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관리기능장
(2002-04-07 기출문제 - 하나씩 풀이)1. 보일러 연소실의 열부하를 나타내는 단위는?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2. 기체연료의 특징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3. 상당증발량 2500 kg/h, 매시 연료소비량 150 kg 인 보일러가 있다. 급수온도 28 ℃, 증기압력 10 kg/cm2일 때, 이 보일러의 효율은? (단, 연료의 저위발열량은 9800 kcal/kg 이다.)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4. 사이크론(cyclone) 집진장치의 주원리는?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5. 증기의 건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6. 보일러 연료로서 중유가 석탄보다 좋은 점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7. 기체연료의 연소시 공기비의 일반적인 값은?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8. 보일러 매연 발생의 원인이 아닌 것은?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9. 수관 보일러에서 강관을 확관하여 관판에 부착시킬 때 강관의 최적 두께 감소율은?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10. 굴뚝높이 100 m, 배기가스의 평균온도 200 ℃, 외기온도 27 ℃, 굴뚝내 가스의 외기에 대한 비중을 1.05 라 할 때 통풍력은?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11. 내열도의 구분에 따라 저온용 보온재에 해당하는 것은?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12. 자동제어의 신호전달 방식 중 신호전달 거리가 가장 짧은 것은?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13. 보일러를 건식 보존할 때 보일러에 채워 두는 가스로 가장 적합한 것은?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14. 최고사용압력이 14 kg/cm2인 강철제 증기보일러의 안전밸브 호칭지름은 얼마 이상으로 해야 하는가?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15. 대기압 하에서 펌프의 최대흡입 양정(揚程)은 이론상 몇 m 정도인가?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16. 베르누이의 정리에서 전수두는 어떤 수두들의 합인가?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17. 원관에서 난류가 흐르고 있을 때 손실 수두는?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18. 랭킨사이클에서 복수기의 압력이 낮아질 때의 현상으로 옳은 것은?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19. "일정량의 기체의 체적은 압력에 반비례하고 절대온도에 비례한다"는 법칙은?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20. 감압밸브는 작동방법에 따라 3가지로 나눌 때 해당되지 않는 것은?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21. 보온재의 열전도율에 관한 사항으로 맞는 것은?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22. 지름 1.2 m 의 보일러 동판에 20 kg/cm2의 증기압력이 작용하면 동판의 두께는 약 몇 mm 로 해야 하는가? (단, 재료의 허용응력 800 kg/cm2, 이음효율은 90 % 이다.)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23. 보온재가 갖추어야 할 성질로 잘못 설명된 것은?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24. 강철제 유류용 보일러의 용량이 얼마 이상이면 공급 연료량에 따라 연소용 공기를 자동조절하는 장치를 갖추어야 하는가? (단, 난방 및 급탕 겸용 보일러임)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25. 보일러 자동제어에서 어떤 조건이 구비되지 않았을 때 다음 단계의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는 형태의 제어는?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26. 열정산에서 출열 항목에 속하는 것은?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27. 원심식 송풍기의 풍량을 Q(m3/min), 회전수 N(rpm), 풍압을 P(mmAq), 날개의 직경을 D 라고 할 때, 다음 관계식 중 틀린 것은?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28. 배관의 상부에서 관을 지지하는 것으로, 관의 상하 방향 이동을 허용하면서 일정한 힘으로 관을 지지하는 것은?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29. 설비 배관에 있어서 유속을 V, 유량을 Q라 할 때 관경 d를 구하는 식은?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30. 동관의 용도와 무관한 것은?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31. 1일 급수량이 36000 ℓ 인 보일러에서 급수 중 염화물의 이온농도를 100 ppm, 보일러수의 허용 이온농도를 2000 ppm으로 할 때 1일 분출량(ℓ/day)은?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32. 증기의 압력이 상승할 때 나타나는 현상이 아닌 것은?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33. 강관의 용접이음 특징을 잘못 설명한 것은?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34. 연돌의 유효 높이를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35. 보일러 설치시 주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36. 개방식과 밀폐식 팽창탱크에 공통적으로 필요한 것은?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37. 케리 오버(carry over)의 발생 원인이 아닌 것은?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38. 보일러 연소장치인 공기조절장치와 무관한 것은?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39. 주어진 평면도를 등각투상도로 나타낼 때 맞는 것은?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40. 최고사용압력이 5 kg/cm2 인 강철제 보일러의 수압시험 압력과 유지시간은?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41. 자연순환 온수난방에서 보일러와 방열기와의 수직높이 차이가 6 m 이고, 송수온도 80 ℃, 환수온도 68 ℃ 일 때 자연 순환력은 몇 mmAq 인가? (단, 68 ℃ 물의 비중량은 978.94 kg/m3, 80 ℃ 물의 비중량은 971.84 kg/m3 이다.)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42. 증기에 관한 기본적 성질을 설명한 것으로 옳은 것은?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43. 보일러 가동 중 압축응력을 받아 압궤를 일으킬 수 있는 부분이 아닌 것은?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44. 다음 pH값 중 강산성의 성질을 지닌 것은?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45. 보일러 급수처리 방법과 관계없는 것은?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46. 보일러의 성능에서 증발배수란?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47. 연소 안전장치에서 플레임 로드(flame rod)를 옳게 설명한 것은?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48. 보일러에서 그루빙(grooving)은 어느 부분에 많이 발생하는가?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49. 보일러에서 저온부식을 일으키는 성분은?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50. 신설 보일러의 청정화를 도모할 목적으로 행하는 소다 끓이기에서 사용하는 약품이 아닌 것은?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51. 점성계수의 차원(dimension)은?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52. 관 지지구 중 리스트레인트의 종류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53. 나사용 패킹으로서 화학약품에 강하고, 내유성이 크며, 내열 범위가 -30 ∼ 130 ℃ 인 것은?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54. 전기 용접봉의 피복제 중, 석회석이나 형석이 주성분으로 되어있는 것은?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55. 도수분포표에서 도수가 최대인 곳의 대표치를 말하는 것은?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56. 일정통제를 할 때 1일당 그 작업을 단축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의 증가를 의미하는 것은?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57. 서블릭(therblig)기호는 어떤 분석에 주로 이용되는가?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58. 관리도에서 점이 관리한계내에 있고 중심선 한쪽에 연속해서 나타나는 점을 무엇이라 하는가?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59. 모집단의 참값과 측정 데이터의 차를 무엇이라 하는가?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60. 준비작업시간이 5분, 정미작업시간이 20분, lot수 5, 주작업에 대한 여유율이 0.2라면 가공시간은?
해설
아직 해설이 없습니다.
문제 목록
문제 정보
강의: 에너지관리기능장
연도: 2002-04-07
총 문제: 60문제
현재 문제: 1번