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기기기능사

(2013-01-27 기출문제 - 전체보기)
총 60문제 답안 완료: 0문제
1. 전원주파수가 60[㎐]일 때 3상 전파정류회로의 리플 주파수는 몇 [㎐]인가?
1. 90[㎐]
2. 120[㎐]
3. 180[㎐]
4. 360[㎐]

2. 트랜지스터 증폭기의 전압증폭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입력전압과 출력전압의 비이다.
2. 데시벨로 나타낼 수 있다.
3. 입력전압과 출력전압은 항상 동위상이다.
4. 증폭기의 접지방식에 따라 전압증폭도가 1 정도인 경우도 있다.

3. 펄스폭이 2[μs]이고 주기가 20[μs]인 펄스의 듀티 사이클은?
1. 0.1
2. 0.2
3. 0.5
4. 20

4. 톱니파 발생회로와 무관한 것은?
1. 멀티바이브레이터
2. 블로킹발진기
3. UJT 발진기
4. LC 발진기

5. 마스터 슬리브 J K FF에서 클록펄스가 들어올 때마다 출력상태가 반전되는 것은?
1. J=0, K=0
2. J=1, K=0
3. J=0, K=1
4. J=1, K=1

6. 증폭회로에서 되먹임(궤환)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증폭도는 감소한다.
2. 내부잡음이 감소한다.
3. 대역폭이 좁아진다.
4. 주파수 특성이 좋아진다.

7. 단일 접합 트랜지스터(UJT)의 전극을 옳게 나타낸 것은?
1. 이미터 전극 1, 베이스 전극 1
2. 이미터 전극 1, 베이스 전극 2
3. 이미터 전극 2, 베이스 전극 1
4. 이미터 전극 2, 베이스 전극 2

8. 빛의 변화로 전류 또는 전압을 얻을 수 없는 것은?
1. 광전 다이오드
2. 광전 트랜지스터
3. 황화카드뮴(CdS)
4. 태양전지

9. 푸시풀(push-pull) 전력증폭기에서 출력파형의 찌그러짐이 작아지는 주요 원인은?
1. 기본파가 상쇄되기 때문에
2. 기수고조파가 상쇄되기 때문에
3. 우수고조파가 상쇄되기 때문에
4. 우수 및 기수고조파가 모두 상쇄되기 때문에

10. 그림에서 시정수가 작을 경우의 출력파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1. 쌍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에 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부궤환을 하는 2단 비동조 증폭회로로 구성된다.
2. 능동소자로 트랜지스터나 IC가 주로 이용된다.
3. 플립플롭회로도 일종의 쌍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이다.
4. 입력트리거 펄스 2개마다 1개의 출력펄스가 얻어지는 회로이다.

12. 다음 회로의 명칭은?
1. 미분회로
2. 적분회로
3. 정현파 발생회로
4. 톱니파 발생회로

13. P형 반도체에서 정공을 만들어주기 위해서 공급하는 불순물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도너
2. 베이스
3. 캐리어
4. 억셉터

14. α차단 주파수가 10[㎒]인 트랜지스터에서 이것을 이미터 접지로 사용할 경우 β차단 주파수는 몇 [㎑]인가? (단, Hrb=0.98이다.)(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49[㎑]
2. 98[㎑]
3. 204[㎑]
4. 362[㎑]

15. 증폭회로에서 전압 증폭도가 10000배이면 이득[dB]은?
1. 10[dB]
2. 80[dB]
3. 150[dB]
4. 10000[dB]

16. 트랜지스터를 증폭기로 사용하는 영역은?
1. 차단영역
2. 활성영역
3. 포화영역
4. 차단영역 및 포화영역

17. Parity Bit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error 검출 및 교정이 가능하다.
2. 기존 코드 값에 1bit를 추가하여 사용한다.
3. 기수(Odd)와 우수(Even) 체크법이 있다.
4. 정보의 옳고 그름을 판별하기 위해 사용한다.

18. 다음 중 논리비교동작과 같은 동작은?
1. AND
2. OR
3. XOR
4. NAND

19. 주프로그램 내에서 같은 프로그램의 반복을 피하기 위한 방법은?
1. 스택
2. 인터럽트
3. 서브루틴
4. 푸시(push)와 팝(pop)

20. 중앙처리장치와 주기억장치 사이의 속도 차이를 해결하기 위해 장치한 고속 버퍼 기억장치는?
1. 캐시기억장치
2. 주기억장치
3. 보조기억장치
4. 가상기억장치

21. 전원이 공급되어 있는 동안 지정된 내용을 계속 기억하고 있는 메모리 소자로서 단위 기억소자가 플립플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비교적 속도가 빠르고 정보를 안전하게 보존하는 것은?
1. 마스크롬(Mask ROM)
2. Dynamic RAM
3. Bubble Memory
4. Static RAM

22.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캐시메모리
2. 제어장치
3. 레지스터
4. 제어버스

23. 데이터 처리 과정 및 프로그램 결과가 출력되는 전반적인 처리과정의 흐름을 일정한 기호로 사용하여 나타낸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순서도
2. 수식도
3. 로그
4. 분석도

24. 실수 (0.01101)2을 32비트 부동 소수점으로 표현하려고 한다. 지수부에 들어갈 알맞은 표현은? (단, 바이어스된 지수(biased exponent)는 (01111111)2로 나타내며 IEEE754 표준을 따른다.)
1. (01111100)2
2. (01111101)2
3. (01111110)2
4. (10000000)2

25. 2진화 10진 코드(BCD Code)의 설명 중 맞는 것은?
1. 4개의 존 비트(zone bit)를 가지고 있다.
2. 4개의 디짓 비트(digit bit)를 가지고 있다.
3. 영문자의 소문자, 한글 등을 나타내기 쉽다.
4. 최대 128문자까지 표현 가능하다.

26. 마이크로컴퓨터의 주소가 16비트로 구성되어 있을 때 사용할 수 있는 주기억장치의 최대용량은?
1. 8K
2. 16K
3. 32K
4. 64K

27. 어셈블리어(Assembly Language)의 설명 중 틀린 것은?
1. 기호 언어(Symbolic Language)라고도 한다.
2. 언어번역프로그램으로 컴파일러(Complier)를 사용한다.
3. 기종 간에 호환성이 적어 전문가들만 주로 사용한다.
4. 기계어를 단순히 기호화한 기계 중심 언어이다.

28. 4칙 연산 이루어지는 곳은?
1. 기억장치
2. 입력장치
3. 제어장치
4. 연산장치

29. 다음 중 고주파 전력 측정에 이용되는 전력계가 아닌 것은?
1. C-C형 전력계
2. C-M형 전력계
3. C-P형 전력계
4. 볼로미터 전력계

30. 기준 전압이 1[V]일 때, 측정전압이 10[V]이면 몇 [dB]인가?
1. 0[dB]
2. 10[dB]
3. 14[dB]
4. 20[dB]

31. 회전 자기장 내에 금속편을 놓으면 여기에 맴돌이 전류가 생겨서 자기장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금속편을 이동시키는 토크가 발생하는데 이 원리를 이용한 계기는?
1. 유도형 계기
2. 가동코일형 계기
3. 가동철편형 계기
4. 전류력계형 계기

32. 계측기로 측정한 입력 측 S/N비와 출력 측 S/N비에 대한 비를 나타내며, 단위로 [dB]을 쓰는 통신 품질의 평가 척도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충실도
2. 변조지수
3. 명료도
4. 잡음지수

33. 헤테로다인 주파수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흡수형 주파수계에 비하여 측정확도가 높다.
2. 흡수형 주파수계에 비하여 측정범위가 넓다.
3. 흡수형 주파수계에 비하여 구조가 복잡하다.
4. 흡수형 주파수계에 비하여 감도가 양호하다.

34. 다음은 수신기의 감도 측정회로의 구성도이다. 빈칸의 내용이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된 것은?
1. A:의사안테나 → B:표준신호발생기 → C:수신기 → D:무유도저항
2. A:의사안테나 → B:수신기 → C:표준신호발생기 → D:무유도저항
3. A:표준신호발생기 → B:의사안테나 → C:수신기 → D:무유도저항
4. A:표준신호발생기 → B:수신기 → C:의사안테나 → D:무유도저항

35. 다음 중 저항, 인덕턴스, 정전 용량을 모두 측정할 수 있는 계기는?
1. Q미터
2. 테스터
3. 오실로스코프
4. 스펙트럼 분석기

36. 오실로스코프에 파형을 나타나게 하기 위해서 브라운관의 수평편향판에 인가하는 전압 파형은?
1. 구형파
2. 정현파
3. 톱니파
4. 펄스파

37. 측정기의 지시로 나타낼 수 있는 최소의 측정량을 무엇이라 하나?
1. 확도(precision)
2. 감도(sensitivity)
3. 정도(accuracy)
4. 보정(correction)

38. 자동평형 기록계기의 측정 방식에 속하는 것은?
1. 영위법
2. 직접 측정법
3. 간접 측정법
4. 편위법

39. 표준신호발생기의 출력은 1[μV]를 0[dB]로 기준 삼는다. 피측정회로의 이득이 40[dB]이었다면 피측정전압은?
1. 10[μV]
2. 100[[μV]
3. 0.01[μV]
4. 0.1[μV]

40. D/A 컨버터는 무슨 회로인가?
1. 저항을 측정하는 회로
2. 전류를 전압으로 변환하는 회로
3. 아날로그 양을 디지털 양으로 변환하는 회로
4. 디지털 양을 아날로그 양으로 변환하는 회로

41. 서보 기구에 대한 일반적인 조건으로 옳은 것은?
1. 조작력이 강해야 한다.
2. 추종속도가 느려야 한다.
3. 서보모터의 관성은 매우 커야 한다.
4. 유압식의 경우 증폭부에 트랜지스터 증폭부나 자기 증폭기가 사용된다.

42. 다음 중 광대역 VHF 안테나는?(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수직 안테나
2. 코니컬(conical) 안테나
3. 다이폴(dipole) 안테나
4. 폴디드 다이폴(folded dipole) 안테나

43. 녹음 바이어스를 사용하는 주된 목적은?
1. 와우플로터 제거
2. 감도 향상
3. 안정도 향상
4. 일그러짐 감소

44. 다음 중 자동 온수기기의 제어관계가 옳지 않은 것은?
1. 제어대상-물
2. 제어량-온도
3. 목표값-희망온도
4. 조작량-물의 공급량

45. 다음 중 제너다이오드를 이용한 회로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검파회로
2. 저주파 증폭회로
3. 고주파 발진회로
4. 정전압회로

46. FM수신기에서 도래전파가 없을 때 일어나는 잡음을 제거하기 위해 자동적으로 저주파 증폭기가 열리고 입력파가 도래했을 때 닫히도록 한 회로는?
1. 필터 회로
2. 리미터 회로
3. 직선 검파 회로
4. 스켈치 회로

47. 수평도기신호 기간에만 AGC를 동작시키고 나머지 기간에는 동작하지 않도록 한 것으로 펄스성 잡음이 특히 많은 장소, 비행기에 의한 반사파의 영향을 받는 장소 또는 포터블 TV와 같이 전파의 세기가 갑자기 변동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AGC 방식은?
1. 평균치형 AGC
2. 첨두치형 AGC
3. 키드 AGC
4. 지연형 AGC

48. 초음파 가공기의 공구로 사용되는 것은?
1. 황동
2. 강철
3. 다이아몬드
4. 베이크라이트

49. 녹음기에 관한 일반적인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소거방법에는 직류소거법과 교류소거법이 있다.
2. 자기테이프를 매체로 녹음 및 재생을 한다.
3. 캡스턴은 고음과 저음의 균형을 유지시켜 준다.
4. 자기헤드, 테이프 전송기구 및 증폭기 등으로 되어있다.

50. 다이오드를 사용한 정류회로에서 과대한 부하 전류에 의하여 다이오드가 파손 될 우려가 있을 경우, 이를 방지하기 위한 조치로 옳은 것은?
1. 다이오드를 병렬로 추가한다.
2. 다이오드를 직렬로 추가한다.
3. 다이오드 양단에 적당한 값의 저항을 추가한다.
4. 다이오드 양단에 적당한 값의 콘덴서를 추가한다.

51. AN(Arrival Notice) 레인지 비컨(range beacon)에서 등 신호 방향과 관계없는 각도는?
1. 45º
2. 190º
3. 135º
4. 315º

52. 청력을 검사하기 위하여 가청주파수 영역 중 여러 가지 레벨의 순음을 전기적으로 발생하는 음향발생장치는?
1. 심음계
2. 오디오미터
3. 페이스메이커
4. 망막전도 측정기

53. 영상의 가장 밝은 부분에서 가장 어두운 부분을 단계로 표시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화소
2. 계조
3. 비트맵
4. 추출

54. 자기테이프와 헤드의 접촉면에 있어서의 간격이 커질 경우 손실도 커지게 되는 것은?
1. 두께 손실
2. 와류 손실
3. 스페이싱 손실
4. 갭 손실

55. VTR용 Head의 자성재료에 요구되는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실효 투자율이 높을 것
2. 가공성이 좋을 것
3. 마모성이 클 것
4. 잡음발생이 적을 것

56. 전고조파의 실효치와 기본파의 실효치의 비를 무엇이라 하는가?
1. 변조도
2. 신호대 잡음비
3. 역률
4. 일그러짐률

57. 다음 중 디지털 3D 그래픽스 처리의 구성이 아닌 것은?
1. 기하처리
2. 렌더링
3. 프레임버퍼
4. 모델링

58. 다음 중 변위-임피던스 변환기가 아닌 것은?
1. 다이어프램
2. 용량형 변환기
3. 슬라이드 저항
4. 유도형 변환기

59. 라디오 수신기의 중간주파수가 455[㎑]이고, 상측 헤테로다인 방식이라면 700[㎑] 방송을 수신할 때 국부발진 주파수는?
1. 455[㎑]
2. 700[㎑]
3. 1155[㎑]
4. 1600[㎑]

60. 무선 수신기의 안테나 회로에 웨이브 트랩(wave trap)을 사용하는 목적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혼신을 방지하기 위하여
2. 페이딩을 방지하기 위하여
3. 델린저의 영향을 방지하기 위하여
4. 지향성을 갖게 하기 위하여
진행 상황
답안 완료율
0%
미답안 답안완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