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기체정비기능사

(2016-01-24 기출문제 - 전체보기)
총 60문제 답안 완료: 0문제
1. 비행기의 정적 가로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 가장 좋은 방법은?
1. 꼬리날개를 작게 한다.
2. 동체를 원형으로 만든다.
3. 날개의 모양을 원형으로 한다.
4. 양쪽 주날개에 상반각을 준다.

2. 비행기의 상승한계의 종류를 고도가 낮은 것에서부터 높은 순서로 나열한 것은?
1. 운용상승한계 → 절대상승한계 → 실용상승한계
2. 운용상승한계 → 실용상승한계 → 절대상승한계
3. 절대상승한계 → 운용상승한계 → 실용상승한계
4. 절대상승한계 → 실용상승한계 → 운용상승한계

3. 수직꼬리날개가 실속하는 큰 옆미끄럼각에서도 방향안정을 유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설치한 것은?
1. 도살핀
2. 슬랫
3. 스트립
4. 슬롯

4. 다음 중 프로펠러 깃의 피치각(pitch angle)과 동일한 각은?
1. 깃각
2. 유입각
3. 받음각
4. 붙임각

5. 그래프상에 수평비행이 가능한 최소 속도를 나타낸 점은?
1. A
2. B
3. C
4. D

6. 다음 중 평판주위를 일정한 속도로 흐를 때 레이놀즈수가 가장 큰 유체는?
1. 공기
2. 순수한 물
3. 정제된 윤활유
4. 순수한 벌꿀

7. NACA 2415 날개골에서 최대두께는 시위의 몇 %인가?
1. 1
2. 2
3. 4
4. 15

8. 다음 중 항공기의 주날개에 부착되는 주(1차) 조종면은?
1. 태브
2. 방향키
3. 도움날개
4. 승강키

9. 비행기의 실속속도를 작게하기 위한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하중을 크게 한다.
2. 날개면적을 크게 한다.
3. 공기의 밀도를 작게 한다.
4. 최대항력계수를 크게 한다.

10. 다음 중 대기가 안정하여 구름이 없고, 기온이 낮으며, 공기가 희박하여 제트기의 순항고도로 적합한 곳은?
1. 열권과 극외권의 경계면 부근
2. 중간권과 열권의 경계면 부근
3. 성층권과 중간권의 경계면 부근
4. 대류권과 성층권의 경계면 부근

11. 항공기가 200m/s로 비행할 때 항력이 3500kgf라면 필요마력은 약 몇 hp인가? (단, 1hp는 75kgfㆍm/s이다.)
1. 1313
2. 2625
3. 5250
4. 9333

12. 주회전날개(main rotor)가 회전함에 따라 발생되는 반작용 토크를 상쇄하기 위하여 꼬리회전날개(tail rotor)가 필요한 헬리콥터는?
1. 직렬식 헬리콥터
2. 병렬식 헬리콥터
3. 단일회전날개 헬리콥터
4. 동축역회전식 헬리콥터

13. 날개에서 발생하는 유도항력을 줄이기 위한 장치는?
1. 플랩(Flap)
2. 슬롯(Slot)
3. 윙렛(Winglet)
4. 슬랫(Slat)

14. A,B,C 3대 비행기가 각각 1000m, 5000m, 10000m의 고도에서 동일한 속도로 비행할 때 각 비행기의 마하계가 지시하는 마하수의 크기를 비교한 것으로 옳은 것은?
1. A < B < C
2. A > B > C
3. A > C > B
4. A = B = C

15. 회전날개의 축에 토크가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일정한 회전수를 유지하게 되는 것은?
1. 정지비행(hovering)
2. 조파항력(wave drag)
3. 자동회전(auto rotation)
4. 지면효과(ground effect)

16. 정비작업에 사용하는 래치팅박스 엔드 렌치의 특성을 설명한 것으로 옳은 것은?
1. 볼트나 너트를 푸는 경우에만 유용하다.
2. 볼트나 너트를 조이는 경우에만 유용하다.
3. 한쪽 방향으로만 움직이고 반대쪽 방향은 잠겨 있게 되어 있다.
4. 볼트나 너트를 정확한 토크로 풀거나 조일 수 있다.

17. 토크렌치에 사용자가 원하는 토크값을 미리 지정(setting)시킨 후 볼트를 조이면 정해진 토크 값에서 소리가 나는 방식의 토크렌치는?
1. 토션 바형(torsion bar type)
2. 리지드 프레임형(rigid frame type)
3. 디플렉팅 빔 형(deflecting beam type)
4. 오디블 인디케이팅형(audible indicating type)

18. 항공기에 장착된 상태로 계통 및 구성품이 규정된 지시대로 정상기능을 발휘하고, 허용 한계값 내에 있는가를 점검하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오버홀(Overhaul)
2. 트림점검(Trim check)
3. 벤치체크(Bench check)
4. 기능점검(Function check)

19. 금속을 두드려 발생되는 음향으로 결함을 검사하는 방법은?
1. 가압법
2. 타진법
3. 침지법
4. 초음파법

20. 다음과 같은 부품 번호를 갖는 스크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길이는 4/16 in 이다.
2. 길이는 2/16 in 이다.
3. 커팅 둥근머리 스크류이다.
4. 100도 평머리 나사 합금강 스크류이다.

21. 항공기 도장(Painting)의 주된 목적은?
1. 열전도차단
2. 정전기발생방지
3. 재료의 강도증가
4. 부식방지 및 외관장식

22. 실린더 게이지 측정작업 시 안전 및 유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실린더 중심선의 손잡이 부분을 평행하게 유지해야 한다.
2. 측정기구를 사용할 때는 무리한 힘을 주어서는 안된다.
3. 측정자를 실린더 게이지에 고정시킬 때 느슨하게 죄어 측정자의 파손을 방지한다.
4. 측정하고자 하는 실린더의 안지름 크기를 대략적으로 파악하여 이에 적정한 측정자를 선택해야 한다.

23. 포말소화기의 소화방법은?
1. 억제소화방법
2. 질식소화방법
3. 빙결소화방법
4. 희석소화방법

24. X선이나 감마선 등과 같은 방사선이 공간이나 물체를 투과하는 성질을 이용한 비파괴검사는?
1. 와전류탐상검사
2. 초음파탐상검사
3. 방사선투과검사
4. 자분탐상검사

25. 그림과 같은 항공기 유도 수신호가 의미하는 것은?
1. 서행
2. 촉괴기
3. 기관감속
4. 긴급 정지

26. 너트나 볼트 헤드까지 닿을 수 있는 거리가 굴곡이 있는 장소에 사용되는 그림과 같은 공구의 명칭은?
1. 알렌 렌치
2. 익스텐션바
3. 래칫 핸들
4. 플렉시블 소켓

27. 기체의 판금 작업시 두께가 0.2cm인 판재를 굽힘반지름 40cm로 하여 60°fh 굽힐 때 굽힘여유는 약 몇 cm인가?
1. 32
2. 38
3. 42
4. 48

28. 다음 질문에서 요구하는 장치는?
1. Pulleys
2. Bellcranks
3. Fairleads
4. Turnbuckle

29. 양극산화처리를 하기 전에 수행하여야 할 전처리 작업이 아닌 것은?
1. 스트링어작업
2. 래크작업
3. 사전세척작업
4. 마스크작업

30. 항공기가 강풍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항공기를 고정시키는 작업은?
1. Mooring
2. Jacking
3. Servicing
4. Parking

31. 수리순환품목에 대한 최고 단계의 정비방식인 오버홀 절차로 옳은 것은?
1. 분해→검사→세척→교환,수리→기능시험→조립
2. 분해→세척→검사→교환,수리→조립→기능시험
3. 세척→분해→검사→교환,수리→기능시험→조립
4. 세척→분해→검사→교환,수리→조립→기능시험

32. 항공기의 지상안전에 대한 설명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겨울철에 지상에서 항공기를 취급할 경우 사고방지에 유의하는 것
2. 항공기 정비작업 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에 대비하여 사고를 방지하고 예방하는 것
3. 항공기를 운항할 때 조종에 관계되는 사고를 방지하고 예방하는 것
4. 지상에서 고압가스를 취급할 경우 사고방지에 유의하는 것

33. 항공기 비행시간을 설명한 것으로 옳은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항공기가 비행을 목적으로 활주로에서 바퀴가 떨어진 순간부터 착륙할 때 까지
2. 항공기가 비행을 목적으로 램프에서 자력으로 움직이기 시작한 순간부터 착륙할 때 까지
3. 항공기가 비행을 목적으로 램프에서 움직이기 시작한 순간부터 착륙하여 시동이 꺼질 때 까지
4. 항공기가 비행을 목적으로 램프에서 자력으로 움직이기 시작한 순간부터 착륙하여 정지할 때 까지

34. 항공기의 수리순환부품에 초록색 표찰이 붙어 있다면 무엇을 의미하는가?
1. 수리요구부품
2. 폐기품
3. 사용가능부품
4. 오버홀

35. 항공기에 사용되는 솔벤트세제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지방족나프타
2. 수,유화 세제
3. 방향족나프타
4. 메틸에틸케톤

36. 다음 중 헬리콥터에 발생하는 종진동과 가장 관계 깊은 것은?
1. 깃의 궤도
2. 회전면
3. 깃의 평형
4. 리드래그

37. 다음 중 미국철강협회 철강재료에 대한 규격은?
1. AA 규격
2. AISI 규격
3. AMS 규격
4. ASTM 규격

38. 재료의 인성과 취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실시하는 동적 시험법은?
1. 인장시험
2. 충격시험
3. 전단시험
4. 경도시험

39. 다음 중 나셀(Nacelle)의 구성품이 아닌 것은?
1. 카울링
2. 외피
3. 방화벽
4. 연료탱크

40. 헬리콥터의 동력구동축에 대한 설명으로 관계가 먼 것은?
1. 구동축의 양끝은 스플라인으로 되어 있거나 스플라인으로 된 유연성 커플링이 장착되어 있다.
2. 진동을 감소시키기 위해 동적인 평형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3. 동력구동축은 기관구동축, 주회전 날개구동축 및 꼬리 회전 날개 구동축으로 구성되어 있다.
4. 지지베어링에 의해서 진동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회전을 고려한 베어링의 편심을 이뤄야한다.

41. 날개구조물 자체를 연료탱크로 하는 탱크내에 방지판(Baffle plate)을 두는 가장 큰 목적은?
1. 내부구조의 보강을 위해서
2. 연료가 팽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3. 연료가 출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4. 연료보급시 연료가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42. 다음 중 에폭시 수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대표적인 열가소성 수지이다.
2. 성형 후 수축률이 적고 기계적 성질이 우수하다.
3. 구조재용 복합재료의 모재(matrix)로도 사용된다.
4. 전파 투과성이 우수해서 항공기의 레이돔에 사용된다.

43. 청동의 성분을 옳게 나타낸 것은?
1. 구리 + 주석
2. 구리 + 아연
3. 구리 + 망간
4. 구리 + 알루미늄

44. 다음 중 복합소재 경화 과정에서 표면에 압력을 가하는 목적으로 틀린 것은?
1. 여분의 수지 제거
2. 적층판을 서로 분리
3. 적층판 사이의 공기 제거
4. 경화 과정에서 패치 등의 이동 방지

45. 항공기의 수직 꼬리날개의 구성품이 아닌 것은?
1. 승강키
2. 도살핀
3. 방향키
4. 수직 안정판

46. 수평등속비행 중인 항공기의 날개 상부에 작용하는 응력은?
1. 압축응력
2. 전단응력
3. 비틀림응력
4. 인장응력

47. 항공기 동체의 세미모노코크구조를 구성하는 부재가 아닌 것은?
1. 벌크헤드
2. 리브
3. 스트링거와 세로대
4. 외피

48. 헬리콥터 조종 기구의 정비 순서가 옳게 나열된 것은?
1. 기능 점검 → 수리 → 정적 리그 작업
2. 정적 리그 작업 → 기능 점검 → 수리
3. 수리 → 기능 점검 → 정적 리그 작업
4. 수리 → 정적 리그 작업 → 기능 점검

49. 순철, 탄소강, 주철을 분류하는 기준이 되는 것은?
1. 산소의 함유량
2. 열처리의 횟수
3. 탄소의 함유량
4. 불순물의 함유량

50. 그림과 같은 리벳이음 단면에서 리벳직경이 5mm, 두 판재의 인장력 100kgf 이면 리벳단면에 발생하는 전단응력은 양 몇 kgf/mm2인가?
1. 3.1
2. 4.0
3. 5.1
4. 8.0

51. 착륙 장치의 완충 스트럿에 압축 공기를 공급할 때 공기 대신 공급할 수 있는 것은?
1. 에틸렌
2. 수소
3. 아세틸렌가스
4. 질소

52. 항공기에서 방향키 페달의 기능이 아닌 것은?
1. 빗놀이 운동
2. 비행시 방향조종
3. 지상에서 방향조종
4. 수직안정판 조종

53. 항공기 구조 강도의 안정성과 조종면에서 안전을 보장하는 설계상의 최대허용속도는?
1. 설계운용속도
2. 실속속도
3. 설계순항속도
4. 설계급강하속도

54. 그림은 페일 세이프(Fail safe) 구조의 어떤 방식인가?
1. 더블
2. 리던던트
3. 백업
4. 로드 드롭핑

55. 지름 2indml 원형 단면 봉에 4000lbf의 인장 하중이 작용하면 봉에 발생하는 응력은 약 몇 lbf/in2인가?
1. 318
2. 1274
3. 2000
4. 2546

56. 인장력을 받는 봉의 경우에 늘어난 길이를 δ, 원래의 길이를 L이라 했을 때 변형률을 옳게 나타낸 것은?

57. 항공기 도면 표제란에 “INSTL"로 표시하는 도면은?
1. 배선도
2. 조립도
3. 장착도
4. 설계도

58. 헬리콥터 조종 장치 중에서 주로터의 모든 깃의 피치각을 동시에 증가 또는 감소시켜 양력을 증감시키는 조종 장치는?
1. 방향 조종 페달
2. 트림 엑츄에이터
3. 콜렉티브 피치 조종레버
4. 사이클릭 피치 조종레버

59. 항공기 위치표시 방법 중 동체 중심선을 기준으로 오른쪽과 왼쪽으로 평행한 너비 간격으로 나타나는 선은?
1. 동체위치선
2. 버턱선
3. 동체수위선
4. 스테이션선

60. 헬리콥터의 착륙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휠형 착륙장치는 자신의 동력으로 지상활주가 가능하다.
2. 스키드형의 착륙장치는 구조가 간단하고, 정비가 용이하다.
3. 스키드형은 접개들이식 장치를 갖고 있어 이착륙이 용이하다.
4. 휠형 착륙장치는 지상에서 취급이 어려운 대형 헬리콥터에 주로 사용된다.
진행 상황
답안 완료율
0%
미답안 답안완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