레탄 폼(Urethan foam)
3. 펄라이트(Pearlite)
4. 캐스터블(Castable)

70. 급수의 pH와 알칼리도 조성에 사용되는 약품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NaOH
2. 인산염
3. 소다회
4. 탄닌

71. 불연속가마, 연속가마, 반연속가마의 구분 방식은 어느것인가?
1. 사용 목적
2. 온도상승 속도
3. 전열 방식
4. 조업 방식

72. 밸브봉을 돌려서 열 때 밸브 좌면과 직선적으로 미끄럼 운동을 하는 밸브로서 슬라이딩밸브의 일종이며 고압에 견디고 밸브관이 유체 통로를 전개하므로 흐름의 저항이 거의 없는 밸브는?
1. 앵글밸브
2. 슬루우스밸브
3. 글루우브밸브
4. 회전밸브

73. 실리카의 전이(轉移)특성을 잘 나타낸 것은?
1. 규석은 가장 안정된 광물로서 온도변화에 따라 영향을 받지 않는다.
2. 가열온도가 높아질수록 비중이 커진다.
3. 내화물에서 중요한 것은 실리카의 고온형 변태이다.
4. 실리카의 전이는 오랜 시간을 요해서만 이루어진다.

74. 다음 중 크롬마그네시아 벽돌의 가장 우수한 특성은?
1. 내화도와 하중 연화점이 낮다.
2. 내스폴링성이 크다.
3. 비중이 적다.
4. 팽창률이 크다.

75. 다음 중 도염식 각요의 구조부분이 아닌 것은?
1. 화교(Bag wall)
2. 흡입공(Suction pore)
3. 연도
4. 종이 칸막이

76. 내경 1000㎜, 두께 10㎜의 강판으로 원통을 만들면 몇 ㎏/mm2의 압력까지 사용할 수 있는가? (단, 허용 응력은 7㎏/mm2, 이음 효율은 65%로 한다.)
1. 7.1
2. 8.1
3. 9.1
4. 10.1

77. Fourier 법칙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열전달 속도는 일반적인 속도와 같이 기력/저항으로 표시한다.
2. 열전달 속도는 면적과 온도구배의 곱에 비례한다.
3. 열전달에 있어서 기력(driving force)은 온도차이다.
4. 열전달 저항은 전달 면적과 두께의 비이다.

78. 금속을 열처리 용접할 때 적당한 가스분위기인 보호 가스 내에서 작업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다음 중 보호가스로 적합한 것은?
1. H2
2. O2
3. CO2
4. H2O

79. 다음 중 배소로의 역할을 가장 알맞게 설명한 것은?
1. 광석이 융해되지 않을 정도로 가열하여서 화학적, 물리적 변화를 일으킨다.
2. 광석을 용융시켜 화학적 변화를 일으킨다.
3. 괴상의 광석을 미분화시킨다.
4. 분말광석을 괴상으로 소결시킨다.

80. 다음은 보일러 부속장치에 대한 설명이다. 이중 옳지 않는 것은?
1. 공기예열기란 연소배가스의 폐열로 공급 공기를 가열시키는 장치이다.
2. 절탄기란 연료공급을 적당히 분배하여 완전 연소를 위한 장치이다.
3. 과열기란 포화증기를 가열시키는 장치이다.
4. 재열기란 원동기(증기터빈)에서 팽창한 증기를 재가열시키는 장치이다.
진행 상황
답안 완료율
0%
미답안 답안완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